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고려, 조선시대 불상 (2016년)
-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통일신라시대 불상 (2016년)
-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삼국시대 반가사유상 (2016년)
-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의 불상 (2016년)
- [공주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고대상감] 상감기법의 전승
- [공주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고대상감] 상감기술의 기원, 확립, 확산
- [이화여대박물관] 80주년 역사
- [이화여대박물관] 담인복식미술관
- 백자 철화운용문 항아리(보물), 용과 구름을 생동감있게 표현한 작품
-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보물), 사대부 취향이 잘 반영된 백자
-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국보), 18세기 회화 화풍을 보여주는 걸작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문양에 보이는 교류와 유행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문양이 된 문자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무늬로 보는 상징과 의미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백자의 제작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문인문화의 유행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지방백자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백자에 담긴 출생과 죽음
-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조선왕실과 백자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경희궁] 발굴과 복원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경희궁] 구한말 이후 터만 남은 경희궁지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경희궁] 경희궁의 공간 구성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경희궁] 경희궁의 역사적 의의
- [중앙박물관 신안실] 용천요(龍泉窯), 아름다운 빛깔 명품 청자의 대명사
- [중앙박물관 신안실] 복건성의 도자기 생산지들
- [중앙박물관 신안실] 신안선에 실렸던 도자기들
- [중앙박물관 신안실] 신안선의 주인과 선원들의 생활
- [중앙박물관 특별전, 신석기인] 토기와 신석기인 예술 세계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석기인] 사냥과 고기잡이
- [중앙박물관 특별전, 신석기인] 곡물재배
- [중앙박물관 특별전, 신석기인] 구석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
- [중앙박물관 일본실] 도카이도 53역의 풍경과 그곳에 전하는 이야기
- [중앙박물관 일본실] 일본의 전통 회화
- [중앙박물관 일본실] 일본의 도자기와 공예품
- [중앙박물관 특별전] 能(노), 일본문화의 정수
-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산동지방의 제후국들
-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노나라, 공자의 고장
-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제나라 사회와 문화
-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제나라의 수도 임치(臨淄; Línzi)
-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춘추.전국시대 제나라.
-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상대(商代) 청동기
-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갑골문자
-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악석문화(岳石文化), 산동지방 청동기문화
- [중앙박물관 불교조각] 통일신라 석조불상과 고려 철조불상 (2016년)
- 서산 철조여래좌상, 가장 오래된 철조불상
- 철조 비로자나여래 좌상
- 포천 철조여래좌상, 고려초 불상양식을 잘 보여주는 불상
-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삼방불 중 서방세계를 관할하는 아미타여래
-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2016년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국보), 2016년
-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2016년
- 서산 보원사지 철조여래좌상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조선시대 금속공예 (2015년)
- [고궁박물관] 궁중음악과 무용
- [고궁박물관] 왕실의 행차, 가마와 의장
- 춘천 남이섬, 정원이 아름다운 북한강의 명소
- 태백 구문소 전기고생대 지층 및 하식지형(천연기념물)
- 태백 추전역,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기차역
