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1.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고려, 조선시대 불상 (2016년)
  2.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통일신라시대 불상 (2016년)
  3.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삼국시대 반가사유상 (2016년)
  4. [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의 불상 (2016년)
  5. [공주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고대상감] 상감기법의 전승
  6. [공주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고대상감] 상감기술의 기원, 확립, 확산
  7. [이화여대박물관] 80주년 역사
  8. [이화여대박물관] 담인복식미술관
  9. 백자 철화운용문 항아리(보물), 용과 구름을 생동감있게 표현한 작품
  10.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보물), 사대부 취향이 잘 반영된 백자
  11.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국보), 18세기 회화 화풍을 보여주는 걸작
  12.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문양에 보이는 교류와 유행
  13.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문양이 된 문자
  14.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무늬로 보는 상징과 의미
  15.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백자의 제작
  16.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문인문화의 유행
  17.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지방백자
  18.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백자에 담긴 출생과 죽음
  19. [이화여대박물관 특별전, 조선백자] 조선왕실과 백자
  20.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경희궁] 발굴과 복원
  21.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경희궁] 구한말 이후 터만 남은 경희궁지
  22.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경희궁] 경희궁의 공간 구성
  23.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경희궁] 경희궁의 역사적 의의
  24. [중앙박물관 신안실] 용천요(龍泉窯), 아름다운 빛깔 명품 청자의 대명사
  25. [중앙박물관 신안실] 복건성의 도자기 생산지들
  26. [중앙박물관 신안실] 신안선에 실렸던 도자기들
  27. [중앙박물관 신안실] 신안선의 주인과 선원들의 생활
  28. [중앙박물관 특별전, 신석기인] 토기와 신석기인 예술 세계
  29.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석기인] 사냥과 고기잡이
  30. [중앙박물관 특별전, 신석기인] 곡물재배
  31. [중앙박물관 특별전, 신석기인] 구석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
  32. [중앙박물관 일본실] 도카이도 53역의 풍경과 그곳에 전하는 이야기
  33. [중앙박물관 일본실] 일본의 전통 회화
  34. [중앙박물관 일본실] 일본의 도자기와 공예품
  35. [중앙박물관 특별전] 能(노), 일본문화의 정수
  36.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산동지방의 제후국들
  37.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노나라, 공자의 고장
  38.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제나라 사회와 문화
  39.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제나라의 수도 임치(臨淄; Línzi)
  40.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춘추.전국시대 제나라.
  41.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상대(商代) 청동기
  42.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갑골문자
  43.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악석문화(岳石文化), 산동지방 청동기문화
  44. [중앙박물관 불교조각] 통일신라 석조불상과 고려 철조불상 (2016년)
  45. 서산 철조여래좌상, 가장 오래된 철조불상
  46. 철조 비로자나여래 좌상
  47. 포천 철조여래좌상, 고려초 불상양식을 잘 보여주는 불상
  48.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삼방불 중 서방세계를 관할하는 아미타여래
  49.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50.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2016년
  51.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국보), 2016년
  52.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2016년
  53. 서산 보원사지 철조여래좌상
  54.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조선시대 금속공예 (2015년)
  55. [고궁박물관] 궁중음악과 무용
  56. [고궁박물관] 왕실의 행차, 가마와 의장
  57. 춘천 남이섬, 정원이 아름다운 북한강의 명소
  58. 태백 구문소 전기고생대 지층 및 하식지형(천연기념물)
