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악석문화(岳石文化, Yueshi culture), 산동지방 청동기문화

산동성(山東省)은 중국 황하 하류 발해만과 황해를 접하고 있는 지역으로 인구가 약 1억명에 이르는 중국에서 상당히 큰 지방이다. 중국의 역사시대인 하(夏).상(商)왕조 때에는 동이(東夷)라고 하여 중국 동쪽 변방지역으로 여겨졌으며 크고 작은 세력들이 있었다. 주왕조가 들어선 이후에는 제(齊)와 노(魯)가 산동지방의 주요 제후국이었으며, 정치, 경제, 문화, 기술적으로 산동지방을 이끌었다. 중국을 대표하는 사상인 유가(儒家)와 묵가(墨家)가 산동지방에서 발생했다. 산동성박물관에서는 역사시대 중국을 이끌었던 산동지방의 동이(東夷)문화와 춘추전국시대 제(齊)와 노(魯)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의 제기(祭器)와 무기, 갑골문자 등 다양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서문
산동반도는 다양한 지역문화가 존재했던 고대 중국사회에 중요한 문화교류의 공간이었다. 하.상왕조시기에 동이(東夷文化)문화권에 있었던 여러 지역들은 서로 경쟁하고 중원의 왕조와 교류하면서 중국문명에 큰 기여를 하였다. 주왕조시기에는 제(齊)와 노(魯)가 산동지방의 주요 국가였으며 점차 정치, 경제, 문화, 기술적으로 산동지방을 이끌었다. 제환공(濟桓公)은 춘추전국시대에 주왕조를 넘어서는 첫번째 패자가가 되었다.  노(魯)는 당시 주나라의 의식과 제례문화를 이끌었다. 춘추전국시대에는 점차 국경은 없어지고 진(秦),한(漢)제국시대에는 하나의 중국으로 통일되었다. 제(濟)의 수도 임치(臨淄)에 세워졌던 직하학궁(稷下學宮)에서는 많은 학자들을 배출하였다. 이후 중국을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사상인 유가(儒家)와 묵가(墨家)가 이곳에서 생겨났다. <출처: 산동성박물관>

Perface
Shandong penisula was a hot land of cultural interaction that gave from tho the unified multi-ethic state of China. During the Xia and Shang dynasties, many aboriginal politics of the “Eastern Yi-barbarians” arose to compete and interact with royal kingdoms in the Central Plain, all of which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civilization. When it came to the Zhou dynasty, the local states, among which Qi and Lu were the most eminent ones, gradually took the lead in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techological fronts. Lord Huan of Qi became the first hegemon to “uphold the authority of the royalty and expel Yi-barbarians”, in the meantime, the state of Lu assumed the responsibility of guarding the Zhou ritual culture. The turbulent centuries of rivalry and annexation since the beginning of the Spring-Autumn period gradually sept away inter-state barriers and sailed China to the shore of the Qin and Han Empires. The Jixia School of Qi, which marked the height of intllectual enlightenment, and Confucianism and Mohism born in this land molded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Chinese civilization during the coming millennia. <출처: 산동성박물관>

<산동성박물관 2층에 위치한 8번 전시실>

고대국가였던 하.상.주 시대 산동지방의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는 고고학박물관이자 역사박물관 성격을 갖는 공간이다.

악석문화(岳石文化, Yueshi culture)는 중국 산동성 전역과 강소성, 안휘성, 허난성 일부에 분포하고 있는 청동기문화이다. 이 지역문화에 대해서는 1950년대 이후 여러지역에서의 발굴.조사를 통해 그 실체가 확인되었다. 산동지방의 신석기문화인 룽산문화((龙山文化)를 계승하고 있으며 요동지역에서 나타난 청동기문화와 영향을 주고 받은 것으로 보고있다. 도기로 만들어진 중국의 전통제기(祭器)인 단지(罐), 시루(深), 세발솥(鼎) 등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다. 청동기로는 화살촉, 칼, 송곳 등 소형 공구류와 무기류 등이 있다.