- 영월 창절사(彰節祀), 사육신을 비롯하여 10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
- 영월 청령포(명승), 단종이 왕위를 빼앗긴 후 유배되었던 곳
- 영월 한반도지형(명승), 감입곡류에 의해 형성된 특이한 지형
- 영월 김종길 가옥
- 영월 사자산 법흥사, 선종 구산선문 중 사자산파 중심사찰 흥녕선원이 있었던 곳
- 영월 법흥사 적멸보궁,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곳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보물)
- 남양주 수종사(명승),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경치가 아름다운 곳
-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보물), 조선초 왕실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유물
-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보물), 고려시대 팔각석탑을 계승한 조선초기 석탑
- 구리 동구릉 경릉(景陵, 사적), 조선 24대 헌종과 비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의 능
- 중국 베이징 명십삼릉 정릉, 만력제 신도비로 보이는 비석
- 중국 베이징 명13릉 정릉(Dingling, 定陵), 명나라 13대 신종 만력제의 능
- 남양주 사릉(思陵, 사적), 조선 6대 단종 비 정순왕후의 능
- 구리 동구릉 숭릉(崇陵, 사적), 조선 18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능
- 구리 동구릉 숭릉 정자각(보물)
- 화성 용주사, 정조가 사도세자 현륭원 원찰로 삼은 사찰
- 화성 용주사 동종(국보), 신라 종 양식을 따르는 고려초기 범종
- 안성 서운산 청룡사, 인조 셋째아들 인평대군의 원찰로 삼았던 사찰
- 안성 청룡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조선후기 유행한 소조불상
- 안성 청룡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불전
- 안성 봉업사지, 고려 태조 진영을 모셨던 사찰 터
- 안성 칠현산 칠장사, 인목대비가 영창대군 원찰로 삼은 사찰
-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보물)
-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보물)
- 김포 금정사, 봉릉사라 불렸던 추존왕 원종의 장릉을 지키는 원찰
- 서울 봉은사(奉恩寺), 서울을 대표하는 도심 사찰
- 양양 낙산사(사적), 관동팔경 중에서도 제일로 손꼽히는 명소
- 양양 낙산해수욕장, 동해안을 대표하는 해수욕장
-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상, 동해바다를 내려다 보고 있는 관음보살을 잘 표현한 불상
-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보물), 고려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조선초기 다층석탑
- 양양 낙산사 홍련암(명승), 동해안 절벽에 있는 작은 암자
- 양양 낙산사 의상대(명승), 의상대사가 관음보살을 만났다고 전해지는 곳
- 남양주 봉선사, 세조 광릉을 지키는 원찰
- 여주 남한강 조포나루터, 한강 4대 나루터 중 한곳
- 여주 신륵사, 남한강변에 자리잡은 아름다운 사찰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앞 석등(보물)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비(보물)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보물), 고려말 승려 나옹선사 승탑
-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보물), 고려말 이색이 대장각을 세운 내력을 적은 비
- 여주 신륵사 삼층석탑, 남한강변 바위에 올려진 작은 석탑
-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남한강 나룻터에서 이정표가 되었던 탑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보물), 대리석으로 만든 화려했던 석탑
- 여주 신륵사 조사당(보물), 지공.나옹.무학대사의 영정이 모셔진 전각
- 고성 금강산 건봉사, 조선시대 전국 4대 사찰이었던 곳
- 고성 건봉사지, 조선 4대 사찰이었던 건봉사 옛 절터
- 고성 건봉사 불이문, 한국전쟁 때 불타지 않은 유일한 건물
- 고성 건봉사 능파교(보물)
- 고성 육송정 홍교(보물), 건봉사 가는길에 있는 아치형 돌다리.
- 양주 천보산 회암사, 무학대사가 수도했던 조선 최대 사찰이었던 곳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보물)
- 양주 회암사지 나옹선사탑과 석등
- 양주 회암사지 지공선사탑, 석등, 탑비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비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보물)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보물)
- 양주 회암사지(사적), 왕실과 관련 있었던 조선 최대의 사찰
- 서울 흥천사명 동종(보물), 중국종 특징이 반영된 조선초기 동종
- 서울 흥천사(興天寺), 태조가 신덕왕후의 정릉 원찰로 세운 사찰
- 남양주 유릉(사적), 재궁
- 남양주 홍릉(사적) 재궁, 황제의 능역에 조성된 재궁
- 영월 장릉(사적) 재실, 조선후기 재실 형태가 남아 있는 곳
- 김포 장릉(사적) 재실
- 서울 선릉 정릉(사적) 재실
