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경북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송림사에 있는 오층전탑(보물)이다. 통일신라 때 중국에서 가져온 부처님 사리를 모시기 위해 세워신 탑으로 구운 벽돌로 쌓아 올린 중국풍의 전탑이다. 기단은 석탑과 마찬가지로 화강암 석재를 가구식으로 조립하여 쌓았으며 그 위에 벽돌로 탑신을 쌓아 올렸다. 전체 높이 16 m로 상당히 높은 편인데 각층의 지붕돌을 넓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꼭대기에는 금동으로 만든 머리장식이 남아 있어 통일신라 전탑의 상륜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 당나라의 영향을 받은 전탑은 우리나라에는 많지 않은 편이며 그 중에서 전탑의 원형이 잘 남아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1959년 해체.복원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1층 몸돌에는 조선시대 목불, 석불, 동불 등이, 2층 지붕돌에서는 통일신라 사리장엄구가, 상륜부 복발에서는 고려시대 청자 상감원형합이 발견되었다. 특히 통일신라 사리장엄구에는 녹색 유리제 사리병, 유리잔, 장신구 등이 발견되었으며 감은사지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출토유물로 볼 때 여러차례 수리.보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통일신라 때 중국 당나라의 영향을 받아 세운 전탑 중에서도 그 원형이 제대로 남아 있으며 제작수법이나 전체적인 조형미가 우수한 편이다.

<기단부>

기단은 잘 다듬은 화강석을 가구식으로 짜서 만들었으며 그 위에 벽돌로 탑을 쌓았다. 탑신 1층 몸체 부분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 이곳에서 조선시대 봉안한 불상들이 발견되었다.

<탑신>

2층부터 탑신의 높이는 거의 비슷한 편이며 지붕을 넓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안정정인 느낌을 주고 있다. 2층 지붕 부분에서 통일신라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2층 지붕 부분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사리장엄구(보물)>

유리잔과 사리병이 내부 있다.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상륜부>

통일신라 전탑 상륜부가 거의 원형에 가깝게 남아 있었다. 1959년 해체.수리를 할 때 원형과 같은 모양으로 모조품을 올려 놓았다.

<상륜부 복발 안에서 발견 고려시대 청자 상감원형합>

<남쪽에서 본 모습>

<서쪽에서 본 모습>


<북쪽에서 본 모습>

송림사 오층전탑, 보물 189호, 경북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5층 전탑으로 높이 16.13 m, 기단폭 7.3 m이다. 우리나라에는 몇 기밖에 남아 있지 않은 전탑 중에서도 상륜부까지 남아 있는 희귀한 탑이다. 화강암 기단 위에 탑신부가 이중으로 축조되어 있다. 1959년 해체.수리 때에 현재보다 좁은 4.5 m 정도의 원래의 기단 석축과 초층 몸돌 2층.3층 지붕돌.복발 등에서 여러 가지 유물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불상을 모시는 감실 내부에서 조선시대 목불과 파손된 석불.동불이 발견되었다. 2층 지붕돌에서는 거북형의 석함 속에 사리구가 모셔져 있었는데 녹색 유리제 사리병과 유리잔.수목형 금제품.옥류 등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들 모두 보물 제325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상륜부의 복발 안에는 12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 상감원형합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부묘가 아닌 곳에서 청자가 출토된 예가 드물기에 그 의미가 있다. 또한 이 탑이 고려시대에 보수된 적이 있음을 말해 준다. (안내문, 칠곡 송림사, 2019년)

<출처>

  1. 안내문, 칠곡 송림사, 2019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0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0년
  4. 위키백과,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