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영천 청제비(보물), 삼국시대 신라가 저수지를 쌓고 세운 비석

경북 영천시 도남동에 있는 청제비(보물)이다. 삼국시대 신라가 이곳에 청못이라는 저수지를 쌓으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직사각형 화강암 판석에 글자를 새겨 놓았는데 앞면에는 536년(신라 법흥왕 23)에 제방을 처음 쌓을 때 새긴 것이고 뒷면에는 798년(통일신라 원성왕 14) 제방을 수리하면서 새겼다. 내용은 비를 세운 연원일, 공사명칭, 규모, 내용, 동원된 인원수, 공사관계자 등이다. 비석에 새긴 내용으로 신라의 수리시설, 통일신라 행정체제, 공사 동원 방식 등을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청제비 서쪽에는 1688년(숙종 14)에 세운 ‘청제중립비’가 세워져 있다. 비문에는 최일봉 등이 파손되어 흙 속에 묻혀 있던 것을 다시 세웠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고대비석의 해독과 보존 등 금석학에 대한 큰 관심을 확인할 수 있다.

<영천 청제비(보물)>

삼국시대에 세운 청제비와 그 옆에 조선후기에 청제비를 다시 세우면서 세운 청제중립비가 있다.

<청제비 앞면>

신라 법흥왕 때(536년) 이곳에 청못을 쌓으면서 그 경위 등을 새겨놓고 있다. 비석의 높이는 130 cm 정도이며 판석형태의 화강암을 사용하였다.

<영천 청제비 탁본, 삼국시대(신라) 536년, 영천군 금호면 도남동>

영천 청제를 쌓아 저수지를 만들면서 세운 비석의 탁본이다. 비 높이는 130 cm 정도이며 화강암을 가공하여 만들었다. 비의 양면에 각각 다른 시기에 기록한 내용이 담겨 있다. 앞면에는 병진년인 법흥왕 23년(536)에 처음으로 청제를 건립하면서 기록한 내용이 있는데, 비를 세운 연월일, 공사명칭, 규모, 동원한 인원수, 공사관계자 등이 기록되어 있다. 뒷면에는 정원貞元 14년인 원성왕 14년(798)에 청제를 새로이 수리한 내용이 담겨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청제비 뒷면>

통일신라 원성왕 때(798년) 무너진 청못을 수리하면서 그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청제중립비>

조선후기 숙종 때(1688년) 지역 선비들이 땅속에 묻혀 있던 옛 비석의 내용을 확인하고 수리하여 다시 세웠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당시 지식인들의 금석학에 대한 큰 관심을 잘 보여주고 있다.

<청제중립비 뒷면>

<옆에서 본 모습>

<비각 바깥쪽에서 본 모습.>

<비각>

2기의 비석은 원래 다른 위치에 있었는데 지금은 청못 앞 한쪽편 비각에 보관되어 있다.

<영천 청못>

삼국시대에 처음 세워진 인공 저수지로 그 규모나 형태는 바뀌었지만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영천 청제비, 보물 517호, 경북 영천시 도남동
이 비는 신라시대 청못이라는 저수지 수축과 관련 있는 양면비이다. 비는 화강암의 자연 판석으로 장방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크기는 높이 114 cm, 폭 94 cm, 두께 16 cm이다. 비면에는 행간이나 윤곽선은 없고 양면을 가공하여 글자를 새겼는데 그 양면의 비문은 각기 다른 연대와 내용을 담고 있다. 비의 한면은 병진년 (법흥왕 23년, 536년)의 간지가 적혀 있는 것으로 청못을 처음 축조한 기념으로 새긴 것이다. 다른 면은 정원 14년(원성왕 14년, 798년)의 절대 연대가 적혀 있는 것으로 청못의 일부 무너진 둑을 다시 수리한 사실이 적혀 있다. 이러한 비문 내용은 신라시대 벼농사 및 수리시설과 관련이 있는 점에서 그 가치를 높이 평가 할 수 있다. 청제비 서쪽에 숙종 14년(1688)에 세워진 청제중립비가 있다. 비문에 의하면 효종 4년(1653)에 비가 두 동강이 나서 땅속에 매몰되어 그 고적이 전하지 못하게 된 것을 안타깝게 여긴 세사람이 다시 세웠다는 내용을 적고 있다. 위의 비문들은 1960년 12월 신라 삼산학술조사단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안내문, 영천시청, 2020년)

<출처>

  1. 안내문, 영천시청, 2020년
  2.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3.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0년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