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중앙박물관 발해실] 발해인의 생활, 건축, 불교문화

발해(渤海)는 고구려가 나.당연합군에 멸망한 이후 유민들이 말갈족과 함께 동모산 일대에서 세운 국가이다. 698~926년까지 약 230여년간 대동강 이북에서 중국 요령성, 길림성, 흑룡강성 일대의 넓은 영토를 차지하면서 통일신라와 함께 남북국시대를 이루었다. 발해는 당의 선진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서, 당시 동아시아에서 큰 규모의 국가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당나라와 일본과 적극적인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발해는 세계적인 초피(담비가죽)의 생산지였다. 이 초피는 후대에 러시아가 연해주까지 동진했던 동기가 되었던 무역상품으로 당시 중국,일본,신라,서역 간의 교류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던 품목이다. 이를 통해서 생긴 부의 결과로 발해는 상당한 수준의 건축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발해는 말갈족과 같이 공존했던 다민족 국가이지만 수도인 상경 등지의 주거지 유적에서 고구려 계통의 난방 시설인 구들이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를 계승했음을 확연히 알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박물관이지만, 발해 관련 유물은 거의 없다. 현재 전시하고 있는 유물들은 역사를 소개하는 일관성과 교육적인 면을 고려하여 일본과 러시아에서 소장하고 있는 발해를 대표하는 유물의 복제품을 전시하고 있다.

<중앙박물관 발해실>

발해의 강역이었던 만주와 연해주 일대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발굴한 유물들과 러시아에서 발굴한 유물들의 복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발해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전시실이다.

발해 강역과 교통로

 

말갈식 토기, 바리,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연해주 마리야노브까 성터, 바리, 복제품,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연해주 체르냐치노.니콜라예프카

고구려식 토기, 항아리,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연해주 마리야노브까 성터, 항아리, 복제품,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연해주 크라스키노.니콜라예프카

발해의 토기
발해의 토기는 크게 고구려계와 말갈계로 나누어진다. 고구려계는 흑색이나 회색을 띠며 높은 온도에서 구운 것으로, 표면은 매끈하게 연마되어 있고 고구려의 토기와 많이 닮았다. 말갈계는 적갈색을 띠며 낮은 온도에서 구운 것으로, 아가리 근처에 덧띠무늬가 부착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발해에서는 당나라의 삼채 기법을 받아들여 만든 각종 도기가 발달하였다. <출처: 중앙박물관>

 

1.청동목걸이(연해주), 2.마차부속구(중국 지린성), 3.청동방울,

4.골제장식판(연해주), 5.토제인물상(연해주), 6.뒤꽂이

7.청동허리띠, 연해주

8.청동부절, 연해주,  9.말탄인물상, 연해주

8.청동부절, 연해주,  러시아 연해주의 니콜라에프카 성터에서 발견된 것으로 원래는 두개가 짝을 이루어 서로 합하면 옆면에 ‘합동合同’이라는 글자가 완성된다. 뒷면에 새겨진 ‘조효위장군 섭리계’라는 글씨에서 당시 발해 변방의 성을 지키던 인물의 이름과 관직명을 알 수 있다.

10.청동허리띠, 연해주,

11.철검, 연해주,

 12.철제보습, 연해주, 13.화살촉, 중국 지린성

발해인의 생활
발해 사람들은 겨울에 추위를 막기 위해 담비나 표범 가죽으로 지은 옷을 입었다. 귀족들은 당나라나 일본에서 들여온 비단옷을 입었는데, 지위에 따라 옷차림이 달랐다. 일반 사람들은 대개 움집에 살았지만 왕족이나 귀족 등 지배층은 녹색 유약까지 바른 화려한 기와를 올린 저택에서 살았다. 음식은 주로 토기에 담아 먹었는데, 나중에는 유약을 바른 도기나 발해 삼채도기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 밖에 발해인의 생활을 살펴볼 수 있는 각종 도구와 무기, 장식품 등은 주로 철이나 청동 등 금속으로 만들었는데 건축 양식처럼 고구려의 전통을 이은 것이다. <출처:중앙박물관>

글자가 새겨진 기와, 남북국시대(발해), 큰 大, 지킬 保, 어조사 于,

터럭지 毛 땅 地, 토끼 卯(?),하늘 天,

(?),  이룰 成,  집 舍,

지킬 保 덕 德, 도장 印, 토끼 卯

발해 지역에서 출토된 문자가 적혀있는 기와와 일본과 교류를 보여주는 문서와 목간 등이 있다.