  59. 태백 추전역,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기차역
  60. 영월 창절사(彰節祀), 사육신을 비롯하여 10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
  61. 영월 청령포(명승), 단종이 왕위를 빼앗긴 후 유배되었던 곳
  62. 영월 한반도지형(명승), 감입곡류에 의해 형성된 특이한 지형
  63. 영월 김종길 가옥
  64. 영월 사자산 법흥사, 선종 구산선문 중 사자산파 중심사찰 흥녕선원이 있었던 곳
  65. 영월 법흥사 적멸보궁,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곳
  66.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
  67.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보물)
  68. 남양주 수종사(명승),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경치가 아름다운 곳
  69.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보물), 조선초 왕실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유물
  70.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보물), 고려시대 팔각석탑을 계승한 조선초기 석탑
  71. 구리 동구릉 경릉(景陵, 사적), 조선 24대 헌종과 비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의 능
  72. 중국 베이징 명십삼릉 정릉, 만력제 신도비로 보이는 비석
  73. 중국 베이징 명13릉 정릉(Dingling, 定陵), 명나라 13대 신종 만력제의 능
  74. 남양주 사릉(思陵, 사적), 조선 6대 단종 비 정순왕후의 능
  75. 구리 동구릉 숭릉(崇陵, 사적), 조선 18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능
  76. 구리 동구릉 숭릉 정자각(보물)
  77. 화성 용주사, 정조가 사도세자 현륭원 원찰로 삼은 사찰
  78. 화성 용주사 동종(국보), 신라 종 양식을 따르는 고려초기 범종
  79. 안성 서운산 청룡사, 인조 셋째아들 인평대군의 원찰로 삼았던 사찰
  80. 안성 청룡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조선후기 유행한 소조불상
  81. 안성 청룡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불전
  82. 안성 봉업사지, 고려 태조 진영을 모셨던 사찰 터
  83. 안성 칠현산 칠장사, 인목대비가 영창대군 원찰로 삼은 사찰
  84.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보물)
  85.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86.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보물)
  87. 김포 금정사, 봉릉사라 불렸던 추존왕 원종의 장릉을 지키는 원찰
  88. 서울 봉은사(奉恩寺), 서울을 대표하는 도심 사찰
  89. 양양 낙산사(사적), 관동팔경 중에서도 제일로 손꼽히는 명소
  90. 양양 낙산해수욕장, 동해안을 대표하는 해수욕장
  91.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상, 동해바다를 내려다 보고 있는 관음보살을 잘 표현한 불상
  92.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보물), 고려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조선초기 다층석탑
  93. 양양 낙산사 홍련암(명승), 동해안 절벽에 있는 작은 암자
  94. 양양 낙산사 의상대(명승), 의상대사가 관음보살을 만났다고 전해지는 곳
  95. 남양주 봉선사, 세조 광릉을 지키는 원찰
  96. 여주 남한강 조포나루터, 한강 4대 나루터 중 한곳
  97. 여주 신륵사, 남한강변에 자리잡은 아름다운 사찰
  98.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앞 석등(보물)
  99.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비(보물)
  100.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보물), 고려말 승려 나옹선사 승탑
  101.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보물), 고려말 이색이 대장각을 세운 내력을 적은 비
  102. 여주 신륵사 삼층석탑, 남한강변 바위에 올려진 작은 석탑
  103.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남한강 나룻터에서 이정표가 되었던 탑
  104.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보물), 대리석으로 만든 화려했던 석탑
  105. 여주 신륵사 조사당(보물), 지공.나옹.무학대사의 영정이 모셔진 전각
  106. 고성 금강산 건봉사, 조선시대 전국 4대 사찰이었던 곳
  107. 고성 건봉사지, 조선 4대 사찰이었던 건봉사 옛 절터
  108. 고성 건봉사 불이문, 한국전쟁 때 불타지 않은 유일한 건물
  109. 고성 건봉사 능파교(보물)
  110. 고성 육송정 홍교(보물), 건봉사 가는길에 있는 아치형 돌다리.
  111. 양주 천보산 회암사, 무학대사가 수도했던 조선 최대 사찰이었던 곳
  112.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보물)
  113. 양주 회암사지 나옹선사탑과 석등
  114. 양주 회암사지 지공선사탑, 석등, 탑비
  115.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비
  116.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보물)
  117.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보물)
  118. 양주 회암사지(사적), 왕실과 관련 있었던 조선 최대의 사찰
  119. 서울 흥천사명 동종(보물), 중국종 특징이 반영된 조선초기 동종