- 여주 세종 영릉(사적) 재실
- 여주 효종 영릉 재실(보물), 왕릉 재실의 모습을 잘 보존되어 있는 곳
- 서울 헌릉.인릉(사적) 재실
- 구리 동구릉(사적) 재실
- 영월 엄흥도 정려각, 단종 시신을 거두었던 영월 호장 엄흥도에 내려진 정려
- 예산 남연군묘,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묘
- 포천 인평대군 신도비와 치제문비
- 포천 인평대군 묘, 인조의 셋째 아들
- 영월 장릉(莊陵, 사적), 조선 6대 단종의 능
- 서울 숭인원(崇仁園, 사적), 영친왕 아들 이진의 묘
- 서울 영휘원(永徽園, 사적), 대한제국 1대 황제 고종의 후비 순헌황귀비의 묘
- 남양주 유릉(裕陵, 사적),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과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의 능
- 남양주 홍릉(洪陵, 사적), 대한제국 1대황제 고종과 명성황후의 능
- 고양 서삼릉 예릉(睿陵, 사적), 조선 25대 철종과 원비 철인왕후의 능
- 구리 동구릉 수릉(綏陵, 사적), 추존왕 문조와 신정왕후의 능
- 서울 인릉(仁陵, 사적), 조선 23대 순조와 순원왕후의 능
- 파주 삼릉 영릉(永陵, 사적), 추존왕 진종과 효순왕후의 능
- 고양 서삼릉 의령원(懿寧園), 조선 21대 영조의 손자 의소세손의 묘
- 고양 서삼릉 효창원(孝昌園), 조선 22대 정조의 원자 문효세자의 묘
- 화성 융릉(隆陵,사적), 추존의황제 장조(사도세자)와 헌경의황후(혜경궁홍씨)의 능
- 고양 서오릉 순창원(順昌園, 사적), 조선 13대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와 공회빈의 묘
- 고양 서오릉 수경원(綬慶園), 조선 21대 영조의 후궁 영빈 이씨의 묘
- 화성 건릉(健陵, 사적), 조선 22대 정조와 효의왕후의 능
- 파주 수길원(綏吉園, 사적), 조선 21대 영조의 후궁 정빈이씨의 무덤
- 고양 서오릉 홍릉(弘陵, 사적), 조선 21대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의 능
- 구리 동구릉 원릉(元陵, 사적), 조선 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의 능
- 구리 동구릉 혜릉(惠陵, 사적), 조선 20대 경종의 원비 단의왕후의 능
- 서울 의릉(懿陵,사적), 조선 20대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의 능.
- 파주 소령원(사적), 조선 19대 숙종 후궁 숙빈 최씨의 무덤
- 고양 서오릉(사적) 대빈묘, 조선 19대 숙종 후궁 희빈 장씨 묘
- 고양 서오릉 익릉(翼陵, 사적), 조선 19대 숙종의 비 인경왕후의 능
- 고양 서오릉 명릉(明陵, 사적), 조선 19대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인원왕후의 능
- 구리 동구릉 휘릉(徽陵, 사적), 조선 16대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능
- 여주 영릉(寧陵, 사적), 조선 17대 효종과 인선왕후의 능
- 김포 장릉(章陵,사적), 추존왕 원종과 인원왕후의 능
- 구리 동구릉 목릉(穆陵,사적), 조선 14대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 박씨, 계비 인목왕후의 능
- 서울 태릉(泰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의 능
- 고양 서삼릉 희릉(禧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 정경왕후의 능
- 서울 정릉(靖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의 능
- 파주 삼릉 순릉(順陵, 사적), 조선 9대 성종의 원비 공혜왕후의 능
- 서울 선릉(宣陵, 사적), 조선 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의 능
- 고양 서오릉 경릉(敬陵, 사적), 추존왕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
- 파주 삼릉 공릉(恭陵, 사적) , 조선 8대 예종 원비 장순왕후의 능
- 고양 서오릉 창릉(昌陵, 사적) , 조선 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의 능
- 남양주 광릉(光陵, 사적), 조선 7대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
- 구리 동구릉 현릉(顯陵, 사적), 조선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능
- 여주 영릉(英陵,사적), 조선 4대 세종과 소헌왕후 합장릉
- 서울 헌릉(獻陵, 사적), 조선 3대 태종과 원경왕후의 능
- 서울 정릉(貞陵, 사적),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
-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보물)
- 구리 태조 건원릉 정자각(보물), 조선 왕릉 건축의 표준이 되었던 건물
- 구리 동구릉 건원릉(健元陵, 사적),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능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릉] 왕릉을 지킨 사람들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릉] 왕릉을 돌보다.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릉] 왕릉을 모시다.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릉] 왕릉을 정하다.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릉] 왕릉을 세우다.
