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청룡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4칸으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지붕을 받치는 처마는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 기둥은 전혀 가공하지 않은 원목을 사용하고 있어, 소박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멋이 있다. 조선 선조 이전에 지어졌다고 하나 건물의 형태나 건축수법으로 볼 때 조선후기에 크게 중수하면서 새로 지은 것으로 보인다. 대웅전에는 소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이 모셔져 있으며, 내부에 동종(보물)가 보관되어 있다.
안성 서운산 자락에 위치한 청룡사는 고려시대(원종6)인 1265년에 처음 세워진 사찰로 고려말 이름난 고승인 나옹화상이 크게 중창하면서 청룡사라 불렀다고 한다. 조선시대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원찰이었다. 1900년대부터는 남사당패의 근거지가 되었다고 하며, 부근에 지금도 남사당마을 등이 있다.
<안성 청룡사 대웅전(보물)>
청룡사 주불전으로 조선후기에 새로 지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건물은 앞면 3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대웅전 현판>
<처마와 공포>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밖으로 뻗쳐 나온 재료 윗몸에 연꽃과 연꽃봉오리를 화려하게 조각해 놓은 조선 후기의 불전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창호와 기둥>
문살은 큰 장식이 없는 띠살창을 하고 있다.
<옆에서 본 모습>
다듬지 않은 원목을 기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굵기가 일정하지 않고, 휜 것이 많다.
<대웅전 출입문 위에 걸려 있는 현판>
<대웅전 내부>
중앙에 불단을 만들어 석가여래를 본존불로, 보현보살과 문수보살을 협시불로 모신 소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을 모시고 그 위에 닫집을 달아 장엄함을 더해주고 있다.
<왼쪽에서 본 모습>
안성 청룡사 대웅전, 보물, 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길
서운산에 있는 청룡사는 고려 원종6년(1265) 명본대사가 건립하여 공민왕13년(1364) 승려 나옹에 의해 새롭게 지어진 유서 깊은 사찰로 조선 초기까지도 왕실의 원찰이었던 곳이다. 대웅전이 다시 지어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선조34년(1601)에 중수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17세기 이전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후 몇차레 고쳐지었다. 대웅전은 정면3칸 측면4칸의 규모로 자연석으로 쌓은 기단에 초석을 놓고 둥근 기둥을 세운 다포계 팔작집이다. 지붕가가는 7량으로 구성되었고, 내부 천장은 일반적인 불전과 달리 연등천장으로 구성하였다. 내부에는 중앙에 불단을 만들어 석가삼존불을 모시고 그 위에 부처를 보호.장엄하기 위해 닫집을 달아 장엄하다. <출처: 문화재청>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고궁박물관
5. 위키백과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