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공주 서혈사지 석불좌상(보물)

국립공주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공주시 웅진동 서혈사 절터에서 출토된 3구의 불상 중 하나로 머리와 몸통이 온전히 남아 있다. 조각수법은 약간 투박한 편이며 눈.코.입 등의 작게 표현되어 있다. 자세는 양발을 무릎위에 올리고 앉아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리고 손가락을 아래로 편 항마촉지인 자세를 하고 있다. 대좌에는 천인의 얼굴을 한 상상의 새 가릉빈가를 새겼다. 생동감있는 표현이 사라지고 도식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통일신라시대 불상이다.

서혈사(西穴寺)는 공주사 웅진동에 있던 사찰이다. 백제때 작은 사찰이었던 것이 통일신라시대에 크게 중창되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에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볼 때 조선시대까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절터에서는 3구의 불상이 출토되었는데 1구는 비로자나불상이고 2구는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여래불상이다.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심 대적광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공주 서혈사지 석불좌상(보물)>

<몸체 부분>

조각수법이 섬세하거나 세련되지 못하며, 생동감이 없는 편이다. 불상이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항마촉지인의 자세를 하고 있는 여래상을 표현하고 있다.

<불상 대좌>

불상이 놓여 있는 대좌는 상대.중대.하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대에는 연꽃이 활짝 핀 모양을, 하대에는 연꽃을 엎어놓은 모양을 새겨 넣고 있다. 대좌 아래 지대석에는 상상의 존재인 가릉빈가를 새겨 놓고 있다.


<여래좌상>

공주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다른 불상이다. 머리는 남아 있지 않고 항마촉지인 자세로 앉아 있다. 대좌 중 가운데 중대가 없어졌다.

<비로자나불좌상>

지권인(智拳印) 자세를 하고 있는 비로자나불상이다. 삼존불상 중 본존물로 모셔졌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의 머리와, 대좌 중 상대.중대가 없어졌다.

공주 서혈사지 석불좌상, 보물, 공주 서혈사지, 통일신라 9세기
공주시 웅진동 서혈사터에서 발견된 부처상이다. 왼손은 손바닥이 위로 향하도록하여 다리 위에 얹었고,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리고 손가락을 살짝 들어 올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취하고 있다. 대좌는 여덢 잎의 연꽃을 표현하였으며, 대좌를 받치는 지대석에는 극락의 천사인 천인과 인간의 얼굴을 한 상상의 새 가릉빈가(迦陵頻伽)를 새겼다. 전체적인 자세와 세부 조각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 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공주박물관>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