- 보은 속리산 법주사(사적), 미륵신앙을 대표하는 사찰
- 충북 보은군 하개리 마을, 속리산 입구에 위치한 전통마을
- 보은 삼년산성(사적), 삼국시대 신라를 대표하는 산성
- 보은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보물), 고려초기 양식이 잘 나타난 마애불상
- 보은 법주사 능인전(能仁殿)
- 보은 법주사 석조, 사찰 입구 물을 담아두는 그릇
- 보은 법주사 석련지(국보), 돌로 작은 연못을 표현한 통일신라 걸작
- 보은 법주사 당간지주, 사찰에 도착했음을 알려주는 철당간
- 보은 법주사 철솥(보물), 주철로 만든 거대한 솥
- 보은 법주사 통일호국 금동미륵대불, 현대 불교조각을 대표하는 거대 불상
-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보물), 사실적 표현이 돋보이는 보살상
-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보물), 사모지붕을 하고 있는 특이한 형태의 불전
-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
-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보물),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키는 큰 불전
-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보물), 통일신라 전성기에 조성된 석등
-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국보),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걸작
- 보은 법주사 팔상전(국보), 현존하는 유일한 목탑
- 보은 법주사 사천왕문
- 보은 법주사 벽암대사비
- 보은 속리 정이품송, 세조가 벼슬을 내린 소나무
- 보은 선병묵 고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한옥
- 보은 선병우 고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한옥
- 보은 선병국 가옥,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대저택
- 충청도 보은군 관아, 군수가 근무했던 동헌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어진 봉안용 회화, 진전의례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어진 봉안공간, 진전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또 한분의 왕, 어진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어진과 진전의 역사
- 양양 진전사지, 선종을 크게 일으킨 도의선사가 수행했던 진전사 절터
-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보물), 우리나라 선종을 크게 일으킨 도의선사의 승탑
-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부조가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돌아온 남산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유신의 방패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개발독재시대 남산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해방 직후 남산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일제강점기 남산
- [서울역사박물관특별전, 남산의 힘] 식민통치의 현장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목멱, 한양의 안산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신림동 청춘] 고시촌 너머 신림동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신림동 청춘] 고시촌
- 북관대첩비, 임진왜란 때 승전을 기념하여 세운 승전비
- 원주 법천사지(사적), 남한강변 교통요지에 남아 있는 절터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국보), 법천사 절터에 남아 있는 탑비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국보), 석탑처럼 보이는 특이한 형태의 승탑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국보), 당대 문장가 최치원이 비문을 지은 탑비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보물),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이 새겨진 승탑
- 문경 봉암사 극락전(보물)
-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보물)
- 문경 희양산 봉암사, 통일신라 구산선문 희양산문 중심사찰
- 김천 직지사 중암(中庵)
- 김천 직지사 은선암
- 김천 황악산 직지사, 사명대사가 출가했던 경북지역을 대표하는 큰 사찰
- 김천 직지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불전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불전
-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직지사 대웅전 앞으로 옮겨온 두개의 탑
-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보물), 직지사로 옮겨온 통일신라 삼층석탑
-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 장성 진원리 오층석탑
- 장성 고산서원, 구한말 유학자 기정진을 모신 서원
- 장성 이진환 가옥 사랑채
- 장성향교, 장성도호부 공립중등교육기관
- 장성 황룡전적(사적), 동학농민군이 관군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둔 장소
- 담양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
- 담양 성월리 월전고분, 장고형고분과 유사한 고대 지방세력 무덤
- 담양 객사리석당간(보물), 홍수 예방의 풍수지리적 의미를 가진 석당간
-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보물),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해 만든 고려시대 석탑
- 담양 죽녹원, 울창한 대나무숲으로 잘 알려진 공원
- 담양 송진우 고택
- 담양 관방제림(천연기념물), 홍수를 막기 위해 영산강 둑방길에 심은 풍치림
- 담양 후산마을, 명옥헌 원림(명승)이 있는 마을
- 담양 삼지천마을, 옛 창평현 관아가 있던 읍치
- 담양 유종헌 가옥, 송강 정철의 처가였던 조선중기 한옥
- 담양 김선기 가옥, 장산리마을에 남아 있는 한옥
- 담양 몽한각, 양녕대군 후손들이 지은 재실
- 담양 고정주 고택, 창평 삼지천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 담양향교, 담양도호부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 담양 창평향교, 창평현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 광주 충효동마을, 왕버들(천연기념물)와 정려비각
- 담양 죽림재, 서당으로 세운 사설교육기관
- 담양 수남학구당, 조선시대 사설 중등교육기관
- 담양 수북학구당, 조선시대 사설 중등교육기관
- 장성 필암서원(사적), 김인후를 모신 호남을 대표하는 서원
- 장성 요월정원림, 배롱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 정자와 정원
- 담양 척서정, 집성촌 마을 입구에 세워진 정자.
