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융릉(隆陵, 사적)이다. 사도세자로 잘 알려진 조선 22대 정조의 아버지인 장헌세자와 그의 비 혜경궁 홍씨의 합장릉이다. 원래 양주 배봉산에 있던 사도세자의 무덤인 영우원을 정조가 즉위하면서 이곳 화산으로 옮기고 현륭원(顯隆園)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세자의 무덤인 원(園)의 형식을 갖추었지만 봉분에 연꽃이 새겨진 병풍석을 설치하는 등 왕릉처럼 공간을 꾸몄다. 정조의 정성이 깊었던지 서쪽편 정조대왕의 건릉보다도 사도세자의 융릉이 더 웅장해 보인다.
정조는 이곳에 현륭원을 조성한 이후 여러 차례 능행을 했으며, 수원화성을 쌓고 화성내에 행궁을 설치하였다. 또한 화산 아래에 용주사를 크게 중창하여 원찰로 삼았다. 현륭원은 대한제국 선포 이후 장조의황제로 추존되면서 융릉으로 승격되었다.
<화성 융릉(사적)>
추존의황제 장조(사도세자)와 헌경의황후(혜경궁홍씨)의 능이다. 정조가 심혈을 기울여 조성한 곳이다. 세자의 묘인 원(園)으로 조성되었지만 왕릉보다 웅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융릉 입구 홍살문>
<홍살문에서 정자각으로 이어지는 참도>
<산릉제례를 올리는 공간인 정자각>
<정자각 추녀마루 잡상>
<옆에서 본 모습>
<능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머무는 수복방>
<정자각 뒷편 비각>
의황제로 추존되면서 2개의 비석이 세워져 있다.
<정자각 뒷편 봉분>
<봉분과 석물>
봉분은 세자의 무덤인 원(園)의 형식으로 조성되어지만 봉분 둘레에 병풍석을 두르는 등 왕릉에 준하는 격식을 갖추고 있다.
<화성 융릉 건릉(사적) 입구의 재실>
<화성 화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용주사>
현륭원을 지키는 원찰로 사실상 정조대왕이 창건한 사찰이다. 사찰의 가람배치는 유교식 사당의 양식이 혼합되어 있다. 삼문에서 사도세자의 위패를 모셨던 호성전까지는 박돌을 깔아 놓은 신도가 조성되어 있다.
화성 융릉, 사적, 경기도 화성시 안녕로
융릉은 훗날 장조로 추존된 장헌세자와 훗날 헌경의황후로 추존된 그의 비 혜경궁 홍씨의 합장릉이다. 융릉은 세자의 묘인 원의 형식에 연꽃이 새겨진 병풍석을 설치하고, 상계 공간과 하계 공간으로 나누어 공간을 왕릉처럼 조영하였다. 상계에는 능침, 혼유석,망주석이 배치되어 있으며, 하계에는 문무인석, 석마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융릉은 정자각과 능침이 일직선상의 축을 이루지 않으며, 홍살문 오른쪽에 작은 연못을 둔 특이한 공간 구성을 보이는데, 이는 모두 풍수적 논리에 의해 조영되었다고 한다. 추존 장조의 능은 원래 당시 경기도 양주군 남쪽 중랑포 배봉산에 있었는데, 능명을 세자의 예에 따라 영우원(永佑園)이라 하였다. 정조가 즉위하면서 바로 아버지의 존호를 장헌(莊獻)으로 올리고, 화성의 화산으로 묘를 옮기면서 현륭원(顯隆園)으로 하였다가 후에 장조로 추존하면서 능호를 융릉(隆陵)으로 바꿨으며, 고종 때 의황제(懿皇帝)로 추존함과 동시에 어머니도 의황후(懿皇后)로 올렸다. <출처:문화재청>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고궁박물관
5. 위키백과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