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에서 출토된 철조여래좌상이다. 현재까지 남아 있는 철조불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통일신라 8세기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항마촉지인 손갖춤을 하고 있는 석가여래를 표현한 불상이다. 생동감 넘치는 얼굴과 당당한 어깨, 풍만한 가슴 등 석굴암 본존불을 연상시킨다. 전체적인 신체의 표현이나 조각수법 등이 정형화된 9세기 철조불상과 확연히 다른 것으로 보여 8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불상이 출토된 서산시 운산면에는 화엄십찰 중 한 곳이었던 보원사지와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국보)이 있다. 이 불상이 보원사에 있던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가까운 지역에서 출토된 불상으로 보원사지 출토 철조불상에 비해서 시대적으로 약간 앞선 것으로 보고 있다.
철조여래좌상
철조불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석굴암 본존불과 그 형태가 비슷하다.
부처, 통일신라,8세기,서산 운산면 출토
쇠로 만든 이 부처는 1918년 충남 서산시 운산면에서 옮겨온 것이다. 두 손이 모두 없어졌지만 오른 손목의 위치로 보아 석가모니가 보드가야의 보리수 아래에서 도를 깨닫는 순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항마촉지인의 손갖춤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민머리에 생동감 넘치는 얼굴, 당당한 어깨와 풍만한 가슴, 그리고 결가부좌한 다리의 넘치는 양감 등에서 석굴암 본존불과 매우 비슷하다. 형식화된 9세기 철불과 확연히 구별되는 것으로 보아 8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우리나라 철불 가운데 가장 앞선 시기의 작품으로 평가된다. 부처의 머리 위에 설치된 집모형은 ‘닫집’,’천개’ 또는 보개’라고도 하는데 이 것은 부석사 무량수전 내부의 닫집을 복원한 것이다. <출처:국립중앙박물관>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중앙박물관
5. 위키백과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