악석문화(岳石之光, Yueshi culture)
하왕조(夏, 기원전 2070~1600년경) 초기 우(禹)의 아들 계(啓)가 제후들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오르면서 “능력있는 인물이 왕위를 이어받는” 제도는 폐지되고 세습왕조로 바뀌었다. 이때 산동지방에서는 어떤 일이 있어났을까? 그 때는 산동지방에서는 롱산문화(龙山文化)를 계승하여 새로운 청동기 문화인 악석문화(岳石文化, Yueshi culture) 문화의 부상과 대체로 일치했다. 이 문화의 발견은 하왕조와 상 왕조 기간 동안 동이(東夷)문화에 새로운 시각을 부여한다. <출처: 산동성박물관>

The Light of the Yueshi Culture
In the beginning of the Xia dynasty, Qi abolished the noble “transmission to-the-able-man” institution, overtaking the power from his father Yu and founding the first royal dynasty in China, Xia. What happened in Shandong at this moment? The moment roughly corresponded to the rise of the Yueshi culture, which succeeded the Longshan culture and preceded the Bronze Age in Shandong Penisula. The discovery of this culture sheds a new light into the culture of the Easten Yi-barbarians during the Xia and subsequent Shang dynasties. <출처: 산동성박물관>

<악석문화(岳石之光,Yueshi Culture ) 성터 유적>

오랜 세월에 걸쳐서 사람이 살아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산동성 핑두시 동악 석촌유적(平度东岳石村)

산동지방 악석문화 유물 분포도.

1. 도기 솥(陶鬶), 악석문화 기원전 4000~3500년, 지닝시(济宁) 사수현(泗水县) 천제묘(天齐庙)유적지 ,

규(鬶, gui)라고 불리는 세발달린 솥에 주둥이와 손잡이가 붙어 있는 그릇을 말한다. 신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이 도기는 손잡이와 주둥이가 없이 발의 모양만 규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2. 도기 잔받침(陶浅盘豆), 악석문화 기원전 4000~3500년, 지닝시 사수현 천제묘유적지,

굽다리접시와 비슷한 형태의 그릇이다.

3. 도기 배모양그릇(陶舟刑器), 4. 도기 솥(陶鬲),  5. 도기 솥(陶鼎), 악석문화 기원전 4000~3500년, 지닝시 사수현 천제묘유적지,

도기 솥(陶鬲)은 세발달린 솥으로 역(鬲)이라 한다. 도기 솥(陶鼎)은 세발달린 솥으로 제사의 중심되 되는 정(鼎)에 해당한다.


6. 도기 큰단지(大陶罐), 악석문화 기원전 4000~3500년, 지닝시 사수현 천제묘유적지,

술같은 액체를 담았을 것으로 보이는 큰 단지로 관(罐)에 해당한다.

청동칼(铜刀), 청동송곳(동추铜锥), 청동팔찌(铜镯), 악석문화 기원전 4000~3500년, 지닝시 사수현 윤가성(尹家城)유적지

商夷争辉(Yueshi and Shang)
The Shang culture nevertheless milked much from aboriginal cultures. Legends have it that the shang royal lineage arose in Shandong Peninsula from the “black bird” line of the “Eastern Yi-barbarians”. Later the Shang kingdom frequently assaulted the “Eastern Yi-barbarians”, and due to these excessive campaigns “King Zhou lost his life after his conquest of the “Eastern Yi-barbarians”.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aboriginals, the eastward expansion of the Shang force froze at Qingzhou, and the territory to the east of this line remained in the hands of the “Eastern Yi-barbarians”, who created their own civilizations, epitomized by the Yueshi culture.

상왕조와 동이족의 충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商)문화는 산동지방 원주민 문화와 섞이게 된다. 신화에 따르면 상왕조의 혈통은 산동반도의 동이(東夷)족인 현조(玄鸟)씨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후에 상왕조는 동이족을 수시로 공격했으며 이러한 과도한 군사원정으로 왕이 정복과정에서 목숨을 잃기도 하였다. 상왕조의 확장과 동이족의 저항으로 오늘날 산동지방 칭저우시(靑州) 부근에 자연스럽게 국경선이 형성되었다. 국경선 동쪽지역에서는 동이족 문화인 악석문화(岳石之光,Yueshi Culture)가 유지될 수 있었다. <출처: 산동성박물관>

상나라 때 동이(東夷)에 해당하는 산동지방 토작세력 무덤유적.