- 담양 송강정, 송강 정철이 고향으로 낙향하여 세운 작은 정자
- 담양 면앙정, 조선중기 학자 송순이 세운 작은 정자
- 담양 독수정 원림, 고려말에 조성된 정원
- 담양 식영정 일원(명승), 송강 정철의 가사문학 산실로 여겨졌던 곳
- 담양 명옥헌 원림(명승), 소쇄원과 함께 담양을 대표하는 정자와 정원
- 광주 취가정, 임진왜란 의병장 김덕령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자
- 광주 환벽당 일원(명승), 호남지방 사림들이 교유했던 유서깊은 곳
- 담양 소쇄원(명승), 한국을 대표하는 정원
- 남원 광한루원(명승), 신선이 사는 삼신산을 구현해 놓은 인공정원
- 남원 광한루 월매집, 남부지방 중상계층이 살았던 초가집
- 남원 춘향사당
- 남원 광한루(보물), 호남을 대표하는 관아 누각
-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세계박람회가 열렸던 곳
-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개방적인 느낌을 주는 건축가 김수근의 80년대 박물관 건축
- 대전 둔산 선사유적지
- 설악산 토왕성폭포(명승)
- 설악산 비룡폭포 일원(명승), 외설악 토왕골계곡
- 서울 군기시(軍器寺) 터, 조선시대 무기제조 기관
- 옛 서울특별시 청사, 서울의 랜드마크가 되었던 공공건축물.
- 서울 정동 구세군 중앙회관
- 서산 도비산 부석사, 서해바다 경치가 아름다운 사찰
- 서산 간월암(看月庵), 천수만 풍경이 아름다운 작은 암자
- 경주 사천왕사지, 문무왕 비(碑) 거북받침돌
- 경주 석굴암 석굴(국보), 대표적인 석굴사원이자 불교미술의 걸작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불상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불탑과 사리갖춤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왕경인의 생활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의 왕경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의 대외교류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무덤속 저승세계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거대한 능묘의 발굴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인과 황금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 황금문화의 발견
- 경주 남산(사적) 용장계곡, 김시습이 머물렀던 절터가 있는 계곡
- 경주 남산(사적), 금오산 정상 부근 능선길.
