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 다양한 부조상이 새겨진 자유로운 형식의 석탑

전북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 백장암에 위치한 삼층석탑(국보)이다. 통일신라시대 석탑으로 일반적인 삼층석탑과 다른 독특한 형태와 구성을 하고 있다. 석탑을 받치는 기단부가 아주 낮고, 탑신 몸돌의 너비는 거의 일정하다. 2, 3층 몸돌의 높이도 비슷하다. 통일신라 삼층석탑이 보여주는 균형미는 크게 떨어지는 편이다. 반면에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구성한 것의 특징이다.

기단과 탑신의 지붕돌까지 탑 전체에 다양한 조각상을 새겨 놓고 있다. 탑신 1층에는 보살상과 신장상을, 2층에는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상을, 3층에는 앉아 있는 천인상을 새겨 놓고 있다. 지붕돌에는 연꽃무늬와 삼존상을 새겨 놓았다. 몸돌에 신장상 등을 새겨 놓은 석탑으로는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등이 있다. 이런 형태의 석탑은 사천왕상, 팔부중상을 새겨 놓는 것이 일반적인데 반해 이 석탑은 천인상을 새겨놓고 있다.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

낮은 기단 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장식을 올려 놓고 있다.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는 떨어지고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지만, 다양한 부조상 등으로 석탑으로 화려하고 자유롭게 장식하고 있다.

<탑신 1층(남쪽)>

낮근 기단석에는 난간모양을 장식하여 목조건물처럼 보이게 하고 있다. 1층 몸돌에는 신장상, 지붕돌에는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고 있다.

<1층 몸돌(동쪽)>

<1층 몸돌(북쪽)>

<1층 몸돌(서쪽)>

<2층 몸돌(남쪽)>

2층 몸돌에는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상이 새겨져 있다. 통일신라시대 악기와 연주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다. 지붕돌 아래에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고, 몸돌 아래부분에는 1층과 마찬가지로 난간모양이 새겨져 있다.

<2층 몸돌(북쪽)>

<2층 몸돌(서쪽)>

<3층 몸돌(남쪽)>

3층 몸돌에는 앉아 있는  천인상을 새겨져 있다. 천인상 위쪽 지붕돌 아래에는 삼존불상이 새겨져 있다. 몸돌 아래부분에 난간을 장식하여 마치 정자에 천인들이 앉아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있다. 일반적에 석탑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양식이다.

<3층 몸돌(북쪽)>

<3층 몸돌(서쪽)>

<상륜부>

화려한 보개장식이 온전히 남아 있다.

<앞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

<뒤에서 본 모습>

남원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왕 서쪽편 달궁계곡, 뱀사골 등 지리산의 여러 계곡들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이다. 통일신라 흥덕왕 때(828년)에 창건되었다고 하며, 지방호족의 지원을 받은 선종계열을 대표하는 구산선문 중 하나였다. 백장암은 실상사에 딸린 작은 암자로 실상사 서북쪽 수청산(772 m)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실상사가 조선초 세조때 화재로 소실된 이후 숙종대 중건될때까지 실상사 승려들은 이곳 백장암을 비롯하여 작은 암자에서 수행했다고 한다.

<지리산 실상사 부속 암자인 백장암>

비교적 큰 규모의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웅전을 비롯한 불전들은 최근에 새로 복원된 것으로 보인다.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국보, 전북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이 석탑은 통일신라 말기에 세운 것으로, 탑의 구조와 장식이 일반적인 양식에서 크게 벗어나 있다. 높이 5m인 이 석탑은 받침부가 매우 낮은 반면 1층 몸체는 폭에 비해 높다. 탑이 올라가면서 너비가 별로 줄지 않았다. 탑의 장식 역시 독특하여, 층마다 탑의 몸체에 보살, 선녀, 천왕 등 다양한 인물상을 화려하고도 자유분방하게 새겨 놓았다. 지붕 아래에는 일반 석탑과는 달리 연꽃을 정교하게 조각하였다. 일반적인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서 풍부한 예술성과 독창적 상상력을 담아 맏는 석탑이다. 마치 나무를 다루듯 돌을 섬세하게 조각한 모습이 시대를 뛰어 넘는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6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