일본 헤이조교 출토 목간, 복제품, ‘발해사渤海使’목간, ‘초피貂皮’ 목간, ‘맥인급미貊人給米’ 목간,  ‘견고려사’ 목간, 남북국시대(발해) 8세기, 일본 나라현 헤이조교,

일본 헤이조교 출토 목간, 복제품, 일본 나라현 헤이조교에서 발견된 발해 관련 목간이다. 글자 중에 ‘발해사渤海使’, ‘교역交易’, ‘맥인貊人’, 발해의 특산물인 ‘초피貂皮’ 등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발해와 일본이 활발히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발해사渤海使’목간, ‘초피貂皮’ 목간, ‘맥인급미貊人給米’ 목간,  ‘견고려사’ 목간, 남북국시대(발해) 8세기, 일본 나라현 헤이조교, 758년에 발해 사신 양승경과 함께 발해에 갔다온 일본의 오노다모리 일행을 특진시킨다는 내용이다. 발해에 보낸 사신을 ‘견고려사’라고 하여 발해를 고려(고구려)로 칭하고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중대성첩 사본, 복제품, 남북국시대(발해) 841년, 일본 궁내청 소장,

함화 11년(841) 발해 중대성에서 일본에 보낸 외교문서의 필사본이다. 발해와 일본 사이의 외교 관계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대외교류와 문자
발해는 당과 서로 견제하면서도 당의 선진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한편, 신라에는 발달된 문화를 전해 주기도 하였다. 일본에서는 당시 발해와의 활발한 교류를 보여주는 목간과 외교문서 등이 확인되고 있다. 발해의 도성에서는 문자가 찍힌 기와도 발견되는데, 마치 도장처럼 한 글자만 찍혀 있으며, 기호와 비슷하여 뜻을 알 수 없는 것도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발해지역에서는 많은 불교 관련 유적이 출토되고 있으며, 그 중 수도였던 상경의 절터에 있던 석등이 가장 유명한 것으로 보인다. 발굴된 유물들로 보아 발해의 정신세계를 지배했던 것은 불교였고, 상류층부터 하류층 서민까지 불교가 생활 속에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중앙박물관에는 발해관련 유물의 진품은 전시되어 있지 않고, 일제 강점기에 발해의 수도였던 헤이룽장성 상경부를 조사.연구했던 일본 도쿄대에서 많은 유물을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연해주 지역은 러시아 과학원에서 발굴작업을 하여 크고 작은 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관음보살,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부처, 복제품,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중국 헤이룽장성 낭안시 상경성, 도쿄대 소장,

크기가 작은 불상으로서, 금박을 하거나 유약을 입힌 것이 발견되기도 한다. 법단의 벽면이나 불단에 조성된 천불에 사용되었던 것이다. <출처:중앙박물관>

글씨가 있는 불비상, 사암, 복제품, 남북국시대(발해) 834년, 일본 오하라 미술관 소장,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가르팀을 듣는 승려와 보살이 새겨져 있다. 위에는 용으로 보이는 2마리의 동물이, 아래에는 글씨와 인왕상이 새겨져 있다. 글씨는 함화 4년(834) 발해 허왕부의 관리였던 조문휴의 어머니가 모든 불제자들을 위해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허왕이 관할하던 관청이 있었고 그 허왕 위에 발해 황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부처상,

헤이룽장성 낭안시 상경성에서 출토된 크기가 작은 불상으로서, 금박을 하거나 유약을 입힌 것이 발견되기도 한다. 법당의 벽면이나 불단에 조성된 천불에 사용되었던 것이다.

부처,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부처, 복제품, 석회암,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중국 지린성 훈춘시 팔련성, 일본 도쿄대 소장, 석가와 아보 두 여래상이 나란히 앉아 있는 모습으로, 광배에는 연꽃을 통하여 다시 태어나는 동자상 5구를 돋을새김하였다.

관음보살, 금동, 복제품, 남북국시대, 연해주 크라스키노, 관음보살, 금동, 복제품, 남북국새대(발해) 8~9세기, 중국 헤이룽장성 닝안시 상경성,

넓은 어깨와 튼튼한 두 다리 등 강건한 고구려 불상의 전통이 그대로 남아 있다. 불상 뒷면에는 광배를 고정시켰던 꼭지가 달려 있다.