- 경주 남산(사적) 탐방, 삼릉계곡(배리 삼릉~상선암)
- 경주 금척리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귀족들의 무덤
- 경주 사라리 유적, 경주의 대표적인 삼한시대 고분 유적지
- 경주 신선사, 삼국시대 석굴사원이 있는 작은 사찰
- 경주 낭산(사적), 선덕여왕릉이 있는 신라인이 신성시 여겼던 숲
- 경주 선덕여왕릉(사적), 신라 27대 선덕여왕
-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효소왕이 아버지 신문왕을 위해 세운 석탑
- 경주 황복사지, 낭산 북동쪽에 자리잡은 절터
-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보물)가 남아 있는 옛 절터
- 경주 삼불사,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가 모셔진 작은 사찰
- 경주 망월사, 배리 삼릉 부근에 세워진 작은 사찰
- 경주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보물), 다른 형식을 하고 있는 2개의 탑
- 경주 남산 용장사지, 김시습이 머물면서 저술했던 곳
- 경주 남산 상선암(上禪庵), 금오산 정상 아래에 있는 작은 암자
- 경주 남산 삼릉곡 제6사지
- 경주 남산 승소골 삼층석탑
-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7세기 신라 불상조각을 대표하는 작품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보물), 사실적인 신체의 표현이 특징인 통일신라 불상
-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불상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경주 남산을 대표하는 장면
- 경주 남산 삼릉곡 제9사지 선각마애불과 선각보살상
- 경주 남산 삼릉곡 제6사지 석조약사여래좌상과 마애선각여래좌상
-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보물)
- 경주 남산 삼릉곡 제6사지 석탑
- 경주 남산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 경주 남산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
- 경주 남산 삼릉곡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 양주 대모산성(사적), 임진강과 한강 사이 교통로를 지키는 군사요지.
- 파주 칠중성(사적), 삼국통일 이후 나당전쟁 격전지
- 경주 능지탑지, 문무왕을 화장한 낭산 서쪽 언덕에 남아 있는 탑
- 경주 감은사지(사적), 문무왕이 왜(倭)를 막고자 세운 호국 사찰
- 경주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국보), 감은사 절터에 남아 있는 2개의 탑
- 경주 이견대(사적), 용이된 문무왕으로부터 만파식적을 얻은 곳
- 경주 문무대왕릉(사적), 대왕암이라 불리는 신라 30대 문무왕의 능
- 경주 진덕여왕릉(사적), 신라 28대 진덕여왕
-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통일신라 말 석탑
-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국보), 가장 오래된 신라 석굴사원
- 경주 사천왕사지(사적), 삼국통일 후 문무왕이 처음 세웠던 사찰터
- 경주 감산사지, 창건내력이 적힌 불상이 발견된 통일신라 절터
- 경주 감산사지 삼층석탑
- 경주 함월산 골굴사, 초기 석굴사원 형태가 남아 있는 작은 사찰.
- 경주 함월산 기림사, 조선후기 경주지역 대표 사찰
- 경주 기림사 진남루, 관아 누각처럼 지어진 강당 건물
- 대구 관암사, 기도처인 갓바위 아래 작은 사찰
- 경산 팔공산 석조여래좌상(보물), 갓바위로 불리는 대표적인 기도처
- 영천 팔공산 거조사, 고려중기 불교개혁 운동이 시작된 유서깊은 사찰
- 대구 팔공산 동화사 비로암, 통일신라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진 암자.
- 대구 팔공산 동화사, 대구를 대표하는 큰 사찰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 백탑파이야기] 19세기 이후 백탑파 행로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 백탑파이야기] 백탑파와 규장각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 백탑파이야기] 성시전도시, 도성의 번창을 노래한 시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 백탑파이야기] 연행(燕行), 새로운 세상과의 만남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백탑파이야기] 백탑파 사람들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 백탑파이야기] 탑골에서 부는 바람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프라하] 근대 방어시설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프라하] 초기의 방어시설, 성채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프라하] 유럽 중앙의 요새, 천연의 수도 체코 프라하
- 하동 평사리 최참판댁, 대하소설 <토지>의 무대
- 하동 화개장터, 대중가요로 유명해진 전통 장터.
- 하동 지리산 쌍계사(雙磎寺), 우리나라 불교음악을 이끌어 온 사찰
- 하동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보물)
- 하동 쌍계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불교 건축양식이 잘 반영된 불전
- 남원 선원사, 도선국사가 남원의 지세를 보완하기 위해 세운 사찰
- 남원 만복사지(사적), 김시습 소설 금오신화의 무대였던 절터
- 남원 지리산 실상사 백장암, 참선도량으로 지은 부속 암자.
