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청동북, 동선문화 상징, 2. 홍강 유역 청동기문화, 3. 동더우, 고문문화, 4. 동선문화, 국가의 성립, 5. 동선문화 사람들, 6. 사후인문화, 7. 남비엣국, 동선문화의 전승
동더우(Dong Dau, 기원전 1,500~1,000년)문화는 베트남 최초의 선사문화인 풍응우옌(Phung Nguyen, 기원전 2,000~1,500년)을 잇는 선사문화로 본격적인 청동기시대로 발전했던 시기이다. 동더우문화는 베트남 북부 홍강유역의 빈푸.하노이 등 여러 지역에 분포하면 풍응우옌 문화의 분포지역과 비슷하다. 이 시기에는 거푸집을 이용한 청동기 제작기술을 보여주여 주고 있으며, 청동도끼, 청동제 창, 솥 모양의 청동기 등이 나타나고 있다. 석기로는 간돌도끼를 비롯한 생활용품과 팔찌같은 장신구 등이, 토제품으로 가락바퀴와 동물상 등이 출토되고 있다.
고문(Go Mun, 1000~500년)문화 시기에는 매우 발달된 청동기 제작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시기에는 도끼, 보습, 화살촉 등 다양한 청동기들이 만들어졌다. 석기를 주로 사용하고 청동기는 지배층의 권위를 보여주는 의식용이나 위세품 역할을 했던 한반도나 중국과는 달리 베트남에서는 실생활에 사용되었던 청동기 도구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 지역에서는 구리가 풍부하게 생산되었기때문에 청동기가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더우, 고문문화 유물>
베트남 청동기문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기원전 1500~500년 사이의 동더우.고문문화 유물들이다. 동더우와 고문지역에서 출토된 청동기문화와 관련된 유물들이다.
<항아리(동더우문화 BC 1500~1000,토제)>
한반도의 무늬없는 토기처럼 밑이 둥글고 무늬가 많지 않다.
동더우 문화의 토기 항아리이다. 밑이 둥글고 목이 길다. 동체에 두드림 무늬를 시문한 후 목 부분은 매끈하게 물손질로 정면하였다. 이러한 기형은 풍응우옌 문화에서부터 유행해 온 토기이다. <출처:중앙박물관>
<단지(동더우, 빈푹성, 동더우문화 BC 1500~1000,토제).>
동더우 문화의 토기단지이다. 입이 넓고, 높이가 낮아 솥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사실이 섞인 점토를 사용하였고, 표면에 두드림 무늬를 시문하였다.<출처:중앙박물관>
<1.황소상(동더우, 빈푹성, 동더우문화 BC 1500~1000,토제)>
<2.칼(동더우, 빈푹성, 동더우문화 BC 1500~1000,토제)>
<3.도끼(동더우, 빈푹성, 동더우문화 BC 1500~1000, 돌), 4.끌(동더우, 빈푹성, 동더우문화 BC 1500~1000,돌)>
청동기가 많이 사용된 지역이기는 하지만 돌로 만든 도구도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던 것 같다.
<5.어망추(비엣찌, 푸토성.티우두옹, 타인호아성, 동더우문화 BC 1500~1000,토제)>
<6.팔찌(밍탄, 빈푹성, 동더우문화 BC 1500~1000,돌)>
돌로 만든 장신구로 한반도에서 보기 힘든 형태이다.
<7,귀걸이(동더우, 빈푹성, 동더우문화 BC 1500~1000,돌)>
<1.낚시바늘(고문, 푸토성, 고문문화 BC 1000~500,청동).>
청동기가 실생활에 많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반도에서는 철기시대 이전까지는 동물뼈 등을 사용해서 만들었다.
<2.화살촉(고문, 푸토성, 고문문화 BC 1000~500,청동), 5.청동슬래그(동더우, 빈푹성, 고문문화 BC 1500~1000,청동)>
청동 슬래그는 광물을 제련할 때 금속을 제거하고 남은 찌꺼기이다. 청동제품은 아니지만 청동 제련과 관련된 중요한 실물 자료이다. 동더우 문화에서 본격적인 청동생산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3.끌(고문, 푸토성, 고문문화 BC 1000~500,청동), 4.도끼(고문, 푸토성, 고문문화 BC 1000~500,청동)>
<6.도가니(고문문화 BC 1000~500,토제)>
도가니는 쇠붙이를 녹일 때 사용하는 오목한 그릇이다. 고온에서 가열되기 때문에 토제나 돌로 두껍게 만들어진다. 청동의 도가니로 사용된 이 도가니는 그릇의 안쪽에 청동의 흔적이 남아 있다. 청동기 제작과 관련된 도구이다. <출처:중앙박물관>
<7.거푸집(동선문화 BC 500~0년, 고문문화 BC 1000~500년, 돌)>
고문시기에는 많은 거푸짐이 출토되어 이때부터 활발하게 청동기 생산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문의 거푸집과 동선의 거푸집은 날부분이 투겁보다 넓은 형태의 발 모양 청동 도끼이 조형들이다. <출처:중앙박물관>
<8.토기편(동더우, 빈푹성, 고문문화 BC 1000~500년)>
동더우 유적은 청동기 문화층이 풍응우엔부터 동선까지 모두 확인되는 장기 취락 유적이다. 이 유적의 고문 문화층에서 확인된 토기편이다. 구면부가 크게 외빈하고, 원형 접열문 등의 인화 무늬 장식이 된 전형적인 고문 토기이다. <출처:중앙박물관>
청동기 제작기술의 발달, 동더우.고문문화
청동기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동더우(Dong Dau) 문화부터이다. 동더우 유적에서 발견된 청동 도끼들을 통해 이 시기에 이르러 청동 주물기술이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청동기 제작 기술은 고문(Go Mun)사람들에 의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청동기 제작이 다양해지면서 그동안 석기로 만들어졌던 여러 도구들이 청동기로 대체되어 석기의 수량은 점차 줄게 되었다. 팔찌와 귀걸이 등 석재 장신구들은 여전히 석기로 제작되었다. <출처:중앙박물관>
<출처>
1. 중앙박물관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