  120. 서울 흥천사(興天寺), 태조가 신덕왕후의 정릉 원찰로 세운 사찰
  121. 남양주 유릉(사적), 재궁
  122. 남양주 홍릉(사적) 재궁, 황제의 능역에 조성된 재궁
  123. 영월 장릉(사적) 재실, 조선후기 재실 형태가 남아 있는 곳
  124. 김포 장릉(사적) 재실
  125. 서울 선릉 정릉(사적) 재실
  126. 여주 세종 영릉(사적) 재실
  127. 여주 효종 영릉 재실(보물), 왕릉 재실의 모습을 잘 보존되어 있는 곳
  128. 서울 헌릉.인릉(사적) 재실
  129. 구리 동구릉(사적) 재실
  130. 영월 엄흥도 정려각, 단종 시신을 거두었던 영월 호장 엄흥도에 내려진 정려
  131. 예산 남연군묘,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묘
  132. 포천 인평대군 신도비와 치제문비
  133. 포천 인평대군 묘, 인조의 셋째 아들
  134. 영월 장릉(莊陵, 사적), 조선 6대 단종의 능
  135. 서울 숭인원(崇仁園, 사적), 영친왕 아들 이진의 묘
  136. 서울 영휘원(永徽園, 사적), 대한제국 1대 황제 고종의 후비 순헌황귀비의 묘
  137. 남양주 유릉(裕陵, 사적),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과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의 능
  138. 남양주 홍릉(洪陵, 사적), 대한제국 1대황제 고종과 명성황후의 능
  139. 고양 서삼릉 예릉(睿陵, 사적), 조선 25대 철종과 원비 철인왕후의 능
  140. 구리 동구릉 수릉(綏陵, 사적), 추존왕 문조와 신정왕후의 능
  141. 서울 인릉(仁陵, 사적), 조선 23대 순조와 순원왕후의 능
  142. 파주 삼릉 영릉(永陵, 사적), 추존왕 진종과 효순왕후의 능
  143. 고양 서삼릉 의령원(懿寧園), 조선 21대 영조의 손자 의소세손의 묘
  144. 고양 서삼릉 효창원(孝昌園), 조선 22대 정조의 원자 문효세자의 묘
  145. 화성 융릉(隆陵,사적), 추존의황제 장조(사도세자)와 헌경의황후(혜경궁홍씨)의 능
  146. 고양 서오릉 순창원(順昌園, 사적), 조선 13대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와 공회빈의 묘
  147. 고양 서오릉 수경원(綬慶園), 조선 21대 영조의 후궁 영빈 이씨의 묘
  148. 화성 건릉(健陵, 사적), 조선 22대 정조와 효의왕후의 능
  149. 파주 수길원(綏吉園, 사적), 조선 21대 영조의 후궁 정빈이씨의 무덤
  150. 고양 서오릉 홍릉(弘陵, 사적), 조선 21대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의 능
  151. 구리 동구릉 원릉(元陵, 사적), 조선 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의 능
  152. 구리 동구릉 혜릉(惠陵, 사적), 조선 20대 경종의 원비 단의왕후의 능
  153. 서울 의릉(懿陵,사적), 조선 20대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의 능.
  154. 파주 소령원(사적), 조선 19대 숙종 후궁 숙빈 최씨의 무덤
  155. 고양 서오릉(사적) 대빈묘, 조선 19대 숙종 후궁 희빈 장씨 묘
  156. 고양 서오릉 익릉(翼陵, 사적), 조선 19대 숙종의 비 인경왕후의 능
  157. 고양 서오릉 명릉(明陵, 사적), 조선 19대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인원왕후의 능
  158. 구리 동구릉 휘릉(徽陵, 사적), 조선 16대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능
  159. 여주 영릉(寧陵, 사적), 조선 17대 효종과 인선왕후의 능
  160. 김포 장릉(章陵,사적), 추존왕 원종과 인원왕후의 능
  161. 구리 동구릉 목릉(穆陵,사적), 조선 14대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 박씨, 계비 인목왕후의 능
  162. 서울 태릉(泰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의 능
  163. 고양 서삼릉 희릉(禧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 정경왕후의 능
  164. 서울 정릉(靖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의 능
  165. 파주 삼릉 순릉(順陵, 사적), 조선 9대 성종의 원비 공혜왕후의 능
  166. 서울 선릉(宣陵, 사적), 조선 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의 능
  167. 고양 서오릉 경릉(敬陵, 사적), 추존왕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
  168. 파주 삼릉 공릉(恭陵, 사적) , 조선 8대 예종 원비 장순왕후의 능
  169. 고양 서오릉 창릉(昌陵, 사적) , 조선 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의 능
  170. 남양주 광릉(光陵, 사적), 조선 7대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
  171. 구리 동구릉 현릉(顯陵, 사적), 조선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능
  172. 여주 영릉(英陵,사적), 조선 4대 세종과 소헌왕후 합장릉
  173. 서울 헌릉(獻陵, 사적), 조선 3대 태종과 원경왕후의 능
  174. 서울 정릉(貞陵, 사적),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
  175.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보물)
  176. 구리 태조 건원릉 정자각(보물), 조선 왕릉 건축의 표준이 되었던 건물
  177. 구리 동구릉 건원릉(健元陵, 사적),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능
  178.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릉] 왕릉을 지킨 사람들
  179.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릉] 왕릉을 돌보다.
