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유적지

  • 강진 전라병영성(사적), 전라도 병마절도사 본영

    전남 강진군 병영면 성동리에 있는 전라병영성(사적)이다. 전라도와 제주도 53주 6진을 총괄하는 육군 지휘부인 병마절도사 본영이 있던 곳이다. 조선초 태종 때 왜구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광주시의 광산현에 있던 병영을 이곳으로 옮기면서 처음 쌓았다. 성의 둘레는 1 km 정도이공 동.서.남.북에 옹성과 2곳의 치성을 두고 있는 평지성이다. 배후에는 수인산(해발 561 m)에 산성을 두고 있다. 1555년(명종 10) 을묘왜변 때…

  • 나주 창계서원, 조선후기 학자 임영을 모신 서원

    전남 나주시 다시면 가운리에 있는 창계서원이다. 조선후기 대제학을 지낸 임영을 모신 서원으로 숙종 때인 1711년 처음 세워졌다. 구한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서원이 있던 자리에 재실인 영성각이 세워졌다가 최근에 사당을 다시 지으면서 서원으로 복원되었다. 조선후기 전국각지에 많은 서원 중의 하나로 교육기능보다는 문중을 대표하는 인물을 모시는 제향공간의 성격이 강한곳이다. <나주 창계서원.> <솟을대문을 하고 있는 문간채> <서원 강당…

  • 나주 복암리 고분군(사적), 영산강 이북 백제 토착세력 무덤

    전남 나주시 다시면 복암리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토착세력의 무덤이다. 이곳에는 4개의 큰 봉분이 남아 있으며 발굴.조사결과 32기의 다양한 무덤이 확인되었다. 무덤의 형태는 독무덤, 굴돌덧널무덤, 굴식돌방무덤, 앞트기식돌방무덤 등으로 다양하며 4세기부터 7세기초까지 오랜 세월동안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제신발, 관모, 고리자루큰칼 등 높은 신분이었음을 알려주는 여러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나주 복암리는 현 나주시 중심부에서 멀지 않은 영산강 이북에 위치하고…

  • 나주 반남고분군(사적), 영산강유역 백제 토착세력 무덤

    전남 나주시 반남면 일대에 남아 있는 반남고분군(사적)이다. 영산강 하류 넓은 평야지대에 위치한 자미산성을 중심으로 대안리, 신촌리, 덕산리 등 비교적 넓은 지역에 40여기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다. 이 고분군에는 다른지역에서는 없는 대형옹관을 비롯하여 금동관, 금동신발, 봉황문 고리자루칼 등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이른 시기의 것은 땅을 파서 옹관을 안치한 후 봉분을 쌓았으나 후대에는 봉분을 쌓고 정상부에 옹관을 안치하였다. 옹관고분은…

  • 나주 자미산성, 삼한시대 마한 유력세력 근거지에 남아 있는 산성

    전남 나주시 반남면 소재지에 있는 산성인 자미산성이다. 영산강 일대 나주평야 중심부에 있는 낮은 야산인 자미봉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테뫼식 산성이다. 둘레는 약 740 m이고 흙으로 다져 쌓은 토축식 산성을 후에 돌로 쌓아 보강하였다. 성안에는 건물터와 샘터, 3곳의 문터가 확인되었다. 삼국시대 백제의 지방세력이 처음 쌓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고려,조선시대 기와조각들이 출토되는 것으로 볼 때 조선시대에도 사용되었던…

  • 나주 나주읍성(사적), 전라도 나주목 읍치

    전남 나주시 옛 나주목관아 읍치에 있는 나주읍성(사적)이다. 고려시대에 처음 성을 쌓은 것으로 보이며, 조선초 전국적으로 읍성을 정비할 때 현재의 규모로 쌓은 것으로 보인다. 읍성의 둘레는 약 940 m 정도이며 성벽의 높이는 약 2.7 m 정도이다. 성벽 대부분은 일제강점기에 헐어졌으며 서문 주위에 석축이 일부 남아 있다. 성문은 동.서.남.북문이 모두 있었으며 현재는 남문인 남고문과 동문인 동점문과 서문이…

  • 전라도 나주목 관아(사적), 객사인 금성관과 내아

    전남 나주시 금계동 일대에 남아 있는 옛 나주목 관아터(사적)이다. 나주시 구도심 중심부에 위치한 관아터에는 객사인 금성관, 내아인 금학헌, 동헌 출입문인 정수루 등이 남아 있다. 객사인 금성관은 조선초 처음 건립되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구한말에 중수한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군청사로 사용하면서 개조되어 정청만 남아 있다가 최근에 동익헌과 서익헌, 망화루 등이 복원되었다. 내아인 금학헌은 구한말에 다시 지어진 것으로 일제강점기에 나주군수…

  • 나주 나주향교(사적), 교육기능을 제대로 갖춘 큰 규모의 향교

    전남 나주시 교동에 있는 옛 나주목 중등교육기관이었던 나주향교(사적)이다. 나주향교는 조선초 태종 7년(1407)에 처음 창건되었다. 조선시대 설치된 향교 중 전주향교, 강릉향교 등과 함께 가장 큰 규모를 하고 있다. 공자 아버지 위치를 봉안한 계성사가 있어 앞쪽에 제향공간이, 뒷편에 강학공간이 있는 전묘후학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제향공간에는 공자를 비롯한 5성, 송조 4현, 우리나라 18현을 모시고 있는데 대성전과 동.서무를 제대로…

  • 남원 남원향교, 남원도호부 중등교육기관

    전북 남원시 향교동에 있는 조선시대 남원도호부 중등교육인 남원향교이다. 남원향교는 조선초 태종 때(1410년)에 처음 창건되었으며, 세종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정유재란 남원전투 때 소실되었다가 복원하였으며 여러 차례 중수를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성전을 비롯하여 동.서무, 강당인 명륜당과 동.서재, 문루인 진강루와 고직사 등을 두고 있다. 남원향교는 고을규모에 걸맞게 건물의 규모가 상당히 큰 편이며 오랫동안 교육기능을 담당했던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