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보물)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봉업사지 절터에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고려초기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며 ‘봉업사’라 적힌 청동제 반자가 발견되어 봉업사지 오층석탑이라 부른다. 이 석탑은 단층 기단위에 5층 탑신이 올려져 있는 정형화된 고려시대 오층석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을 크게 만들어져 기단의 역할을 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나 탑신 몸돌에 특별한 장식이 없으며,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겨 놓고 있다. 1층 몸돌에는 불상 등을 안치하는 작은 감실이 있을 뿐이다.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나 조각수법 등은 통일신라 석탑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 정형화된 양식의 고려초기 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봉업사(奉業寺)는 고려시대 주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던 큰 사찰로 고려 태조의 진영을 모셨던 왕실과 관련된 사찰이다. 옛 절터에는 오층석탑과 당간지주가 남아 있으며, 옛절터 대부분은 농경지로 사용하고 있다. 절터 뒷편에는 이지역을 지키던 죽주산성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청주와 진천, 서쪽으로는 안성, 동쪽으로 충주, 북쪽으로 용인과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이다. 중부지방 교통로에 위치하면서 번성했던 다른 평지사찰과 마찬가지로 조선시대에 경제력이 없어지면서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보물)>

1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려놓은 고려초기 오층석탑이다. 조각수법이나 조형미는 통일신라 석탑에 비해 떨어지는 편이다.

<기단부>

기단을 1층으로 쌓고 그 위에 탑신을 올려 놓았다. 탑신 1층을 높게 만들어 기단 역할을 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안정감은 떨어지는 편이다. 탑신 1층 몸돌에 불상을 모신 것으로 보이는 작은 감실이 있다.

<탑신부>

탑신의 지붕돌은 얇은 편으로 추녀는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날렵하게 치켜들어 올리는 멋이 부족하다. 정형화된 고려초기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옆에서 본 모습>


<뒤에서 본 모습>

<당간지주 사이로 보이는 오층석탑>

<안성 봉업사지>

고려시대 큰 절이었던 봉업사 옛 절터는 지금은 대부분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다. 옛절터에는 오층석탑과 당간지주가 남아 있고, 이곳에 있던 석조여래입상은 인근 칠장사로 옮겨졌다.

안성 봉업사지오층석탑, 보물,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고려시대의 큰 사찰이었던 봉업사가 있었던 이곳은, 조선시대에 폐사되었으나 발굴결과 명문이 있는 유물이 대량으로 출토되어 그 연혁을 대략 알 수 있었다. 이곳에 있는 탑은 그 높이가 6m로 여러 장의 크고 넓적한 돌로 지대석을 만들고 그 위에 단층 기단을 두고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렸다. 이 탑의 기단을 이루는 석재에는 모서리 기둥이 잘 남아 있다. 1층 탑 몸돌의 남쪽 면에는 작은 감실을 만들었는데, 그 감실을 막기 위한 문을 달은 듯한 흔적이 보인다. 지붕돌은 얇으면서 각 층마다 5단의 지붕받침이 표현되어 있으며, 낙수면의 경사는 완만하여 편평한 느낌을 준다. 현재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다. 기단부가 둔중한 점, 1층 탑신이 다른 층에 비해 유난히 높은 점 등에서 고려시대 석탑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출처: 문화재청>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고궁박물관
5.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