  180.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릉] 왕릉을 모시다.
  181.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릉] 왕릉을 정하다.
  182.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릉] 왕릉을 세우다.
  183. 보은 속리산 법주사(사적), 미륵신앙을 대표하는 사찰
  184. 충북 보은군 하개리 마을, 속리산 입구에 위치한 전통마을
  185. 보은 삼년산성(사적), 삼국시대 신라를 대표하는 산성
  186. 보은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보물), 고려초기 양식이 잘 나타난 마애불상
  187. 보은 법주사 능인전(能仁殿)
  188. 보은 법주사 석조, 사찰 입구 물을 담아두는 그릇
  189. 보은 법주사 석련지(국보), 돌로 작은 연못을 표현한 통일신라 걸작
  190. 보은 법주사 당간지주, 사찰에 도착했음을 알려주는 철당간
  191. 보은 법주사 철솥(보물), 주철로 만든 거대한 솥
  192. 보은 법주사 통일호국 금동미륵대불, 현대 불교조각을 대표하는 거대 불상
  193.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보물), 사실적 표현이 돋보이는 보살상
  194.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195.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보물), 사모지붕을 하고 있는 특이한 형태의 불전
  196.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
  197.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보물),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키는 큰 불전
  198.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보물), 통일신라 전성기에 조성된 석등
  199.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국보),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걸작
  200. 보은 법주사 팔상전(국보), 현존하는 유일한 목탑
  201. 보은 법주사 사천왕문
  202. 보은 법주사 벽암대사비
  203. 보은 속리 정이품송, 세조가 벼슬을 내린 소나무
  204. 보은 선병묵 고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한옥
  205. 보은 선병우 고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한옥
  206. 보은 선병국 가옥,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대저택
  207. 충청도 보은군 관아, 군수가 근무했던 동헌
  208.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어진 봉안용 회화, 진전의례
  209.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어진 봉안공간, 진전
  210.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또 한분의 왕, 어진
  211.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어진과 진전의 역사
  212. 양양 진전사지, 선종을 크게 일으킨 도의선사가 수행했던 진전사 절터
  213.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보물), 우리나라 선종을 크게 일으킨 도의선사의 승탑
  214.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부조가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215.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돌아온 남산
  216.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유신의 방패
  217.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개발독재시대 남산
  218.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해방 직후 남산
  219.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일제강점기 남산
  220. [서울역사박물관특별전, 남산의 힘] 식민통치의 현장
  221.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남산의 힘] 목멱, 한양의 안산
  222.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신림동 청춘] 고시촌 너머 신림동
  223.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신림동 청춘] 고시촌
  224. 북관대첩비, 임진왜란 때 승전을 기념하여 세운 승전비
  225. 원주 법천사지(사적), 남한강변 교통요지에 남아 있는 절터
  226.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국보), 법천사 절터에 남아 있는 탑비
  227.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국보), 석탑처럼 보이는 특이한 형태의 승탑
  228.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국보), 당대 문장가 최치원이 비문을 지은 탑비
  229.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보물),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이 새겨진 승탑
  230. 문경 봉암사 극락전(보물)
  231.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보물)
  232. 문경 희양산 봉암사, 통일신라 구산선문 희양산문 중심사찰
  233. 김천 직지사 중암(中庵)
  234. 김천 직지사 은선암
  235. 김천 황악산 직지사, 사명대사가 출가했던 경북지역을 대표하는 큰 사찰
  236. 김천 직지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불전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불전
  237.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직지사 대웅전 앞으로 옮겨온 두개의 탑
  238.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보물), 직지사로 옮겨온 통일신라 삼층석탑
  239.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240. 장성 진원리 오층석탑
  241. 장성 고산서원, 구한말 유학자 기정진을 모신 서원
  242. 장성 이진환 가옥 사랑채
  243. 장성향교, 장성도호부 공립중등교육기관
  244. 장성 황룡전적(사적), 동학농민군이 관군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둔 장소
  245. 담양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
  246. 담양 성월리 월전고분, 장고형고분과 유사한 고대 지방세력 무덤
  247. 담양 객사리석당간(보물), 홍수 예방의 풍수지리적 의미를 가진 석당간
  248.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보물),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해 만든 고려시대 석탑
  249. 담양 죽녹원, 울창한 대나무숲으로 잘 알려진 공원
  250. 담양 송진우 고택
  251. 담양 관방제림(천연기념물), 홍수를 막기 위해 영산강 둑방길에 심은 풍치림
  252. 담양 후산마을, 명옥헌 원림(명승)이 있는 마을
  253. 담양 삼지천마을, 옛 창평현 관아가 있던 읍치
  254. 담양 유종헌 가옥, 송강 정철의 처가였던 조선중기 한옥
  255. 담양 김선기 가옥, 장산리마을에 남아 있는 한옥
  256. 담양 몽한각, 양녕대군 후손들이 지은 재실
  257. 담양 고정주 고택, 창평 삼지천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258. 담양향교, 담양도호부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259. 담양 창평향교, 창평현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260. 광주 충효동마을, 왕버들(천연기념물)와 정려비각
  261. 담양 죽림재, 서당으로 세운 사설교육기관
  262. 담양 수남학구당, 조선시대 사설 중등교육기관
  263. 담양 수북학구당, 조선시대 사설 중등교육기관
  264. 장성 필암서원(사적), 김인후를 모신 호남을 대표하는 서원
  265. 장성 요월정원림, 배롱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 정자와 정원
  266. 담양 척서정, 집성촌 마을 입구에 세워진 정자.