발해의 불교
발해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지배하였던 것은 불교였다. 상경, 동경, 중경 등 지배 계층이 살고 있던 도성에서 절터가 집중적으로 발견되어 불교가 지배층을 중심으로 널리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정효공주 무덤이나 마적달무덤 등 왕족과 귀족의 무덤에는 묘탑(墓塔), 능사(陵寺, 무덤에 딸린 절)가 지어 지기도 하였다. 벽돌로 쌓은 영광탑과 상경성 제2절터에 있는 석등, 그리고 도성에서 많이 출토된 토제 불상 등은 당시 융성했던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출처:중앙박물관>

발해를 대표하는 유물인 석등 사진

석등은 발해의 세번째, 다섯번째 수도였던 상경성 제2절터의 묘당 앞에 있으며 상경성을 건설할 때 만들어졌다. 현재 발해의 석등으로는 유일하게 남은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고 큰 석등에 속한다. 석등의 복원 높이는 6.4m이다. 검푸른 용암으로 만든 석등은 받침대, 기둥, 불집과 머리 4개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맨밑에는 바닥돌을 한 벌 깔았다. 받침대와 불집을 비롯한 석등의 기본 요소들의 평면은 8각형이다. 또한 밑돌, 가운데돌, 갑돌로 된 받침대 옆면에는 연꽃을 옆에서 본 모습을, 배부른두리기둥형식으로 된 기둥돌 아래와 위에는 서로 마주 바라보이게 풍만한 연꽃을 새겼다. 불집대돌, 불집돌, 지붕돌로 된 불집부분은 8각 정자처럼 생겼다. 불집대돌 귀마다에는 난간기둥을 꽂았던 구멍이 있다. 불집돌 8면에 모두 장방형의 불구멍을 냈다. 골기와지붕을 형상한 지붕돌에는 서까래, 평고대, 곱새기와에 이르기까지 섬세하게 나타냈다. 그리고 머리부분에는 양식화된 복발, 보륜, 수연, 보개 등이 남아 있다. 석등은 형태와 장식에서 아래 위의 대조가 잘 이루어지고 균형이 잡혔으며 조각술이 우수한 당대의 걸작품이다. 상경성 석등은 3각형, 4각형, 8각형, 다양한 원들을 배합한 도식적 방법으로 쉽게 구분된다. 불집대돌일면 중심에서 바닥돌 한쪽 끝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그리고 바닥돌의 너비를 한변으로 하는 정8각형을 내접시키면 바닥돌과 그 대응변까지의 높이가 돌등의 복원 높이로 된다. 이 석등에 보이는 많은 8각형 요소들의 적용, 배부른 기둥, 그 측도 기준 등을 통해 발해의 건축기술이 고구려의 그것을 이어받았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발해의 왕성이었던 상경 궁궐터에서 출토된 것으로 보이는 용머리장식을 비롯한 유물들을 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발굴조사하여 일본내 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중앙박물관에는 복제품들을 전시하여 발해의 강성함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용머리, 돌, 복제품,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중국 헤이룽장성 닝안시 상경성,

건물 기단에 끼워 넣어 장식하였던 것으로 벽면에 튼튼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뒷부분을 쐐기 모양으로 길게 깎아내고 고정하기 위한 홈을 팠다. 상경성을 비롯한 발해의 도성에서 몇 개가 출토되었지만 형태와 조각 기법은 모두 같다. 귀밑까지 찢어진 입, 날카로운 이빨, 툭 튀어나온 두 눈, 머리에서 귀 뒷부분까지 이어진 갈퀴 등이 어떤 악귀도 얼씬하지 못한 상스러운 용의 모습이다. <출처:국립중앙박물관>

옆쪽에서 본 용머리. 현재 중국 자금성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장식이다.

용머리, 돌, 복제품,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중국 헤이룽장성 닝안시 상경성,

용의 얼굴을 하고 있으며, 건물기단에 끼워 장식했던 것이라고 한다. 여러개가 출토되고 있으며 현재 북경 자금성 월대 배수구 역할을 하는 동물의 얼굴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북경 자금성 태화전 월대의 짐승머리 배수구.

