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회화

  • 순천 송광사 혜심고신제서(국보), 고려시대 송광사에 내려진 고문서

    순천 송광사에 전해 내려오는 고문서인 혜심고신제서(국보)이다. 고려중기 1216년(고종 2)에 송광사 제2세 진각국사 혜심에게 대선사의 호를 내린다는 내용이 적혀있는 고문서이다. 비단 7장을 이어만든 두루마리에 글씨를 쓴 것이다. 당시 공문서의 양식, 제도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혜심고진제서(국보).> 고려 고종이 송광사의 제2세 국사인 진각국사 혜심에게 대선사의 호를 내린다는 내용이다. 주로 국사의 학문과 덕망을 높이 찬양하는 내용으로…

  • [송광사박물관] 십육조사 진영 (보물)

    승보사찰로 불리는 송광사는 한국을 대표하는 수행도량으로 사찰 가람배치와 유물 등에서도 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런 특징을 잘 보여주는 전각으로 전각으로 16국사를 모신 국사전(국보)와 작은 요사채인 하사당(보물)이 있으며, 유물로는 제2세 진각국사에게 내려진 공문서인 혜심고신재서(국보), 국사전에 모셔졌던 16국사 진영(보물 ) 등이 있다. 16국사는 고려중기 불교개혁운동인 정혜결사를 이끌었던 보조국사 지눌을 비롯하여 고려말까지 국사를 지낸 16명의 승려를 말한다.…

  • 고성 옥천사 괘불

    경남 고성 옥천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괘불이다. 10 m가 넘는 거대한 규모로 19세기 초에 그려진 불화이다.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설법을 펼치는 장면을 표현한 영산회상도이다. 주위 배경은 생략학고 인물을 중심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석가여래와 좌.우 보살을 크게 표현하고 제자들과 타방불 등은 작게 그리고 있다. 화려한 채색이 펼쳐진 화면에는 부처와 두 보살이 자리잡고 있다. 중앙의 부처는 석가모니불로 왼손은 가슴 쪽에서…

  • 유숙이 그린 19세기를 대표하는 매화 그림(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홍백매도(보물)이다. 조선후기 도화서 화원이었던 유숙(1827 ~1873년)이 그린 매화가 그려진 8첩 병풍이다. 화면전체에 가지를 펼친 매화를 섬세하면서도 힘찬 필치로 그렸다. 19세기에 유행한 매화그림을 대표하는 걸작으로 그가 그린 유일한 매화그림이다. <홍백매도(보물)> 19세기에 유행했던 매화그림을 대표하는 걸작이다. 화원으로 시사모임 벽오동에서 활동했던 유숙의 대표작이다. <매화를 그린 부분> 고목에 활짝 핀 매화를 섬세하면서도 힘있는 필치로 표현하고 있다.…

  • 흥선대원군 이하응 초상화(보물)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초상화(보물). 구한말 최고의 어진화사 이한철이 그렸는데 다양한 복식을 하고 있는 5점의 초상화가 남아 있다. 초상화에 나타난 흥선대원군의 복식은 <흑단령포본>, <흑건청포본>, <와룡관학창의본>, <복건심의본>, <금관조복본>이 있다. 의관과 기물이 매우 화려하며 당대 최고의 화가가 그린 초상화답게 표현이 매우 뛰어난 걸작이다. 초상화와 함께 초상화를 보관했던 영덩함 등이 고스란히 전하고 있어 당시 초상화와 관련된 문화를 잘…

  • 단원 김홍도가 그린 풍속화 화첩(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단원풍속도첩(보물)이다.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천재 화가 김홍도가 그린 풍속화 25점이다. 그림은 종이에 먹과 옅은 채색을 하여 그린 작은 크기의 그림이다. <씨름>, <무동>, <대장간> 등 대표적인 풍속화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눈에 익은 그림들이다. 서민들이 살아가는 일상의 모습을 간략하면서도 익살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배경을 간단하게 처리하고 장면만을 강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의 정감이 배어나고 생동감이 넘친다. 짜임새 있는 구성과…

  • 혜원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 화첩(국보)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풍속화 화첩(국보)이다. 조선후기 화가 신윤복(1758~ ?)이 그린 풍속화로 <주사거배(酒肆擧杯)>, <홍루대주(紅樓待酒)> 등 30여점으로 구성된 화첩이다. 한량과 기녀를 중심으로 남녀간의 애정, 낭만, 양반사회의 풍류 등을 표현하고 있는데, 섬세한 필선과 아름다운 색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등장인물들은 선정적인 느낌을 주고 있으며 주위 배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2016년 가을 중앙박물관에서 기획한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