  267. 담양 송강정, 송강 정철이 고향으로 낙향하여 세운 작은 정자
  268. 담양 면앙정, 조선중기 학자 송순이 세운 작은 정자
  269. 담양 독수정 원림, 고려말에 조성된 정원
  270. 담양 식영정 일원(명승), 송강 정철의 가사문학 산실로 여겨졌던 곳
  271. 담양 명옥헌 원림(명승), 소쇄원과 함께 담양을 대표하는 정자와 정원
  272. 광주 취가정, 임진왜란 의병장 김덕령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자
  273. 광주 환벽당 일원(명승), 호남지방 사림들이 교유했던 유서깊은 곳
  274. 담양 소쇄원(명승), 한국을 대표하는 정원
  275. 남원 광한루원(명승), 신선이 사는 삼신산을 구현해 놓은 인공정원
  276. 남원 광한루 월매집, 남부지방 중상계층이 살았던 초가집
  277. 남원 춘향사당
  278. 남원 광한루(보물), 호남을 대표하는 관아 누각
  279.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세계박람회가 열렸던 곳
  280.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개방적인 느낌을 주는 건축가 김수근의 80년대 박물관 건축
  281. 대전 둔산 선사유적지
  282. 설악산 토왕성폭포(명승)
  283. 설악산 비룡폭포 일원(명승), 외설악 토왕골계곡
  284. 서울 군기시(軍器寺) 터, 조선시대 무기제조 기관
  285. 옛 서울특별시 청사, 서울의 랜드마크가 되었던 공공건축물.
  286. 서울 정동 구세군 중앙회관
  287. 서산 도비산 부석사, 서해바다 경치가 아름다운 사찰
  288. 서산 간월암(看月庵), 천수만 풍경이 아름다운 작은 암자
  289. 경주 사천왕사지, 문무왕 비(碑) 거북받침돌
  290. 경주 석굴암 석굴(국보), 대표적인 석굴사원이자 불교미술의 걸작
  291.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불상
  292.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불탑과 사리갖춤
  293.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왕경인의 생활
  294.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의 왕경
  295.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의 대외교류
  296.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무덤속 저승세계
  297.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거대한 능묘의 발굴
  298.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인과 황금
  299.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 황금문화의 발견
  300. 경주 남산(사적) 용장계곡, 김시습이 머물렀던 절터가 있는 계곡
  301. 경주 남산(사적), 금오산 정상 부근 능선길.
