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출토된 철조여래좌상이다. 고려초인 10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불상으로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석가여래를 형상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체적인 형태나 표현 등은 석굴암 본존불을 따르고 있으나 허리를 길게 표현하는 등 신체의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나 조각수법 등이 떨어지는 편이다. 고려초 지방 호족세력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조성된 불상 중 하나이다. 불상이 있던 장소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없고 포천지역에서 발견된 것이라 한다.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포천지역에서 출토된 철조여래좌상.
두손이 없어졌지만 석굴암 본존불 형태를 따르고 있는 불상으로 석가여래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얼굴 부분
왼쪽에서 본 모습.
부처, 고려 10세기, 경기 포천
두 손이 모두 없어졌지만, 오른 손목의 위치로 보아 항마촉지인의 손갖춤을 취한 것으로 추정된다. 편단우견의 착의법, 무릎 앞의 부채꼴 주름 등에서 석굴암 본존불의 모습을 따르고 있으나, 허리가 길어진 부자연스러운 조형미 등으로 미루어 석굴암 본존불을 계승한 고려 초기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이 부처에서 볼 수 있는 둥글고 온화한 얼굴, 항마촉지인의 손갖춤, 대의의 깃이 왼편 어깨에서 뒤집힌 점, 대의의 물결식 옷주름 등은 개성를 중심으로 한 경기 북부지역 불상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출처: 중앙박물관>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중앙박물관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