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주 감은사지(사적), 문무왕이 왜(倭)를 막고자 세운 호국 사찰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에 있는 감은사지 절터(사적)이다. 불국사에서 토함산 고개를 넘어 동해안으로 한참을 달리면 해안가 농지가 있는 벌판 언덕에 두개의 거대한 탑이 우뚝 서 있는 감은자지를 볼 수 있다. 문무왕 무덤인 대왕암을 바라보는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삼국통일을 이룩한 문무왕이 왜(倭)의 침입을 막고자 감은사를 창건했으며, 그의 아들 신문왕 때(682년) 완성되었다. 경주 사천왕사와 함께 문무왕을 명복을 빌고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는 원찰(願刹)의 성격을 갖고 있다. 감은사가 언제 폐사되었는지는 기록에 남아 있지 않으나, 발굴.조사 결과 조선중기 이전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주 감은사지(사적)>

감은사는 토함산에서 발원한 대종천이 동해바다와 만나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인공적으로 축대를 높게 쌓아 조성했다. 통일신라 이전에 주로 조성되었던 평지사찰에서 경사진 지형에 축대를 쌓아 조성한 산지사찰로 바뀌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감은사 아래는 넓은 논들이 있는데, 원래는 작은 석호(潟湖)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2개의 탑이 우뚝 서 있는 감은사지 절터>

문무왕이 왜의 침입을 막기 위해 창건한 사찰로 그의 아들 신문왕 때 완성했다. 경주 사천왕사와 함께 처음으로 쌍탑이 조성되었다. 석탑의 형태나 양식, 가람배치, 축대를 쌓아 조성한 부지 등 후대에 사찰건축에 큰 영향을 준 사찰이다. 감은사 절터에는 2기의 삼층석탑과 금당터 등 건물터가 남아 있다. 사찰은 대왕암을 내려다 볼 수 있도록 축대를 쌓아 조성했다. 건물은 중문, 금당, 강당이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강당 앞에는 2개의 탑이 세워져 있단 2탑 1금당의 가람배치를 하고 있다. 2기의 탑을 배치하는 것은 비슷한 시기에 세워진 사천왕사와 감은사가 처음이며, 사천왕사에서는 2기의 목탑, 감은사에서는 2기의 석탑이 세워졌다. 석탑 또한 목조건축물을 모방해서 만든 것으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모범이 되었으며, 현존하는 통일신라 석탑 중 가장 큰 규모이다. 석탑의 수리.보수과정에서 3층몸돌에서 사리엄장구가 발견되었다. 금당은 2층 기단 위에 세워졌으며, 4면에 계단을 두고 있다. 금당 아래에는 지하공간을 이룬 석조물이 발견되었는데, 용이 된 문무왕이 금당을 드나들 수 있도록 했다는 <삼국유사>에 기록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감은사지 절터>

금당과 강당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금당 앞에는 석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자리가 있다.

<중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모습>

감은사는 사천왕사와 함께 2탑1금당식 가람배치를 처음 시도하였으며, 통일신라 사찰 가람배치의 모범이 되고 있다.

<금당 앞에 세워진 동.서삼층석탑>

감은사지 동삼층석탑(국보)은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구성된 통일신라 삼층석탑 중 가장 오래되었다. 백제의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마찬가지로 목탑의 형태를 모방해서 간략하게 구현하였다. 후대의 석탑과는 달리 여러개의 석재를 조립해서 만들었다.

<감은사지 동삼층석탑(국보)>

동삼층석탑 3층 몸돌에서 발견된 사리엄장구(보물)는 1996년 해체.수리과정에서 발견되었다. 통일신라 전성기 조각가로 활동한 양지스님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천왕상이 있는 외함, 사리를 보관하는 사리기와  수정사리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삼층석탑 3층 몸돌에서 발견된 사리엄장구(보물)>

<서삼층석탑(국보)>

<감은사 서삼층석탑 사리엄장구(보물) 외함>

금당은 2층 기단위에 세워졌는데 기단 4면에 돌계단을 설치하였다. 건물은 앞면 5칸 규모이다. 금당 양쪽으로 회랑이 연결되어 있다.