  302. 경주 남산(사적) 탐방, 삼릉계곡(배리 삼릉~상선암)
  303. 경주 금척리 고분군(사적), 삼국시대 귀족들의 무덤
  304. 경주 사라리 유적, 경주의 대표적인 삼한시대 고분 유적지
  305. 경주 신선사, 삼국시대 석굴사원이 있는 작은 사찰
  306. 경주 낭산(사적), 선덕여왕릉이 있는 신라인이 신성시 여겼던 숲
  307. 경주 선덕여왕릉(사적), 신라 27대 선덕여왕
  308.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효소왕이 아버지 신문왕을 위해 세운 석탑
  309. 경주 황복사지, 낭산 북동쪽에 자리잡은 절터
  310.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보물)가 남아 있는 옛 절터
  311. 경주 삼불사,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가 모셔진 작은 사찰
  312. 경주 망월사, 배리 삼릉 부근에 세워진 작은 사찰
  313. 경주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보물), 다른 형식을 하고 있는 2개의 탑
  314. 경주 남산 용장사지, 김시습이 머물면서 저술했던 곳
  315. 경주 남산 상선암(上禪庵), 금오산 정상 아래에 있는 작은 암자
  316. 경주 남산 삼릉곡 제6사지
  317. 경주 남산 승소골 삼층석탑
  318.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7세기 신라 불상조각을 대표하는 작품
  319.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보물), 사실적인 신체의 표현이 특징인 통일신라 불상
  320.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불상
  321.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경주 남산을 대표하는 장면
  322. 경주 남산 삼릉곡 제9사지 선각마애불과 선각보살상
  323. 경주 남산 삼릉곡 제6사지 석조약사여래좌상과 마애선각여래좌상
  324.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보물)
  325. 경주 남산 삼릉곡 제6사지 석탑
  326. 경주 남산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327. 경주 남산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
  328. 경주 남산 삼릉곡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329. 양주 대모산성(사적), 임진강과 한강 사이 교통로를 지키는 군사요지.
  330. 파주 칠중성(사적), 삼국통일 이후 나당전쟁 격전지
  331. 경주 능지탑지, 문무왕을 화장한 낭산 서쪽 언덕에 남아 있는 탑
  332. 경주 감은사지(사적), 문무왕이 왜(倭)를 막고자 세운 호국 사찰
  333. 경주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국보), 감은사 절터에 남아 있는 2개의
  334. 경주 이견대(사적), 용이된 문무왕으로부터 만파식적을 얻은 곳
  335. 경주 문무대왕릉(사적), 대왕암이라 불리는 신라 30대 문무왕의 능
  336. 경주 진덕여왕릉(사적), 신라 28대 진덕여왕
  337.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통일신라 말 석탑
  338.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339.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국보), 가장 오래된 신라 석굴사원
  340. 경주 사천왕사지(사적), 삼국통일 후 문무왕이 처음 세웠던 사찰터
  341. 경주 감산사지, 창건내력이 적힌 불상이 발견된 통일신라 절터
  342. 경주 감산사지 삼층석탑
  343. 경주 함월산 골굴사, 초기 석굴사원 형태가 남아 있는 작은 사찰.
  344. 경주 함월산 기림사, 조선후기 경주지역 대표 사찰
  345. 경주 기림사 진남루, 관아 누각처럼 지어진 강당 건물
  346. 대구 관암사, 기도처인 갓바위 아래 작은 사찰
  347. 경산 팔공산 석조여래좌상(보물), 갓바위로 불리는 대표적인 기도처
  348. 영천 팔공산 거조사, 고려중기 불교개혁 운동이 시작된 유서깊은 사찰
  349. 대구 팔공산 동화사 비로암, 통일신라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진 암자.
  350. 대구 팔공산 동화사, 대구를 대표하는 큰 사찰
  351.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 백탑파이야기] 19세기 이후 백탑파 행로
  352.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 백탑파이야기] 백탑파와 규장각
  353.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 백탑파이야기] 성시전도시, 도성의 번창을 노래한 시
  354.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 백탑파이야기] 연행(燕行), 새로운 세상과의 만남
  355.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백탑파이야기] 백탑파 사람들
  356.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 백탑파이야기] 탑골에서 부는 바람
  357.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프라하] 근대 방어시설
  358.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프라하] 초기의 방어시설, 성채
  359.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프라하] 유럽 중앙의 요새, 천연의 수도 체코 프라하
  360. 하동 평사리 최참판댁, 대하소설 <토지>의 무대
  361. 하동 화개장터, 대중가요로 유명해진 전통 장터.
  362. 하동 지리산 쌍계사(雙磎寺), 우리나라 불교음악을 이끌어 온 사찰
  363. 하동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보물)
  364. 하동 쌍계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불교 건축양식이 잘 반영된 불전
  365. 남원 선원사, 도선국사가 남원의 지세를 보완하기 위해 세운 사찰
  366. 남원 만복사지(사적), 김시습 소설 금오신화의 무대였던 절터
  367. 남원 지리산 실상사 백장암, 참선도량으로 지은 부속 암자.
