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경주
-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불상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경주 남산 용장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마애여래좌상(보물)이다. 삼층석탑 아래 조그마한 공간에 바위벽에 돋을새김으로 새겨진 마애불상이다. 얼굴은 원만하게 표현했으며 신체의 균형이 잘 잡혀 있다. 이 불상은 활력있는 형태, 세련된 선의 흐름 등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8세기 통일신라 불상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손꼽힌다. 바위앞 좁은 공간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와 함께 용장사에서 불전이…
-
경주 사천왕사지(사적), 삼국통일 후 문무왕이 처음 세웠던 사찰터
경주시 배반동 낭산(狼山) 선덕여왕릉 아래에 있는 사천왕사(四天王寺, 사적 8호) 절터이다. 사천왕사는 경주에서 7곳의 신선한 숲 중 하나인 신유림(神遊林)에 세운 칠처가람 중 하나이다. 문무왕이 삼국을 통일한 이후에 처음 지은 사찰로 당나라의 침략을 막기 위해 세웠다고 한다. 사천왕사가 위치한 곳은 경주에서 울산을 통해 일본과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동해안에 조성된 문무왕 수중릉과 함께 삼국통일 후 일본을 경계했던 문무왕의…
-
경주 서출지(사적), 신라 소지왕과 관련된 전설이 남아 있는 전통 연못
경북 경주시 남산1길 남산 기슭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서출지(書出池, 사적)이다. 서출지는 삼국시대부터 존재했던 곳으로 『삼국유사』에 연못과 관련된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신라 소지왕때 이곳에서 노인의 편지를 받아 죽을 위기를 넘겼다는 내용으로 그 후 이 연못이 이름이 서출지가 되었다고 한다. 서출지는 삼국시대 이래로 경주의 명소가 되었으며 조선 중기 임적이라는 사람이 연못가에 ‘이요당’이라는 정자를 짓고 풍류를 즐겼다고 한다.…
-
경주 이요당, 서출지 연못 한쪽에 지은 작은 정자
경북 경주시 남산동에 위치한 작은 정자인 이요당(二樂堂)이다. 이 정자는 『삼국유사』에 그 리록이 남아 있는 오래된 연못인 서출지(사적138호) 안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정자는 조선 후기에 처음 지어진 건물로 그 후 여러 차례 중수를 거치면서 누마루가 있는 전형적인 조선후기 사랑채 건물 형태를 하고 있다. 건물은 앞면 4칸, 옆면 2칸에 누마루가 있는 ‘ㄱ’자형 구조를 하고 있다. 건물규모는 크지…
-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 일괄(보물), 서역인 얼굴이 사실적으로 표현된 무인석 외
경북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원성왕릉 입구에 세워진 석상 및 석주(보물)이다. 후대 왕릉 석물의 모범이 되는 석물들로 문인석 1쌍, 무인석 1쌍, 사자상 4점, 석화표 1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무인상은 그 생김새가 서역인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어 통일신라시대 서역과의 교류를 나타내는 유물로 여겨지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처용가’에 등장하는 처용을 일컫는다고 한다. 문인상 또한 후대 왕릉의 문인상이 나약한…
-
경주 기림사삼층석탑,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 삼층석탑
경북 경주시 양북면 기림로 기림사 경내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이다. 이 석탑은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위층 기단 몸돌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탑신 몸몰에는 각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장식은 낡았지만 머리장식받침과 그릇모양의 복발, 연꽃모양의 장식이 남아 있다.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하고 있지만 석탑의 크기도 작고 조각수법도 약간 떨어지는…
-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보물), 석굴사원에 조성된 통일신라 마애불상
경북 경북면 양북면 안동리에 위치한 골굴암(骨窟庵)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보물)이다. 경주 토함산 동쪽편 기림사 골짜기의 높은 암벽에 위치한 자연굴을 이용해 만든 석굴 중 가장 윗부분 바위에 새겨놓은 마애불상이다. 자연석의 석질이 고르지 않이 일부 손상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조각수법이 뛰어나며 입체감이 돋보인다. 머리위에는 상투모양의 육계가 높이 솟아 있고, 얼굴의 윤곽이 입체적이면서 뚜렷하다. 얼굴에 비해 신체는 평면적이며 넓게 표현되어…
-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과 비로자나삼불회도(보물)
경주 기림사 주불전인 대적광전에 모셔진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와 삼불회도(보물)이다.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은 불전에 모셔진 비로자나불과 양쪽에 같이 모셔진 약사불, 아미타불을 말한다. 조선시대에 주로 만들어진 소조불상으로 향나무로 틀을 만든뒤 흙을 발라서 만들었다. 현존하는 소조불상 중 비교적 이른 시기인 조선중기에 만들어졌다. 불상 내부에는 다량의 전적류(보물)과 개금중수발원문이 발견되었다. 개금발원문 내용 중 1564년 불상개금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불상은 그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
경주 성덕대왕신종(국보), 2011년
경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에밀레종’으로 불리기도 하는 성덕대왕 신종(국보)이다. 이종은 현존하는 범종 가운데 가장 큰 종으로 높이 3.5 m, 무게 18.9 t에 이르는 큰 종이다. 이 종은 크기뿐만 아니라 장식된 문양이나 세부조각 수법이 상당히 뛰어나며, 그 구성 또한 독창적이면서 후대의 모범이 되었던 종이다. 종의 몸통 아래와 위쪽에는 꽃무늬가 있는 띠로 장식되어 있고 종을 치는 부분에는 연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