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서울 경운동 민병옥 가옥, 1930년대 건축가 박길용이 설계한 개량 한옥

서울 경운동 천도교중앙대교당 앞에 위치한 ‘경운동 민병옥가옥’이다. 이 가옥은 조선시대부터 있었던 전통 한옥은 아니고, 1930년대 지어진 개량한옥이다. 최초의 서양 건축가였던 박길룡이 설계한 집으로 대청마루를 작게 하고, 응접실 용도의 방을 별도로 두고 있는 등 개량한옥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전통한옥과는 달리 주요 방들 앞 툇마루에는 유리창을 설치하여 보온과 채광을 고려하였으며, 현관과 출입문을 뒷편에 배치해 놓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의 구분이 없으며, 앞마당은 정원으로 꾸며놓고, 뒷마당은 생활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외형은 한옥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건물배치나 구조 등은 동시대나 이후에 지어진 양옥집과 거의 비슷하다. 지금은 식당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경운동 민병옥 가옥’이란 이름으로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경운동 민병옥 가옥>

건축가 박길용이 1930년대에 박길룡이 설계한 대표적인 개량한옥이다.  건물은 가운데 몸체와 양쪽에 날개채를 연결한 H자 평면을 하고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의 구분 없이 1동의 건물로 되어 있다. 외형상 한옥을 모습을 하고 있지만 서양주택의 장점을 반영하고 있다.

<마당>

건물의 중심이 되는 대청마루를 좁게하고 생활공간인 안방과 거실을 앞쪽에, 부엌과 욕실 등 편의 시설을 뒷편 건물내에 배치한 개량한옥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현관과 출입문을 건물 뒷편에 두고 있다. 이런 건물 구조는 동시대와 이후에 지어진 양옥주택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툇마루 유리문>

안방, 거실 등 생활공간을 햇볕이 잘 드는 남쪽에 배치하여 채광을 중요시하고 있다. 또한 툇마루 바깥쪽에 유리문을 설치하여, 바람이 잘 통하지만 추웠던 기존 한옥의 불편함을 보완하고 있다.

<사랑방>

손님을 접견하는 사랑채를 생활공간인 안채과 분리하는 전통 한옥과 달리 손님을 맞는 넓은 거실을 건물내에 두고 있다.

<작은 별채>

건물 바깥에 작은 별채를 두고 있는데, 집안일을 돌보는 사람들이 거처하는 행랑채 성격을 갖고 있다.

<출입문>

현관은 건물 뒷편에 있으며, 문간채를 두고 있지 않고 대문 대신 작은 협문을 사용하고 있다.

<마당>

이 가옥은 민영휘의 아들인 민대식이 두아들을 위해 지어준 같은 모양의 한옥 중 북쪽편에 있던 한옥이다. 남쪽편에 있던 한옥은 ‘정순주가옥’이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가 1994년 월계동으로 이건되어 ‘월계동 각심재’라는 이름으로 재실건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 가옥 서쪽편에는 ‘경인미술관’이라는 사설미술관이 있는데, 이곳은 지금은 남산골한옥마을로 옮겨진 ‘관훈동 민씨가옥’이 있던 곳이다. 휘문고등학교 설립자이자이기도 한 민영휘는 명성황후의 먼친척으로 구한말 대표적이 탐관오리로 임오군란때부터 공공의 적으로 지탄을 받아 그의 집이 부서지는 등 화를 입었으며, 갑오경장때에도 탐관오리로 유배를 받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 탐관오리를 하면서 수탈한 재물을 불려서 조선최고의 갑부였다고 한다. 경인미술관을 중심으로 약 4천여평의 부지가 민영휘 일가의 저택이 있던 곳이다.

<밖에서 본 모습>

민영휘의 아들인 민대식이 두아들이 위해 이곳에 2동의 개량한옥을 지었다고 한다. 현재는 뒷편에 있던 ‘민병옥가옥’만 남아 있고, 앞쪽에 있던 가옥은 월계동으로 옮겨져 재실건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경운동 일대>

‘민병옥가옥’은 구한말 탐관오리이자 친일파인 민영휘 일가가 살았던 대지 4천여평에 이르는 한옥 중 일부이다. 이곳에는 천도교중앙교당, 라이온스회관, 운현궁, 탑골공원이 모여 있는 곳으로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에 부호들이 모여살았던 종로 도심의 중심이었던 곳이다.

<관훈동 민씨가옥이 있던 자리>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안채와 중문간채가 있던 곳에는 사설미술관인 ‘경인미술관’이 세워져 있다. 미술관은 여러동의 한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원래 건물들을 남산골 한옥마을로 옮기면서 새로 지은 건물들이라고 한다.

서울 경운동 민병옥 가옥, 서울 종로구 경운동, 1930년대
이 집은 민영휘의 아들 민대식이 두아들 민병옥과 민병완을 위해 같은 모양으로 나란히 지은 두 채의 주택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건축가인 박길룡(1898~1943)이 설계하였으며, 현재 이 집은 음식점으로 고쳐서 사용되고 있다. 박길룡은 전통적인 한옥에서 채광이 잘 되지 않는 안방과 불편한 동선을 개선하고자, 모든 방들이 집약된 H자형 평면으로 설계하였다. 안방을 비롯한 주요 방들은 전면에 배치하여 채광과 전망을 좋게 하고, 대청을 한 칸 규모로 축소하는 대신 별도로 응접실을 두었다. 현관.화장실.욕실은 후면에 두었으며, 이것들을 긴 복도로 연결하여 거주자의 편의를 꾀하였다. 툇마루에는 유리창을 설치하였다. 이 주택은 한옥 개량 운동을 펼친 박길룡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1930년에 근대적 주거양식이 전통 한옥에 접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다. <출처:서울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