  368. 남원 지리산 실상사(사적), 통일신라 구산선문 중 처음 창건된 사찰
  369. 구례 지리산 화엄사(사적), 화엄십찰로 지리산을 대표하는 큰 사찰
  370. 구례 지리산 연곡사, 화려한 승탑문화를 꽃피운 선종 사찰
  371. 남원 용담사지, 고려초 조성한 거대 석조불상이 남아 있는 절터
  372. 함양 승안사지, 고려시대 삼층석탑과 석조불상이 남아 있는 절터
  373. 함양 사근산성(사적), 삼국시대 신라가 교통요지에 쌓은 산성
  374. 함양 허삼둘 가옥, 일제강점기에 지은 개량한옥
  375. 함양 안의 광풍루(光風樓), 옛 안의현 관아에서 운영했던 누각
  376. 함양 동호정(東湖亭), 넓은 바위와 담소가 있는 곳에 세워진 정자
  377. 함양 거연정(명승), 경치가 빼어난 화림동계곡에 세워진 정자.
  378. 함양 군자정, 정여창이 즐겨 찾았던 화림동 계곡에 세워진 정자
  379. 함양 개평마을, 선비의 고장 함양을 대표하는 전통마을
  380. 함양 개평마을, 노참판댁 고가
  381. 함양 개평마을 오담 고택, 종가에서 분가한 집
  382. 함양 개평마을, 하동정씨 고가
  383. 함양 개평마을 일두고택, 정여창이 살았던 곳에 다시 지은 대저택
  384. 함양 개평마을, 풍천노씨 대종가
  385. 함양 우명리 정씨 고가
  386. 함양 청계서원, 조선중기 문신 김일손을 모신 서원
  387. 함양 남계서원(사적), 서원 건축의 모범이 되었던 정여창을 모신 서원
  388. 함양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
  389.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고려 석탑
  390.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보물), 전형적인 고려시대 다층석탑
  391.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보물), 거대한 금동불상이 올려졌던 대좌
  392.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통일신라 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시대 불상
  393.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고려 초에 조성한 거대 불상
  394. 남원 용담사 칠층석탑, 고려시대에 세워진 석탑
  395. 구례 화엄사 동오층석탑(보물)
  396. 담양 개선사지 석등(보물), 조성연대를 기록한 글자가 새겨진 석등
  397. 구례 화엄사 서오층석탑(보물), 다양한 신장상이 새겨진 석탑
  398.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보물), 그 용도를 알 수 없는 석탑
  399.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국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등
  400. 구례 지리산 천은사, 지리산 3대 사찰로 불렸던 곳
  401. 구례 화엄사 보제루, 사찰에서 집회를 가질 수 있는 강당 건물
  402. 구례 화엄사 대웅전(보물), 비로자나여래를 모신 불전
  403. 구례 화엄사 각황전(국보),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키는 웅장한 불전
  404. 구례 화엄사 벽암국일도대선사비, 화엄사를 크게 중건한 벽암선사의 비
  405.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국보), 범패음악을 도입한 진감선사의 탑비
  406.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보물)
  407.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보물), 조선중기 승탑
  408. 구례 연곡사 북승탑(국보), 동 승탑을 모방해서 만든 고려초기 승탑
  409. 구례 연곡사 동승탑비(보물)
  410.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국보),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승탑
  411.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형식을 보여주는 통일신라 말기 석탑
  412. 구례 방호정, 산수유마을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정자
  413. 구례 운흥정(雲興亭), 시모임을 위해 경치좋은 하천에 세운 정자
  414.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사적), 정유재란때 의병을 일으킨 7인의 유적
  415. 구례 석주관성(사적), 섬진강변에 위치한 호남의 관문
  416. 구례 운조루(雲鳥樓), 호남을 대표하는 대저택
  417. 구례 오산 사성암(명승), 섬진강과 지리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작은 암자
  418. 남원 황산대첩비지(사적), 태조 이성계가 왜구를 크게 물리친 곳
  419. 남원 실상사 석장승, 사찰입구에 세워진 장승
  420.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보물)
  421.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보물)
  422.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보물), 실상사를 창건한 홍척국사 사리를 모신 탑
  423.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보물), 통일신라 비석의 원형을 보여주는 탑비
  424. 남원 실상사 석등(보물), 조형미가 돋보이는 큰 석등
  425.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보물), 상륜부가 온전히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426.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보물), 통일신라 석등 양식을 잘 갖추고 있는 석등
  427.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 다양한 부조상이 새겨진 석탑
  428. 공주 서혈사지 석불좌상(보물)
  429. 계유명 삼존천불비상(국보), 비석에 새긴 불상
  430.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국보), 관음보살을 표현한 백제 금동불상
  431. 무령왕릉 청동거울 (국보)
  432. 무령왕비 베개(국보)와 무령왕 발받침(국보)
  433. 무령왕비 은팔찌(국보), 제작수법과 디자인이 매우 뛰어난 작품
  434. 무령왕비 금목걸이(국보)
  435.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
