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주 장항리 사지(사적)

경북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에 있는 통일신라 절터인 장항리 사지(사적)이다. 불국사에서 감은사지와 대왕암으로 연결되는 도로변에서 볼 수 있는 절터이다. 절터에는 서오층석탑(국보)와 동탑의 석재들, 석조불대좌가 남아 있다. 토함산 동남쪽 계곡에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좁은 공간에 2개의 탑을 세우고 동쪽에 금당이 배치되어 있다. 강당이나 회랑 건물터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전형적인 쌍탑, 1금당의 가람배치와는 약간 차이가 있다. 석조대좌 위에 놓여 있던 불상은 상반신만 남아 있는데 현재는 경주박물관 마당에 전시되어 있다. 절의 이름이나 내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뒷편에서 본 장항리사지(사적)>

절터 동쪽에는 불상을 모셨던 석조대좌가 남아 있는 금당터가 있다. 석조대좌에는 안상에 신장상과 동물상이 새겨져 있으며 위에는 불상을 꽂았던 큰 구멍이 있다. 불상은 절터에 흩어져 있었는데 복원하여 경주박물관 마당에 전시하고 있다.

<금당터>

<경주박물관에 전시된 불상>

<석조대좌>

<금당터에서 볼 수 있는 주춧돌>

절터는 동.서 2개의 오층석탑이 세워진 쌍탑식 가람배치를 하고 있다. 서탑은 일제강점기에 파괴된 것을 복원하였으며, 동탑은 계곡에 남아 있던 1층 몸돌과 머리돌들을 모아서 쌓아두고 있다.

<동.서 오층석탑>

탑은 2층 기단위에 5층 탑신을 올려놓은 오층석탑이다. 탑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비례가 안정적이며, 돌을 다듬은 조각수법도 뛰어나다. 경주에서는 흔치 않은 오층석탑 형식을 하고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인 8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경주 장항리사지 서오층석탑(국보)>

<동오층석탑>

<1층 몸돌에 새겨진 문짝과 인왕상(남쪽)>

<인왕상 (동쪽)>

<인왕상 (북쪽)>

<인왕상 (서쪽)>

절터는 경주에서 감은사지와 대왕암이 있는 감포해변으로 가는 도로변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언덕에 우뚝 서 있는 오층석탑을 보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곳에 절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경주 장항리사지(사적)>

<절터가 있는 토함산 동쪽 계곡>

경주 장항리 사지, 사적, 경북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 1081
이 절터는 토함산(吐含山)에서 동쪽으로 뻗어내린 산줄기가 두 계곡과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다. 계곡 물은 대종천(大鐘川)을 따라 흘러 감은사지(感恩寺址)를 지나 대왕암(大王岩) 근처에서 동해에 이른다. 계곡의 높은 절벽 위에 터를 닦고 중앙에는 불상을 모시기 위한 금당을 마련하였다. 잘 다듬은 돌로 기단을 만들고 위에 덮개돌을 얹었던 흔적이 있으며 건물의 앞쪽으로 계단을 마련 하였다. 불상을 놓았던 대좌(臺座)가 남아 있는데 아래·위 두개로 되어 있다. 아래 돌은 여덟 방향에 창 모양의 안상 (眼象)을 만들어 네 곳에는 동물을, 다른 네 곳에는 신장(神將)을 조각하였다. 위에 얹은 돌은 아래·위로 붙은 연꽃을 16송이씩 조각하였다. 이 곳에 깨어진 불상이 있었는데 1932년 서탑을 복원하면서 국립경주박물관 정원에 옮겨 일부를 붙여 세웠다. 통일신라 시대의 일반적인 절 배치에서 보이는 금당 앞의 중문이나 뒤의 강당, 회랑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것이 없다. 이 절터에 있는 동·서 5층석탑은 1923년에 도굴꾼들이 무너뜨린 것을 9년 뒤인 1932년에 복원·정비한 것이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5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