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인 봉업사지(奉業寺址)이다. 오층석탑(보물)과 당간지주가 남아 있어 옛 절터였음을 알 수 있고, 대부분은 농경지로 사용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고려 태조 진영을 모셨던 비봉산 아래 봉업사’라는 기록과 <고려사>에 ‘공민왕이 죽주에 이르러 봉업사에서 태조의 진영을 알현했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다. 1966년에 ‘봉업사’라는 사찰이 이름이 적힌 향완과 반자가 발굴되어 문헌에 기록되어 있던 봉업사가 이 곳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봉업사지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봉업사명청동향로(보물, 호암미술관 소장)와 ‘봉업사명 청동북(보물, 연세대박물관 소장)’, 인근 칠장사로 옮겨진 석조여래입상(보물 )을 비롯하여 경기도박물관에 소장중인 명문기와, 막새, 청자편 등이 있다.
봉업사가 있는 죽산면 일대는 중부내륙지방인 충주와 청주에서 서울로 연결되는 주요한 교통로이다. 조선시대에는 죽산도호부 관아가 설치되었으며, 절터 뒷편에는 죽주산성이 있다. 봉업사가 관아 읍치와 가까운 지역에 자리잡고 있어 조선시대에 폐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주요 교통로에서 여행객들이 묵을 수 있는 역.원의 기능을 겸했던 고려시대 사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안성 봉업사지>
<이곳이 절터임을 말해주는 당간지주>
안성 죽산리 당간지주
당간지주는 부처와 보살의 공덕과 위신을 기리는 불교 용구인 당을 달기 위한 당간을 고정해 주는 두 개의 지주대를 말한다. 주로 절의 입구에 세워져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당간지주는 돌이나 철로 만든 것이지만 예전에는 목재를 많이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당간지주는 현재 위치에 쓰러져 있던 것을 1968년에 복원한 것으로 높이 4.7m, 폭 0.76m, 두께 0.5m로 약 1m 거리를 두고 한 쌍이 서 있는데 아무 장식이 없는 소박한 형태이다. 남쪽의 기둥은 윗부분이 약간 깨져 나간 상태이며 당간지주의 윗부분은 바깥쪽으로 둥글게 다듬었고 안쪽에는 당간을 고정시키는 직사각형의 구멍이 만들어져 있다. 건립 시기는 안성 죽산리 5층 석탑(보물 435호)와 같은 고려 전기로 추정된다. (안내문, 안성시청, 2012년)
오층석탑(보물)은 단층의 기단위에 5층의 탑신이 올려졌다. 조각수법이나 비례 등 전체적인 조형미가 많이 떨어지고 정형화된 양식의 고려초기 석탑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봉업사지 오층석탑(보물)>
석조여래입상(보물)은 높이 1.57m로 불상과 광배가 같은 돌로 만들어졌다. 눈,코,입 등은 심하게 닳았으며, 옷주름은 여려겹으로 자연스럽게 잘 표현되어 있다. 고려초 만든 다른 석불입상에 비해 신체비례가 적절한 편이며 조각수법도 양호하다. 고려초기에 유행했던 안성지역 불상 양식이 잘 드러나 있는 유물로 평가되고 있다.
<안성 칠장사로 옮겨진 석조여래입상(보물)>
봉업사는 태조 진영을 모셨던 고려왕실과 관련있는 사찰로 상당히 큰 규모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은 오층석탑 부근을 제외하는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다.
<석탑과 당간지주만 남아 있는 절터>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는 봉업사지 절터>
청동북(보물)은 1966년 이곳에서 경지정리 과정에 이곳에서 출토되었다. 봉업사라는 글이 적혀 있어 문헌에 기록되어있던 봉업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던 유물이다. 연세대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봉업사명 청동북(보물)
청동향로(보물)는 몸체와 덮개, 세개의 발이 달린 기대(器臺)로 구성되어 있다. 향로의 중간 부분은 고려시대 향완과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뚜껑에는 보주가 달려 있다. 전체적인 비례감과 형태에서 주는 조형미가 뛰어나다. 뚜껑에 ‘봉업사(奉業寺)’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고려초 봉업사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봉업사명청동향로(보물)>
<봉업사 절터에서 출토된 기와편>
‘태평흥국7년’ 명 기와, 고려, 982년, 안성 봉업사지에서 출토된 암키와이다. 기와에 새겨진 글의 내용은 ‘태평흥국 7년 임오 2월 죽주에서 수(인), 수(오) 등이 모두의 힘을 합하여 불사를 하였다.’이다. 안성 봉업사지와 관련하여 연대를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안내문, 경기도박물관, 2012년)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내문, 안성시청, 2012년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12년
- 안내문, 국립중앙박물관, 2022년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