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상주 복룡동 유적(사적), 읍치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이후 생활유적

경북 상주시 도심에 있는 복룡동 유적(사적)이다. 옛 상주목 읍치였던 상주읍성 외곽에 있는 생활유적이다. 2004년 택지개발을 위한 발굴.조사 과정에서 통일신라부터 조선시대까지 건물터, 연못, 수혈유구, 구상유구 등이 확인되었으며 도기류, 기와, 자기류 등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건물터와 생활유구들은 읍성 외곽에 거주했던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알 수 있게 해주면 통일신라 이후 상주읍성을 중심으로 한 지방 도시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상주 복룡동 유적(사적)>

옛 상주목 읍치 동쪽편 외관에 위치하고 있는 통일신라 이후 사람들이 살았던 생활유적이다.

<유적지에서 확인된 연못 유구>

조선시대 기와와 자기류 등이 이곳에서 출토 되었다.

<우물 유구>

조선시대 기와로 가득 채워져 있었다.

상주 복룡동 유적 (연못과 우물), 조선시대
본 유구는 상주 복룡동 중앙로 확장 공사 중에 조사된 것으로,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 371번지에 해당한다. 연못은 기반층인 황갈색사질층과 자갈모래층 위에 축조되었는데, 축조 당시에는 더 깊게 만들었으나, 현재는 1~2단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연못의 규모는 길이 830 cm, 폭 550 cm, 깊이 50 cm이며, 벽면은 길이 100 cm, 폭 50 cm의 할석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그리고 벽석에 이용된 석재 중에는 건축지의 주춧돌을 재사용한 경우도 있다. 연못 중앙에는 길이 370 cm, 폭 180 cm 규모의 수혈이 나타나는데 수혈에는 20 cm 정도의 천석이 가득 채워져 있었다. 연못 내부에서는 조선시대 기와편과 다수의 자기류가 출토되었다. 또한 우물의 축조는 70 ~ 90 cm 크기의 냇돌과 할석을 쌓아 만들었고, 우물의 가장 아래에는 목재를 결구하여 축조하였다. 우물의 규모는 깊이 70 cm 이고, 직경 70 cm이다. 우물 내부에서는 조선시대 기와가 가득 채워져 있었다. 이러한 유적은 조선시대 정원연구에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경상도 감영이 설치되었던 상주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 (안내문, 상주박물관, 2019년)

납석제 호(복룡동 256), 병(복룡동 230-3), 벼루(복룡동 256), 통일신라.

암키와(복룡동 256), 수막새(복룡동 397-5), 수키와(복롱동 256), 통일신라

수막새(복룡동 10-4), 고려시대, 수막새(복룡동 256), 암키아(복룡동 10-4), 고려시대

암막새(복룡동 256), 통일신라, 암막새(복룡동 256), 고려시대

명문 납석제품(복룡동 256), 통일신라

상주 복룡동 256번지 유적에서 출토된 납석제 유물로 표면에 한자가 새겨져 있다. 한자의 정확한 내용은 파악하기 어렵지만 “사벌주희”라는 여성 인명을 중심으로 모자 또는 모녀 관계로 추정되는 남자 인명 “萬(?)韓公”. “~리랑(~里娘)”라고 하는 6명의 여성 인명으로 보인다. (안내문, 상주박물관, 2019년)

분청사가 매병(복룡동 230-3), 유개호(복룡동 256), 조선시대

매병(복룡동 256), 고려시대

상주 복룡동 유적
복룡동 유적은 상주시역에서 처음 발굴 조사된 대규모의 취락 유적으로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중다양한 유구들이 동일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조영되고 있음이 확인됨으로써 상주지역의 문화상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대구.경산의 영남 내륙 지역과 충주를 비롯한 충청도 지역과의 문화상의 연관성이나 연속성을 비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특히 송국리형 주거지가 낙동강 상류 지역에서도 확인됨에 따라 청동기시대 문화상 연구에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며, 그 전파 경로에 대한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복룡동 유적의 건물지는 통일신라시대에 초창되어 이후 그 터를 이용하여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동일 지역에 지속적으로 폐기와 건립이 반복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어 이 지역에서 생활하던 당시 사람들의 주거 공간의 분할과 규모 등 지방 건축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복룡동유적이 상주읍성지의 북동편 외곽에 위치하며, 우물과 다양한 기능의 수혈 유구들이 확인되고 있어 이 지역의 서민 생활상을 복원.연구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복룡동유적에서는 시기를 달리하는 유구들과 함께 다양한 유물들이 다량으로 출토되고 있어 상주 시가지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서 상주 사람들의 사회 생활상을 짐작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안내문, 상주박물관, 2019년)

<상주 복용동 석조여래좌상(보물)>

유적지 인근 마을에 있던 고려시대 불상으로 지금은 상주 도심 왕산공원으로 옮겨졌다. 사찰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출처>

  1. 안내문, 상주박물관, 2019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