- 남원 지리산 실상사(사적), 통일신라 구산선문 중 처음 창건된 사찰
- 구례 지리산 화엄사(사적), 화엄십찰로 지리산을 대표하는 큰 사찰
- 구례 지리산 연곡사, 화려한 승탑문화를 꽃피운 선종 사찰
- 남원 용담사지, 고려초 조성한 거대 석조불상이 남아 있는 절터
- 함양 승안사지, 고려시대 삼층석탑과 석조불상이 남아 있는 절터
- 함양 사근산성(사적), 삼국시대 신라가 교통요지에 쌓은 산성
- 함양 허삼둘 가옥, 일제강점기에 지은 개량한옥
- 함양 안의 광풍루(光風樓), 옛 안의현 관아에서 운영했던 누각
- 함양 동호정(東湖亭), 넓은 바위와 담소가 있는 곳에 세워진 정자
- 함양 거연정(명승), 경치가 빼어난 화림동계곡에 세워진 정자.
- 함양 군자정, 정여창이 즐겨 찾았던 화림동 계곡에 세워진 정자
- 함양 개평마을, 선비의 고장 함양을 대표하는 전통마을
- 함양 개평마을, 노참판댁 고가
- 함양 개평마을 오담 고택, 종가에서 분가한 집
- 함양 개평마을, 하동정씨 고가
- 함양 개평마을 일두고택, 정여창이 살았던 곳에 다시 지은 대저택
- 함양 개평마을, 풍천노씨 대종가
- 함양 우명리 정씨 고가
- 함양 청계서원, 조선중기 문신 김일손을 모신 서원
- 함양 남계서원(사적), 서원 건축의 모범이 되었던 정여창을 모신 서원
- 함양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
-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고려 석탑
-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보물), 전형적인 고려시대 다층석탑
-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보물), 거대한 금동불상이 올려졌던 대좌
-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통일신라 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시대 불상
-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고려 초에 조성한 거대 불상
- 남원 용담사 칠층석탑, 고려시대에 세워진 석탑
- 구례 화엄사 동오층석탑(보물)
- 담양 개선사지 석등(보물), 조성연대를 기록한 글자가 새겨진 석등
- 구례 화엄사 서오층석탑(보물), 다양한 신장상이 새겨진 석탑
-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보물), 그 용도를 알 수 없는 석탑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국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등
- 구례 지리산 천은사, 지리산 3대 사찰로 불렸던 곳
- 구례 화엄사 보제루, 사찰에서 집회를 가질 수 있는 강당 건물
- 구례 화엄사 대웅전(보물), 비로자나여래를 모신 불전
- 구례 화엄사 각황전(국보),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키는 웅장한 불전
- 구례 화엄사 벽암국일도대선사비, 화엄사를 크게 중건한 벽암선사의 비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국보), 범패음악을 도입한 진감선사의 탑비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보물)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보물), 조선중기 승탑
- 구례 연곡사 북승탑(국보), 동 승탑을 모방해서 만든 고려초기 승탑
- 구례 연곡사 동승탑비(보물)
-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국보),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승탑
-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형식을 보여주는 통일신라 말기 석탑
- 구례 방호정, 산수유마을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정자
- 구례 운흥정(雲興亭), 시모임을 위해 경치좋은 하천에 세운 정자
-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사적), 정유재란때 의병을 일으킨 7인의 유적
- 구례 석주관성(사적), 섬진강변에 위치한 호남의 관문
- 구례 운조루(雲鳥樓), 호남을 대표하는 대저택
- 구례 오산 사성암(명승), 섬진강과 지리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작은 암자
- 남원 황산대첩비지(사적), 태조 이성계가 왜구를 크게 물리친 곳
- 남원 실상사 석장승, 사찰입구에 세워진 장승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보물)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보물)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보물), 실상사를 창건한 홍척국사 사리를 모신 탑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보물), 통일신라 비석의 원형을 보여주는 탑비
- 남원 실상사 석등(보물), 조형미가 돋보이는 큰 석등
-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보물), 상륜부가 온전히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보물), 통일신라 석등 양식을 잘 갖추고 있는 석등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 다양한 부조상이 새겨진 석탑
- 공주 서혈사지 석불좌상(보물)
- 계유명 삼존천불비상(국보), 비석에 새긴 불상
-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국보), 관음보살을 표현한 백제 금동불상
- 무령왕릉 청동거울 (국보)
- 무령왕비 베개(국보)와 무령왕 발받침(국보)
- 무령왕비 은팔찌(국보), 제작수법과 디자인이 매우 뛰어난 작품
- 무령왕비 금목걸이(국보)
-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
- 무령왕 금제뒤꽂이(국보)
- 무령왕 금귀걸이(국보)
