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박물관 특별전, 상형토기와 토우장식토기] 토우장식 토기
- [중앙박물관 특별전, 상형토기와 토우장식토기] 죽은이를 위한 부장품
- [이집트 룩소르] 왕가의 계곡
- [이집트 룩소르] 멤논의 거상Colossi of Memnon
- [이집트 신전] 룩소르 하트셉수트 장제전
- [중앙박물관 특별전, 상형토기와 토우장식토기] 상형토기
- [중앙박물관 특별전, 영국 내셔널갤러리 명화전] 인상주의
- [중앙박물관 특별전, 영국 내셔널갤러리 명화전] 계몽주의 시대
- [중앙박물관 특별전, 영국 내셔널갤러리 명화전] 바로크 미술
- [중앙박물관 특별전, 영국 내셔널갤러리 명화전] 르네상스 미술
- [이집트 신전] 룩소르 신전(Luxor Temple)
- [춘천박물관] 강원도의 자연과 사람
- [춘천박물관] 관동팔경 유람
- [춘천박물관] 강원 지방의 불상
- [춘천박물관] 고려시대의 강원
- [춘천박물관] 통일신라, 새로운 행정 체제로 정비된 강원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제7탑문에서 제10탑문까지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신성호수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중왕국의 안뜰’, ‘아크-메누’, ‘람세스 2세 신전’
- [춘천박물관] 삼국시대, 강원에 진출한 삼국
- [춘천박물관] 청동기, 철기 시대
- [춘천박물관] 구석기, 신석기 시대
- [리움미술관특별전, 조선의 백자] 철화백자, 동화백자
- [리움미술관특별전, 조선의 백자] 청화백자
- [리움미술관특별전, 조선의 백자] 절정, 조선백자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대관식 홀, 나룻배 성소
- [일본 도쿄] 우에노공원
- [일본 도쿄] 조조지(増上寺), 에도 막부 쇼군 영묘가 있는 사찰
- [일본 도쿄] 간에이지(寛永寺), 에도 막부 쇼군 영묘가 있는 사찰
- [일본 도쿄] 구로몬(黒門), 에도시대 다이묘 저택 정문
- [일본 도쿄] 간에이지(寛永寺) 개산당
- [일본 도쿄] 간에이지(寛永寺) 오층탑, 우에노공원 동물원에 있는 목탑
- [일본 도쿄] 센소지(浅草寺), 에도시대를 대표하는 사찰
- [일본 도쿄] 센소지(浅草寺) 오층탑
- [경주박물관, 불교미술] 신라의 불탑과 사리갖춤
- [경주박물관, 불교미술] 신라의 불교 사원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제 3탑문 안뜰, 투트모스 1세 오벨리스크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대열주실(Great Hypostyle Hal)
- [경주박물관, 불교미술] 신라의 부처와 보살
- [경주박물관, 불교미술] 불법을 지키는 신장상
- [경주박물관] 국은기념실
- [경주박물관, 신라의 번영] 통일신라, 꽃피는 문화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1번째 탑문, 큰 안뜰
- [경주박물관, 신라의 번영] 주변국을 복속하다
- [경주박물관, 황금의 나라] 신라의 황금문화
- [경주박물관, 황금의 나라] 실크로드를 거쳐 온 물품
- [경주박물관, 황금의 나라] 마립간시기 거대한 고분
- [경주박물관, 신라의 건국과 성장] 다양한 장신구
- [경주박물관, 신라의 건국과 성장] 새로운 기술의 토기
- [경주박물관, 신라의 건국과 성장] 성읍국가 사로국
- [경주박물관, 신라의 건국과 성장] 구석기시대~청동기시대
- [중앙박물관 서화관] 괘불
- [도쿄국립박물관, 동양관] 시안 보경사 석불군
- [도쿄국립박물관, 동양관] 중국의 불상
- [도쿄국립박물관, 동양관] 한대 화상석
- [도쿄국립박물관, 동양관] 한국의 불교 미술
- [도쿄국립박물관, 동양관] 조선시대 미술
- [도쿄국립박물관, 동양관] 한국의 도자기
- [도쿄국립박물관, 동양관] 한반도의 삼국시대
- [도쿄국립박물관, 동양관] 한반도의 간석기와 청동기
- [도쿄국립박물관] 근대 미술
- [도쿄국립박물관] 아이누와 류큐
- [도쿄국립박물관] 역사의 기록
- [도쿄국립박물관] 탑과 감실
- [도쿄국립박물관] 도자공예
- [도쿄국립박물관] 금속공예, 도검
- [도쿄국립박물관] 칠공예, 마키에 기법
- [도쿄국립박물관] 조각, 목조 불상
- [도쿄국립박물관] 근세 일본의 생활 용품
- [도쿄국립박물관] 에도시대의 우키요에
- [도쿄국립박물관] 서화의 전개
- [도쿄국립박물관] 무사의 갑옷과 무기
- [도쿄국립박물관] 선종과 수묵화, 다도
- [도쿄국립박물관] 궁정미술, 헤이안 ~ 무로마치시대
- [도쿄국립박물관] 불교미술, 헤이안~무로마치시대
- [도쿄국립박물관] 불교의 융성, 아스키.나라시대
- [도쿄국립박물관] 일본미술의 새벽, 조몬.야요이.고훈시대
- [도쿄국립박물관, 헤이세이관] 에도시대, 근세
- [도쿄국립박물관, 헤이세이관]막부시대, 중세 무가 사회
- [도쿄국립박물관, 헤이세이관]헤이안 시대
- [도쿄국립박물관, 헤이세이관]아스카와 나라 시대, 율령국가
- [도쿄국립박물관, 헤이세이관]고훈시대, 지방호족의 대두
- [이집트 신전] 에드푸신전(Temple of Edfu), 호루스신에 바쳐진 신전
- [도쿄국립박물관, 헤이세이관] 고훈시대, 전방후원분과 하니와