<금당터>

<금당을 오르는 돌로 만든 계단>

다른 사찰과 달리 금당 아래에 지하공간을 이루고 있다. 동해의 용이 된 문무왕이 금당을 드나들 수 있도록 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석조 구조물은 긴 장대석을 이용하여 마루를 깔아 놓은 형태이며 약 60cm 높이의 공간이 형성된다.

<금당 내부>

<석구조물>

<금당 뒷편 강당터>

<중문 좌우 회랑터>

기둥을 세웠던 주춧돌이 배치되어 있다.

<동쪽편 회랑터.>

<서쪽편 회랑터>

<회랑 서쪽편 건물터>

<2016년 봄 회랑터>

제31대 신문대왕(神文大王)의 이름은 정명(政明)이며, 성은 김씨다. 개요(開耀)註 082 원년 신사(辛巳) 7월 7일에 왕위에 올랐다. 부왕(聖考)인 문무대왕(文武大王)을 위해 동해 가에 감은사(感恩寺)를 세웠다. (삼국유사 권 제2 제2기이 만파식적,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이듬해 임오(壬午) 5월 초하루에 어떤 책에는 천수(天授) 원년(690년)이라고 했으나 잘못이다. 해관(海官) 파진찬(波珍湌) 박숙청(朴夙淸)이 아뢰기를, “동해 중의 작은 산 하나가 물에 떠서 감은사를 향해 오는데, 물결을 따라서 왔다 갔다 합니다”라고 하였다. ~ 생략 ~ 만약 폐하께서 해변으로 나가시면 값으로 계산할 수 없는 큰 보배를 반드시 얻게 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기뻐하여 그달 7일에 이견대로 행차하여 그 산을 바라보면서 사자를 보내 살펴보도록 했더니, 산의 형세는 거북의 머리 같고, 그 위에는 한 줄기 대나무가 있는데, 낮에는 둘이 되고 밤에는 합하여 하나가 되었다. 일설에는 산도 역시 밤낮으로 합치고 갈라짐이 대나무와 같았다고 한다.사자가 와서 그것을 아뢰니, 왕은 감은사로 가서 유숙하였다.  (삼국유사 권 제2 제2기이 만파식적,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감은사지 절터 뒷편>

유적지로 지정되기 전까지 마을이 있었다고 한다.

<감은사 절터에서 보이는 대왕암 주변>

대왕암 주변은 대종천이 동해바다와 만나면서 모래톱으로 막혀 있다. 원래는 호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지금은 대부분 농경지로 이루어졌다. 감은사 절터 아래에 용연(龍淵)이라는 연못이 확인되었다.

<감은사지 아래 들판>

<해안 방향에서 본 감은사지>

경주 감은사지, 사적,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감은사(感恩寺)는 신라 문무왕이 삼국을 통일한 뒤 왜구의 침략을 막고자 이곳에 절을 세우기 시작하여 신문왕 2년(682)에 완성된 절이다. 감은사에는 죽어서도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문무왕의 유언에 따라 동해의 대왕암에 장사 지낸 뒤, 용이 된 부왕이 드나들 수 있도록 금당 밑에 특이한 구조로 된 공간이 만들어져 있다. 금당 앞에 동서로 마주보고 서 있는 삼층석탑은 높이가 13.4m로 장대하다. 삼층석탑은 이중 기단 위에 몸체돌을 올린 모습으로 처마밑은 받침이 5단이며, 지붕 위는 곡면을 이루어 통일신라기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인다. 1959년 12월 서탑을 해체 보수할 때 3층 몸돌에서 건립당시 설치하였던 매우 정교하고 귀중한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다. 1996년에 동탑을 해체.보수하였는데, 3층 지붕돌의 상면 사리공에서 금동사리함이 발견되었다. 경주에 있는 삼층 석탑으로는 가장 거대하며, 옛 신라의 1탑 중심에서 삼국통일 직후 쌍탑으로 변모한 최초의 가람배치를 보이고 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6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6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6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6년
  4. 삼국유사 권 제2 제2기이 만파식적,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