1. 청동솥(铜鼎), 상나라, 칭저우(靑州)소부둔(苏埠屯) 유적,

원형의 두개의 귀와 세개의 발이 달린 전형적인 제기로 사용되는 솥(鼎)이다.

2. 청동솥(铜鼎), 3. 네발솥(夔足铜方鼎), 상나라,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유적,

기(夔, Kui, 전설상 동물)모양 다리가 네개달린 네모난 솥이다.

4. 네발달린솥, 상나라,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유적,

제기로 사용되는 전형적인 솥(鼎)이다.


5. 청동궤(铜簋),   6. 잔(亚醜觚),  7. 청동잔(铜觚), 상대,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유적,

궤(簋)는 음식을 담는 그릇으로 손잡이가 두개 붙은 그릇인데, 이그릇은 귀가 달려 있지 않다. 아추고는 아추(亚醜) 글자가 새겨진 잔이다. 트럼펫 모양을 한 기다란 형태의 제기인 고(觚)에 해당한다.

8. 청동술병(铜提梁卣),  9. 청동국자(铜斗), 11. 청동술잔(铜斝), 12. 청동술잔(铜爵), 상대,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유적,

청동술병은 술을 담아두는 그릇으로 손잡이가 있는 제기인 유(卣)에 해당한다. 청동술잔은 술을 데우는 비교적 큰 그릇으로 입 가장자리에 두 개의 삿갓 모양의 작은 기둥이 솟아 있고 측면에 하나의 손잡이가 있으며 다리가 셋인 가(斝)이다.

10. 청동술잔(铜爵),상대(BC1600~1046),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유적,

주구가 넓고 오른쪽에 손잡이가 붙고 다리가 셋 달린 술잔인 작(爵)이다.

13. 청동술병(铜罍), 상대,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유적,

단지모양의 고대 술병인 뢰(罍)에 해당한다.

14. 청동꺾창(铜戈), 15. 청동도끼(铜钺),  16. 청동창(铜矛), 상대,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유적,

칭저우 무덤유적(靑州苏埠屯墓地청주소부둔묘지)

칭저우 무덤유적(靑州苏埠屯墓地청주소부둔묘지) 유물분포도

1. 아추(亚醜) 글자가 새겨진 도끼(아추월亚醜钺),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1호묘,

험상궂은 상상속의 동물을 연상시키는 형태를 하고 있다. 국가의 권위와 위엄을 상징하는 부월(斧鉞) 중 큰도끼인 월(钺)에 해당하는 도끼이다.


2. 아추(亚醜) 글자가 새겨진 도끼(亚醜钺, 복제품)

3. 청자그룻(靑瓷豆), 상대,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유적,

1. 글자가 적힌 방형솥(举方鼎, 상대, 장청소둔(长靑小屯)출토,

2. , ‘融’자가 새겨진 궤(融簋, 상대, 장청소둔(长靑小屯)출토.

음식을 담는 그릇으로 손잡이가 두 개 붙은 궤(簋)에 해당한다.

3. 청동잔(铜觯), 상대, 장청소둔(长靑小屯)출토,

아랫부분은 컵 모양의 둥근 형태에 윗부분은 나팔같이 밖으로 향한  술을 담는 잔인 치(觯)에 해당한다.

4. 물결무늬 그릇(涡紋豆) 5. ‘京’자가 새겨진 세발솥(京鼎), 상대, 장청소둔(长靑小屯)출토,

물결무늬그릇은 굽다리접시에 해당하는 제기이다.

6. 청동솥(동정铜鼎), 상대, 탕저우시(滕州) 출토, 8. 청동솥(铜鼎), 상대

7. 청동솥(铜鼎), 상대, 9.’眉’자가 새겨진 솥(眉鬲, 상대,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유적, 11, ‘珙从’자가 새겨진 방형솥(珙从方鼎), 상대,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유적,

10. 청동솥(铜鼎), 상대,12. 청동술병(铜罍), 상대, 칭저우(靑州) 소부둔(苏埠屯) 유적,

13. 청동징(铜铙), 상대, 14. 청동방울(铜铃), 상대, 15. 청동방울(铜铃), 상대, 16. 청동징(동뇨铜铙), 상대,

국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소리를 내는 악기에 해당하는 도구들이다.

<출처>
1. 산동성박물관
2. 두산백과
3. 한국고고학사전, 국립문화재연구소
4.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