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궁궐

  • 홍문관과 예문관, 국왕의 정책을 자문하고 보필하는 기관

    창덕궁 금천 동쪽편에는 궐내각사로 홍문관, 예문관, 내의원 등이 정전인 창덕궁 인정전 바로 옆에 자리잡고 있다. 홍문관은 원래 왕실을 서적을 관리하고 국왕을 자문을 정책연구기관이었다. 반면에 예문관은 승정원처럼 국왕의 말과 글을 대신 짓는 등 실무적으로 국왕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는 기관이다. 창덕궁 궐내각사 중 국왕과 가장 가까운 곳에 예문관과 내의원이 위치하고 있고, 그 앞쪽에 국정을 자문하는 홍문관이…

  • 북한산성 행궁지(사적), 국왕의 임시 거처인 양주행궁 터

    북한산성내 동장대가 바라 보이는 상원봉 아래에는 조선시대 행궁터가 남아 있다. 북한산성은 조선시대 양주목 관할이었기때문에 양주행궁이라 한다. 조선시대 중요한 행궁이었던 강화행궁, 남한산성 광주행궁, 수원 화성행궁은 관아와 행궁을 겸하고 있지만, 양주행궁은 관아와는 별도로 북한산성내에 지어졌다. 양주행궁은 북한산성을 축조한 숙종대에 지어졌는데, 행궁이 험한 산중에 위치하고 있었기때문에 실제로 사용한 적은 없고 숙종과 영조가 잠시 다녀갔다는 기록이 있다. 행궁은 내전…

  • 수원부 관아, 화성행궁(사적) 봉수당과 장락당

    화성행궁은 국왕이 국방을 행차할 때 임시로 거처하던 행궁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이곳은 정조가 사도세자의 현륭원을 참배할 때 머물던 곳이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소를 수원읍치였던 화산 주변으로 이장하면서 수원읍치에 읍치에 있던 관아를 팔달산 아래로 옮기면서 수원화성을 축성하게 된다. 화성행궁은 수원유수가 업무를 보는 관아건물이지만 그 규모가 562칸으로 궁궐의 절반 정도이다. 정조는 화성행궁을 크게 지은 것은 왕위를 순조에게…

  • 광주 남한산성 행궁(사적), 광주부 관아에 설치된 국왕의 임시 거처

    남한산성에 있는 옛 광주부 관아 건물이자 국왕이 임시로 머물수 있는 행궁이 설치된 사적 480호로 지정된 남한산성(南漢山城) 행궁(行宮)이다. 남한산성 행궁은 인조대에 청나라의 침입에 대비하여 남한산성을 축성할때 짓기 시작하여 이듬해 완공되었다. 여러곳에 남아 있는 행궁 중 유일하게 종묘와 사직 역할을 하는 좌전과 우실을 두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행궁은 국왕의 거처로 정전과 편전에 해당하는 하궐과 국왕이 머무는 내전에 해당하는…

  • 강화 용흥궁, 철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았던 잠저

    강화읍 관청리에 소재한 조선 25대 철종이 강화도 유배시절에 살았던 잠저(潛邸)인 강화 용흥궁이다. 용흥궁은 원래 초가였던 것을 철종이 즉위한지 4년이 되던해에 강화유수 정기세가 현재와 같은 건물을 지었다고 한다. 관아가 있던 지역이라 좁은 골목안에 대문을 세우고 일반 민가처럼 사랑채, 안채, 문간채를 지었는데, 이를 별전, 내전, 외전이라고 부른다. 조선시대 잠저는 인조, 철종, 고종처럼 정상적으로 왕세자를 거쳐서 왕위에 오른…

  • 운현궁 양관(사적), 일제가 흥선대원군 일가에 지어준 서양식 저택

    운현궁 양관(洋館)은 흥선대원군의 손자 이준용의 저택으로 일제가 한일합방 이전인 1907년도에 지어준 건물이다. 원래 이 곳은 흥선대원군의 사저인 운현궁의 뒤뜰에 해당하는 곳으로 별당격인 아재당과 정자인 영화루, 은신군.남연군의 사당이 있었던 자리로 이들 건물들을 헐고 일제가 한일합병에 앞서 왕실인사를 회유하기 위해서 만들어 준 것으로 보인다. 이준용은 흥선대원군의 장손으로 여러차례 국왕을 추대되었던 인물이다. 일제가 을사늑약 이후 고종을 압박하기 위해…

  • 운현궁 노락당과 이로당, 가족들의 생활공간인 안채

    흥선대원군의 사저인 운현궁(사적257호)은 고종이 왕위에 오르기전에 살았던 곳으로 대표적인 잠저(潛邸)이다. 고종이 왕위에 오르기전에 이곳에서 살기는 했지만 현재 남아 있는 건물들은 고종이 즉위한 이후에 새로이 지은 건물이다. 운현궁은 사랑채인 노안당, 명성왕후가 왕비수업을 받았던 노락당, 안채인 이로당, 별당인 아재당, 정자인 영화루, 은신군.남연군의 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언덕에 있던 별당.사당.정자 등은 일제가 허물고 양관이라는 현대식 건물을 지었다. 운현궁에서…

  • 운현궁 노안당, 흥선대원군이 거처했던 구한말 정치의 중심지

    구한말 역사와 정치의 중심지였던 흥선대원군의 거처였던 운현궁이다. 이곳은 고종이 태어나 12세까지 살았던 곳으로 고종이 즉위하면서 국왕이 살았던 사가(私家)인 잠저가 되면서 운현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운현(雲縣)은 창덕궁 정문 서쪽편 운현궁이 위치한 관상감 앞 고개를 가르키는 이름이다. 고종이 즉위하고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이 집정을 하면서 그 규모가 크게 확장하여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어다. 고종 즉위 이듬해인 1864년에 노락당(老樂堂)과 노안당(老安堂)이 지어졌으며,…

  • 경복궁 외조 – 광화문과 궁궐담장, 망루인 동십자각과 출입문들

    경복궁은 조선의 법궁(法宮)으로 조선을 개국한 태조가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처음 지은 궁궐이다. 경복궁은 궁궐배치의 기준이 되는 <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의 원칙을 제대로 따르고 있다. ’3문3조(三門三朝)’의 원칙에 따라 국왕의 생활공간인 연조(燕朝), 국왕 집무공간인 치조(治朝), 신하들이 집무공간인 외조(外朝)가 담장으로 분리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경복궁 궁궐 경계에는 높은 담장을 쌓고 동서남북 네곳에 대문을 만들었다. 네곳의 대문은 음양오행설에 따라 봄-여름-가을-겨울과, 나무-불-쇠-물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