비슷한 의미를 가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막새, 남북국시대(발해), 벽돌, 복제품,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연해주 크라스키노,

수막새, 남북국시대(발해)

암키와, 남북국시대(발해), 중국 지린성

벽돌,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주춧돌 장식, 복제품,

헤이룽장성 낭안시 상경성에서 출토된 유물로 일본 도쿄대에서 소장하고 있다.고운 진흙을 사용한 것으로 표면에 녹색 유약을 발랐다. 나무 기둥과 주춧돌이 만나는 부분에 씌워 기둥을 장식하는 한편, 기둥 밑이 썩는 것을 방지했다고 한다. <참조:국립중앙박물관>

치미, 복제품,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중국 헤이룽장성 닝안시 상경용천부,

평양 조선중앙역사박물관 소장하고 있다. 발해를 대표하는 유물로 유약을 발라서 구워서 아주 튼튼해 보인다. 치미는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이후 거의 없으졌으나, 일본.중국에는 치미가 있는 건물이 아직도 많다.

치미는 고대 목조 건축에서 용마루 양쪽에 높게 올려 건물을 장엄하게 보이는 장식 기능과 재앙을 막는 벽사적 의미를 담은 장식물이다. 진한 녹색의 유약이 발렸으며, 두 날개는 각 17개의 돋을 선으로 새의 깃을 표현하였다. 날개와 몸통 사이에 7개의 구멍을 뚫고, 거기에 머리가 꽃모양으로 생긴 장식을 맞추어 넣었다. 펼친 두 날개 사이로 주둥이를 내민 듯한 형상이 힘 있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출처:중앙박물관>

짐승얼굴기와, 복제품, 남북국시대(발해) 8~9세기, 중국 헤이룽장성 닝안시 상경성,

금방이라도 튀어나올 듯 부리부리한 눈, 크게 벌린 입에 날카롭게 튀어나온 송곳니와 길게 내민 혀, 벌럼거리는 코 등 사납고 험상궂은 짐승얼굴을 형상화하였다. 짙푸른 녹색 유약까지 입혀져 더욱 기괴한 인상을 주고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발해의 도성
발해는 넓은 영토를 효과적을 다스리기 위하여 상경, 중경, 동경, 서경, 남경의 5경을 두었다. 국가 발전을 위해 상경, 중경, 동경 등으로 여러 차례 수도를 옮겼는데, 상경에서 가장 오랫동안 머물렀다. 발해의 도성은 평지에 네모지게 쌓은 외성을 두르고 그 안은 궁궐이 있는 궁성과 관청이 있는 황성으로 나뉘었다. 특히 상경성은 외성의 둘레가 무려 17km로 당시 동아시아에서 당나라 장안성 다음으로 큰 도시였다. <출처:중앙박물관>

발해의 건축

발해 건축의 특징은 도성 안밖에 있던 궁전, 관청, 집, 사원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건축물들이 서로 어울려 도성을 이루고 있었다. 발해의 건물터에는 고구려를 비롯하여  한민족 특유의 난방시설인 구들이 있어서 발해의 건축 양식이 고구려의 건축 양식을 이어받았음을 보여준다. 발해 건물터에서 발견되는 잘 다듬은 주춧돌과 녹색 유약을 발라 구운 주춧돌 장식, 건물 기단에 놓인 용머리 상, 그리고 갖가지 화려한 무늬와 기와 등 건축 부재에는 발해 특유의 미감이 잘 나타나 있다. <출처:국립중앙박물관>

발해(渤海)
발해(698~926년)는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들을 모아 만주 동모산일대에 세운 나라이다. 전성기의 발해는 대동강 이북의 한반도 북부지역,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지린성(吉林省), 헤이룽장성(黑龍江省)과 러시아의 연해주 일대에 이르는 넓은 영토를 차지하였다. 중국에서 ‘바다동쪽의 융성한 나라(海東盛國)’로 칭송할 정도로 수준 높은 문화를 이루었으며, 선진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각종 제도를 정비하였다. 발해는 넓은 영토를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하여 5경을 두었고, 여러 차례 수도를 옮겼다. 도성인 상경.중경.동경에서는 잘 지어진 궁전 건축물과 화려하게 장식된 기와, 벽돌, 용머리, 토기, 무기, 각종 불상 등이 출토되어 발해 사람들의 높은 문화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