- 무령왕비 금제관식(국보), 연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의 관장식
- 무령왕 금제관식(국보), 불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의 관장식
- 무령왕릉 지석(국보), 무덤주인을 밝혀준 중요한 유물
- 무령왕릉 석수(국보), 무덤을 지키는 상상의 동물
- 공주 대통사 석조(보물), 백제때 만들어진 석조
- 공주 고마나루(명승), 웅진이라는 이름이 유래한 금강 나루터
- 서산 부장리 고분군(사적), 서산지역 한성기백제 지방세력 무덤
- 공주 수촌리 고분군(사적), 한성백제기 지방세력 위상을 보여주는 유적
- 공주 정지산유적(사적), 웅진 백제기 제사 유적
- 공주 송산리고분군 모형전시관
- 공주 송산리고분군(사적), 웅진기 백제 왕족들의 무덤
- [공주박물관 야외전시실] 석조불상을 비롯한 유물들
-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국보)
-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백제와 충남지역 불교 문화
-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공산성, 웅진기 백제의 왕성
-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백제의 웅진 천도
-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마한에서 백제로
-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마한과 한성백제기 충남지역
-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선사시대 충남지역
-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 정지산 유적 출토 유물
-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 웅진백제기 대외교류를 보여주는 유물
-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 무령왕비 관장식과 장신구들
-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 무령왕 관장식을 비롯한 금속공예 장신구
-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 무령왕릉의 발견
- 경주 서출지(사적), 신라 소지왕과 관련된 전설이 남아 있는 전통 연못
- 경주 이요당, 서출지 연못 한쪽에 지은 작은 정자
-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 일괄(보물), 서역인 얼굴이 표현된 무인석 외
- 경주 기림사삼층석탑,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 삼층석탑
-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보물), 석굴사원에 조성된 통일신라 마애불상
-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과 비로자나삼불회도(보물)
-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보물), 17세기 다포계 건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불전
- 영천 거조사 삼층석탑
- 영천 거조사 영산전(국보)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 좌상(보물)
- 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보물)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
- 대구 동화사 대웅전(보물)
- 강릉 정동진, 드라마 ‘모래시계’로 유명해진 해돋이 명소
- 강릉 주문진항, 영동지방을 대표하는 어항
- 강릉 사굴산 굴산사지(사적), 통일신라 구산선문 사찰이었던 절터
- 강릉 굴산사지 승탑(보물)
- 강릉 경포호수, 관동팔경 중 으뜸으로 손꼽히는 곳.
- 강릉 초당마을, 경포호수 부근 초당두부로 유명한 마을
- 강릉대도호부 관아(사적)
- 강릉 임영관 삼문(국보), 강릉도호부 객사 정문
- 강릉 임당동 성당
- 강릉 방해정(放海亭), 경포호수가 별장으로 지어진 곳
- 강릉 경호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작은 정자.
- 강릉 상영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경포호수가 정자
- 강릉 금란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경포호수가 정자.
-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현대 체코의 유리 공예
-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20세기 체코의 유리 공예
-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유리장신구
-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19세기의 보헤미아 유리
-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바르크와 로코코(17~18세기)
-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르네상스와 매너리즘
-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체코의 기독교 문화
-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유리 제작의 기원과 중세
-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남비엣국, 동선문화의 전승
-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사후인문화, 철기시대 베트남 중.남부
-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동선문화 사람들
-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청동기 제작기술의 발달, 동더우.고문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