- [도쿄국립박물관, 헤이세이관] 고훈시대, 야마토 정권
- [도쿄국립박물관, 헤이세이관] 야요이 시대
- [이집트 신전] 콤옴보신전(Kom Ombo Temple), 호루스신과 소베크신의 타협의 산물
- [이집트 카이로] 올드 카이로(Old Cairo)
- [도쿄국립박물관, 헤이세이관] 구석기시대, 조몬시대
- 전 창녕 출토 금관
- 황남대총 북분 금관(국보), 신라를 대표하는 화려한 금관
-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국보)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 1962-2), 삼국시대 신라를 대표하는 문화재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국보, 1962-1)
- [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백제, 세련된 문화를 꽃피우다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백제, 나라를 세우고 경영하다
- [이집트 카이로] 콥트 카이로 성조지 교회
- [이집트 카이로] 바빌론 요새(Babylon Fortress)
- 합전 옥전 M6호분 출토 금귀걸이(보물)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가야, 가야연맹체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가야, 철의 왕국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신라, 중고기 중앙집권국가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신라, 마립간 시기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신라, 성읍국가 사로국
- 홍천 물걸리 사지, 홍천강 교통 요지에 있는 절터
-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보물)
-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보물)
-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보물)
- 홍천 물걸리 삼층석탑(보물)
- 홍천 공작산 수타사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통일신라, 불교 문화
-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보물)
- 홍천 수타사 동종(보물), 사인 비구가 제작한 작품
- 홍천 수타사 소조사천왕상(보물)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통일신라, 왕경귀족과 지방세력
- 영주 소수서원(사적), 안향을 모신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보물), 성리학을 들여온 안향을 모신 사당
-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보물), 최초의 서원 ‘백운동’이란 현판이 걸린 건물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발해, 해동성국
- 혼일강리역대국지도
- 마패, 역마를 이용하기 위해 지급받았던 패
- 안동 풍산읍 하리마을
- 안동 시은고택
- 안동 하리마을 일성당 고택
- 안동 예안이씨충효당(보물)
- 대동여지도 목판 (보물)
- 철종 어진(보물), 군복을 입은 국왕의 초상화
- 연잉군 초상(보물), 젊은 시절 영조의 초상화
- 영조 어진 (보물)
- 척화비, 구한말 서울 종로에 세워졌던 비석
- 북녕궁주 묘지명
- 안동 학가산 광흥사
- 안동 퇴계종택, 퇴계 이황 종손이 살고 있는 종가집
- 청구관해방총도 (보물), 국경을 잘 볼 수 있도록 그린 지도
- 염제신 초상(보물)
- 수령옹주 김씨 묘지명
- 양택춘 묘지명
-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보물)
- 감지은니 묘법연화경(국보)
- [중앙박물관 중.근세관] 고려, 불교문화
- [중앙박물관 중.근세관] 고려, 무신 정변 이후
- 안동 온계종택
- 안동 분강서원, 농암 이현보
- 안동 농암종택, 낙동강 경치 좋은 곳에 자리잡은 고택
- 안동 월천서당, 조목이 후학양성을 위해 세운 서당
- [중앙박물관 중.근세관] 고려, 일상 생활
- [이집트 카이로] 무함마드 알리 모스크(Muhammad Ali Mosque)
- [이집트 카이로] 카이로 성채(Cairo Citadel), 살라딘 시타델
- [중앙박물관 중.근세관] 고려, 국가와 사회 체제
- [중앙박물관 중.근세관] 대한제국
- [이집트 카이로] 술탄 하산의 모스크
- [이집트 다흐슈르(Dahshur)]붉은 피라미드와 굴절 피라미드
- [이집트] 사카라 (Saqqara), 조세르의 피라미드
- [중앙박물관 중.근세관] 조선, 민의 성장과 시대 전환 (19세기)
- [이집트 기자(Giza)] 멤피스, 야외박물관
- [중앙박물관 중.근세관] 조선, 탕평과 문예부흥
- 부여 나성 (사적), 백제 수도 사비를 둘러싸고 있는 도성
- 부여 능산리사지 (사적), 백제 성왕을 위해 세운 사찰