  436. 무령왕 금제뒤꽂이(국보)
  437. 무령왕 금귀걸이(국보)
  438. 무령왕비 금제관식(국보), 연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의 관장식
  439. 무령왕 금제관식(국보), 불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의 관장식
  440. 무령왕릉 지석(국보), 무덤주인을 밝혀준 중요한 유물
  441. 무령왕릉 석수(국보), 무덤을 지키는 상상의 동물
  442. 공주 대통사 석조(보물), 백제때 만들어진 석조
  443. 공주 고마나루(명승), 웅진이라는 이름이 유래한 금강 나루터
  444. 서산 부장리 고분군(사적), 서산지역 한성기백제 지방세력 무덤
  445. 공주 수촌리 고분군(사적), 한성백제기 지방세력 위상을 보여주는 유적
  446. 공주 정지산유적(사적), 웅진 백제기 제사 유적
  447. 공주 송산리고분군 모형전시관
  448. 공주 송산리고분군(사적), 웅진기 백제 왕족들의 무덤
  449. [공주박물관 야외전시실] 석조불상을 비롯한 유물들
  450.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국보)
  451.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백제와 충남지역 불교 문화
  452.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공산성, 웅진기 백제의 왕성
  453.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백제의 웅진 천도
  454.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마한에서 백제로
  455.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마한과 한성백제기 충남지역
  456.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선사시대 충남지역
  457.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 정지산 유적 출토 유물
  458.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 웅진백제기 대외교류를 보여주는 유물
  459.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 무령왕비 관장식과 장신구들
  460.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 무령왕 관장식을 비롯한 금속공예 장신구
  461.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 무령왕릉의 발견
  462. 경주 서출지(사적), 신라 소지왕과 관련된 전설이 남아 있는 전통 연못
  463. 경주 이요당, 서출지 연못 한쪽에 지은 작은 정자
  464.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 일괄(보물), 서역인 얼굴이 표현된 무인석 외
  465. 경주 기림사삼층석탑,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 삼층석탑
  466.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보물), 석굴사원에 조성된 통일신라 마애불상
  467.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과 비로자나삼불회도(보물)
  468.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보물), 17세기 다포계 건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불전
  469. 영천 거조사 삼층석탑
  470. 영천 거조사 영산전(국보)
  471.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 좌상(보물)
  472. 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보물)
  473.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
  474. 대구 동화사 대웅전(보물)
  475. 강릉 정동진, 드라마 ‘모래시계’로 유명해진 해돋이 명소
  476. 강릉 주문진항, 영동지방을 대표하는 어항
  477. 강릉 사굴산 굴산사지(사적), 통일신라 구산선문 사찰이었던 절터
  478. 강릉 굴산사지 승탑(보물)
  479. 강릉 경포호수, 관동팔경 중 으뜸으로 손꼽히는 곳.
  480. 강릉 초당마을, 경포호수 부근 초당두부로 유명한 마을
  481. 강릉대도호부 관아(사적)
  482. 강릉 임영관 삼문(국보), 강릉도호부 객사 정문
  483. 강릉 임당동 성당
  484. 강릉 방해정(放海亭), 경포호수가 별장으로 지어진 곳
  485. 강릉 경호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작은 정자.
  486. 강릉 상영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경포호수가 정자
  487. 강릉 금란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경포호수가 정자.
  488.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현대 체코의 유리 공예
  489.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20세기 체코의 유리 공예
  490.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유리장신구
  491.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19세기의 보헤미아 유리
  492.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바르크와 로코코(17~18세기)
  493.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르네상스와 매너리즘
  494.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체코의 기독교 문화
  495. [중앙박물관특별전, 보헤미아 유리] 유리 제작의 기원과 중세
  496.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남비엣국, 동선문화의 전승
  497.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사후인문화, 철기시대 베트남 중.남부
  498.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동선문화 사람들
  499.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청동기 제작기술의 발달, 동더우.고문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