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중앙박물관 도자공예-청자실] 고려청자 전성기 걸작, 상형청자

전성기 고려청자 중에는 인물이나 동물, 특정한 기물을 형상화한 상형청자들이 많이 만들어졌다. 이들 상형청자들은 예술적으로 조형미가 빼어난 수작들이 여러점 전해지고 있으며 고려청자를 대표하는 뛰어난 작품들로 평가받고 있다. 대표적인 상형청자의 형태로 종교행사에 사용되는 향로나, 물이나 술을 담는 병, 문방구의 하나인 연적 등이 있다. 고려청자를 대표하는 칠보무늬 향로(국보)를 비롯하여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원숭이모양 연적(국보), 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거북모양 주자(국보), 어룡모양주자(국보) 등이 고려청자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상형자기라 할 수 있다.

<고려청자 걸작들이 청자실 중앙에 전시되어 있다.>

좁은 공간에서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를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곳이다.

칠보무늬향로(靑磁透刻七寶文香爐, 고려12세기, 국보

투각, 상감, 음가, 양각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화려하게 만들어진 청자이다.

어룡모양주자(靑磁魚龍形注子, 고려12세기, 국보

용머리와 물고기 모양 몸통을 하고 있는 상상의 동물을 표현 상형청자이다.

사자모양향로(靑磁獅子形香爐, 고려12세기, 국보

비색청자가 절정기였던 12세기에 만든 상형청자이다. 청자 빛깔이나 조형적인 면에서도 작품성이 뛰어난 향로이다.

귀룡모양 주자(靑磁龜龍形注子, 고려12세기, 보물

 거북이 연꽃대좌 위에 앉아 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주전자이다. 얼굴은 용의 얼굴을 하고 있다.


물가풍경무늬정병(靑磁陽刻薸柳水禽文淨甁, 고려12세기, 보물

불교의식에서 사용하던 청동으로 만든 정병을 모방해서 만든 것이다. 제작수법이나 조형미가 뛰어나다. 버드나무 아래 원앙 1쌍이 헤엄치고 있는 장면과 갈대 기러기 1쌍이 노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석류모양주자(靑磁石橊形注子, 고려 12세기)


죽순모양주자(靑磁竹筍形注子, 고려12세기)

연꽃넝쿨무늬베개(靑磁透刻蓮唐草文枕, 고려12세기)

연꽃넝쿨무늬베개(뒷면)

고대 이래로 제례의식에 사용되었던 제기들을 모방해서 만든 상형청자들.

도철무늬향로(靑磁陽刻饕餮文香爐, 고려12세기),

고대 중국의 제기인 정(鼎)을 모방해서 만든 향로이다.

고려시대에는 불교 의식이나 제사에 향을 피워 놓기 위한 청자 향로가 많이 제작되었다. 이 가운데 중국의 청동기인 정을 모방한 청자 향로가 많다. 이 향로의 안쪽 면에는 글자기 있지만 읽기는 어렵다. 그 아래쪽에는 파도와 배를 탄 인물상이 음각되었다. <출처:중앙박물관>

도철무늬향로(靑磁陽刻饕餮文香爐, 고려12세기),

고대 제기인 발이 3개달린 솥인 정을 모방해서 만든 것이다. 당시에 이른 형태의 향로가 많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고려청자 향로에는 동식물 형상을 한 것도 있지만 이처럼 중국의 청동기인 방정을 충실히 모방한 것도 많다. 몸체에 양각된 도철은 중국 청동기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출처:중앙박물관>

연꽃잎무늬향로(靑磁陽刻蓮瓣文香爐, 고려12세기),

원앙모양 향로 뚜껑(靑磁鴛鴦形香爐蓋, 고려12세기)

이와 같은 형태의 향로는 상형물이 장식된 뚜껑이 있어 뚜껑의 상형물을 통해 향을 피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향로의 기본적인 조형은 중국 당대 금속기에 있으며, 북송대에 운영된 하남성 청량사 가마터에서도 청자향로편이 출토되었다. 비록 상형장식 뚜껑은 없지만 실용기와 감상용기의 성격을 모두 갖춘 수작이다. <출처:중앙박물관>

상형청자(像型靑磁, Sculptural Celadon)
인물이나 각종 동식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 청자를 말한다. 대표적인 특징만을 살려서 간결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실물보다 강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출처:중앙박물관>

일상생활용품으로 만들어졌던 상형청자들


여의두무늬병(靑磁陽刻如意頭文甁, 고려12세기)

연꽃잎무늬 대접(靑磁陽刻蓮瓣文大楪, 고려12세기),

연잎무늬가 양각된 대접 중 가장 아름다운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부드러운 선과 단정하게 깎은 굽 등은 최고의 기량을 가진 장인의 솜씨가 분명하다. 꽃잎 끝에 꽃술처럼 표현된 하얀 퇴화(堆花) 점은 시선을 모으는 중요한 요소이다. <출처:중앙박물관>

연꽃동자무늬주자(靑磁透刻蓮花童子文注子, 고려12세기)

1.석류모양 연적(靑磁石榴形硯滴, 고려12세기), 2.3.원숭이모양 먹 항아리(靑磁猿形墨壺, 고려12세기)

4.거북이모양 연적(靑磁龜形硯滴, 고려12세기),

5.오리모양 연적(靑磁鴨形硯滴, 고려12세기)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중앙박물관
4.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