- 부여 왕릉원(사적), 사비기 백제 왕릉
- [중앙박물관 중.근세관] 조선, 사회 재건을 위한 노력
- 부여 군수리사지 (사적), 백제 칠지도가 출토되었던 절터
- 부여 궁남지(사적), 백제 사비성 별궁 정원
- 부여 화지산 유적(사적), 백제 사비성 남쪽 궁궐이 있던 곳
- [중앙박물관 중.근세관] 조선, 사림의 성장과 대외관계
- [중앙박물관 중.근세관] 조선, 통치제제의 정비
- 양주 회암사 금탁
- 부여 구드래 일원 (명승), 백마강 나루터
- 부여 부소산성 (사적), 사비 왕성 배후 산성
- 부여 부소산성 서복사지, 백제 왕실과 관련된 절터
- 휴대용 앙부일구(보물)
- 부여 부소산성 낙화암과 백화정
- 부여 고란사, 낙화암 아래 작은 사찰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그리스 로마, 토제 등잔(기름 등잔)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그리스 로마, 유리 그릇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그리스 로마, 그림자의 제국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그리스 로마, 인간의 세상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그리스 로마, 신화의 세계
- 부여 삼충사, 백제 마지막 충신을 모신 사당
- 부여 청산성(사적), 부여 나성의 방어를 보완하기 위해 쌓은 산성
- 부여 왕흥사지(사적), 백제 왕실이 부소산성 맞은편에 세운 사찰
- 부여 금강사지 (사적)
- 부안 개암사, 변산반도 우금바위 아래 사찰
- 부안 개암사 대웅전 (보물)
- 부안 직소폭포 일원 (명승)
- [중앙박물관 서화관]불교 회화
- [중앙박물관 서화관] 서화 감상의 즐거움, 2024년
- 부안 실상사지
- 부안 채석강 적벽강 일원 (명승)
- [중앙박물관 서화관] 옛 그림 속 꽃과 나비
- [중앙박물관 서화관] 서예, 문자의 예술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구한말 조선 백자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조선후기 도자문화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물고기무늬 분청사기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관요 설치 이후 조선 도자기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조선의 도자기, 분청사기와 백자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고려청자로 꽃피운 도자문화
- 부안 죽막동 유적 (사적), 해양제사 유적
- 부안 수성당, 죽막동 유적 당집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상감청자의 아름다움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고려자기의 종류와 장식기법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비색청자의 걸작, 상형청자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고려청자의 시작, 비색청자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일상생활 속 금속공예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불교 공예
- 금동 다층 소탑
- 부안 능가산 내소사
- 부안 내소사 삼층석탑
-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보물)
- 부안 내소사 설선당과 요사
- 부안 내소사 동종 (국보)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우리나라의 금속공예
- 고창 도솔산 선운사
-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보물)
- 예념미타도량참법 (보물)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보물), 신라 명필 김생의 글씨
- 백자 철채 뿔잔 (보물)
- 청자 참외모양 병 (국보)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매병(국보), 연꽃넝쿨무늬매병
-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보물), 물가풍경무늬 정병
-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보물)
- 은제도금화형탁잔(보물), 잔과 잔받침
-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국보), 물가풍경무늬 정병
- 함평궁주방명 청동 은입사 향완
- 진주 청곡사 청동은입사 향완
-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국보)
- 감은사지 동삼층탑 사리엄장구(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