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보제존자 석종(보물)이다. 고려말을 대표하는 승려로 신륵사를 크게 중창시킨 나옹선사의 사리를 봉안한 승탑이다. 통일신라 이래로 정형화된 목조 건물 형태 승탑과는 달리 인도의 승탑인 스투파와 비슷한 형태이다. 종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석종형부도’라 불리며 사각형으로 생긴 넓은 기단 위에 화강석으로 만든 승탑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 정면과 좌.우에 계단이 놓여 있다. 장식성이 강하고 화려한 고려시대 승탑양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식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조선시대 승탑양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나옹선사(1320∼1376년)는 고려말을 대표하는 승려로 무학대사의 스승이기도 하다. 나옹(懶翁)은 그의 호이며, 시호는 선각(禪閣)이며 공민왕으로부터 보제존자((普濟尊者)라는 호를 받았다. 중국 원나라 법원에서 인도의 승려 지공의 지도를 받았으며, 전국의 여러 사찰에서 머물면서 불법을 전했다고 한다. 회암사 주지를 지냈으며, 고려말에서 조선초 불교를 정립하는데 큰 역할을 했던 승려로 전국의 많은 사찰에 그의 흔적이 남아 있다. 그의 승탑은 양주 회암사를 비롯하여, 여주 신륵사, 원주 영전사에 세워졌으며, 여주 신륵사에는 그를 모신 조사당이 있다.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보물)>
고려말 승려로 신륵사에서 입적한 나옹선사의 사리를 봉안한 승탑이다. 목조건물 형태를 하고 있는 기존 승탑과는 달리 그릇을 엎어 놓은 복발형 승탑과 비슷하다. 종처럼 생겼다고 하여 석종이라 부른다.
<옆에서 본 모습>
승탑은 잘 다듬은 화강석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사리를 봉안한 복발형 승탑을 올려 놓고 있다. 북쪽을 제외한 기단 삼면에 계단을 설치하고 있다.
<그릇을 엎어 놓은 형태 승탑>
종처럼 생겼다고 해서 석종이라 부른다.
<신륵사 조사당 뒷편 언덕에 조성되어 있는 나옹선사 승탑>
사리를 모신 승탑인 보제존자석종(보물), 그 앞에 불을 밝히는 석등(보물), 나옹선사의 행적과 업적을 적은 석종비(보물)로 구성되어 있다.
<양주 회암사 나옹선탑>
나옹선사가 주지로 있으면서 오랫동안 머물렀던 양주 회암사에 남아 있는 나옹선사탑.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보제존자탑. 원주 영전사지에 있던 나옹선사의 승탑으로 전통적인 석탑 형태를 하고 있다.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 보물,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이 석종은 신륵사에서 세상을 떠난 고려 말기의 승려 나옹(1320~1376)의 사리를 모신 종 모양의 부도이다. 공민왕의 왕사였던 승려 나옹이 고려 우왕 2년(1376) 경기도 양주 회암사에서 경남 밀양 영원사로 가던 중 이 절에서 세상을 떠나자 그 제자들이 우왕 5년 절을 크게 다시 짓고 절 뒤의 좋은 자리를 택해 부도를 마련하였다. 부도의 기단 위에 돌을 깔고 기단의 앞면과 양쪽 면에 2단의 계단을 설치하였는데, 계단에 문양을 새겨 변화를 주고 있다. 그 위에 모셔진 이 석종의 모양은 완만한 타원형을 이루다가 어깨부분에서 평이 되었으며 맨꼭대기에는 보주를 조각하였다. 종모양의 부도는 통도사, 금산사, 용연사, 봉암사 등에서도 볼 수 있으나 이 부도는 특히 통도사와 금산사와 같이 일종의 계단탑 형식을 보여주는 것으로 조선시대에 많이 만들어진 종모양 부도의 선구적인 양식을 보여준다. 부도 뒷편에 있는 보제존자 석종비(보물 229호)의 내용에 의해 이 석종이 만들어진 시기를 고려 우왕 5년(1379)으로 추정하고 있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3년)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고궁박물관
5. 위키백과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