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고성 금강산 건봉사, 조선시대 전국 4대 사찰이었던 곳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냉천리에 있는 건봉사(乾鳳寺)이다. 휴전선 부근 금강산 자락에 위치한 큰 사찰로 조선시대 전국 4대 사찰 중 였다. 신라 법흥왕 때 아도화상이 처음 창건했다고 하며, 고려말 불교에 큰 영향을 끼친 나옹선사가 크게 중수하고 건봉사라 개명하면서 전국적인 규모의 사찰로 발전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선비들이나 지도층 인사들 사이에 선망의 대상이 되었던 금강산 유람길에 위치하고 있고, 왕실과 관련되어 왕실 인사들이 많이 방문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세조는 이 곳을 친히 방문하여 왕실 안녕을 기원하는 원찰로 삼고 전답 등을 하사하였다.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건봉사에서 승병을 일으키고 많은 공을 세워서 조선후기에 그 규모를 크게 확장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건물의 규모가 3,183칸에 이르는 등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던 사찰이었으며, 간성군 관아에서 건봉사에 이르는 길에 육송정 홍교를 놓여 있는 등 그 위상이 상당히 높았던 사찰이다. 일제강점기까지 금강산, 설악산 일대를 관장하는 전국 31본산의 하나였지만, 한국 전쟁으로 전각 대부분이 소실되고, 휴전선 부근에 위치했던 까닭에 폐사지처럼 되었다가 최근에 대웅전 영역을 중심으로 복원되고 있다. 한국 전쟁 전 건봉사는 총642칸의 크고 작은 전각들과 보리암을 비롯하여 18개의 부속암자를 두고 있었다. 또한 사명대사가 일본으로부터 돌려받은 부처님의 치아사리를 봉안하고 있는 적멸보궁을 있는 곳이었다.

<고성 건봉사>

조선시대 전국 4대 사찰로 손꼽히며 금강산과 설악산에 산재한 사찰들을 말사로 거느렸던 큰 사찰이었으나 한국전쟁으로 전각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1990년대 이후 대웅전 영역을 중심으로 전각들이 새로 지어지면서 옛 모습을 찾아가고 있다.

<일제강점기 건봉사 모습을 촬영한 사진>

총 642칸에 이르는 많은 전각들이 있는 거대 사찰이었다.

들어가는 길

<건봉사 입구>

한국전쟁 때 소실되지 않은 유일한 건물인 불이문을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다.  불이문은 다른 사찰과는 달리 4개의 기둥에 지붕을 올려놓은 사주문(四柱門) 형태를 하고 있다. 건물을 받치는 기둥모양 주춧돌에 사찰을 수호하는 의미의 금강저를 새겨 사천왕이나 금강역사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불이문 옆에 세워져 있는 능파교신창기비>

건봉사 능파교 내력에 대해 적어놓은 비석이다.

<불이문 안쪽으로 보이는 건봉사>

옛 대웅전 영역만 복구되어 있지만 지금도 상당히 큰 규모의 사찰이다.

<능파교(보물)>

대웅전 앞 개천을 건너는 돌다리인 능파교(보물)이다. 능파교신창기비에 적혀 있는 기록에 의하면 숙종 30년인 1707년 경에 처음 지어졌다. 축성 내력이 기록으로 잘 남아 있고, 원래 다리를 구성하고 있던 석재 또한 많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 돌다리의 조형미를 잘 보여주고 있다.

대웅전 영역

<대웅전 영역 입구 문루>

신도들이 잠시 쉬거나 설법을 행하는 강당역할을 겸하는 건물로 앞면 7칸의 2층 건물이다.  옛 건봉사의 위상을 잘 보여주는 건물로  전국 사찰 중에서도 손꼽히는 큰 규모이다. 내부는 넓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다. 창문을 열면 주변 경치가 한눈에 들어오는 구조이다.

<문루 내부>

<주불전인 대웅전>

<명부전>

<대웅전 앞 요사채>

<맞은편 요사채>

극락전 영역

<극락전 영역>

대웅전 영역 맞은편 극락전과 부속 전각들이 있던 건물터. 대웅전 영역에 비해 전각들의 더 많았던 곳이다.

<극락전 영역 입구에 복원된 범종각>

<극락전 영역을 지나 옛 낙서암으로 들어가는 계단>

<낙서암 입구 연못>

<낙서암 건물터>

<건봉사 독성각>

주위에 옛 건물터들이 있다.

<옛 낙서암 건물터>

상당히 많은 전각들이 들어서 있었다. 건물터 안쪽에 산신각이 세워져 있다.

<적멸보궁>

낙서암을 지나면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일본에서 돌려받았던 부처님의 치아사리를 모신 적멸보궁이 있다.

<적멸보궁 내부>

<적멸보궁에서 보이는 건봉사 극락전 영역>

금강산 건봉사
건봉사는 전국 4대사찰의 하나로 만해 한용운 선생의 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지에 의하면, 신라 법흥왕 7년(서기 520년)에 아도화상이 원각사를 창건하였고, 그 후 도선국사가 중수한 뒤 서봉사라 하였으며, 고려 말엽 나옹화상이 중수하고 건봉사로 개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라 경덕왕 17년(578) 발징화상이 중건하고 정신, 양순 등과 염물만일회를 열었는데, 이것이 염불만일회의 효기가 되었으며, 현존하는 “등동탑비”는 서기 782년 염불만일회에 참가했던 31인이 아미타불의 가피를 입어 극락왕생 하였다고 전하고 그 부도를 모신것이다. 서기 1456년 세조임금이 건봉사를 원당으로 삼은 뒤, 어실각을 짓고, 전답과 친필 동참문을 하사하였다고 한다. 그 후 서기 1878년 4월 3일 큰 불로 인해 3,183칸이 전소되었으나, 여러차례 복원작업을 통하여 서기 1911년에 9개 말사를 거느린 31본산의 하나가 되었다. 건봉사는 임진왜란 때에 사명대사가 의승병을 기병한 호국도량이었으며, 당시 통도사에 있던 부처님 진신치아사리를 왜병이 일본으로 가져간 것을 사명대사가 사행하였다가 다시 찾아와 이곳에 봉안하였다. 또한 구한말인 서기 1906년 “봉명학원”을 설립하여 개화사상과 신문화를 받아들인 관동지방 교육의 도장이 되었으나, 그후 일제에 의해 강제폐교 되었다. 이 지역은 한국전쟁 중 휴전 직전까지 2년여에 걸쳐 아군 5,8,9사단 및 미군 제10군단과 공산군 5개 사단이 16차례의 치열한 공방전을 벌인 건봉산 전투 전적지이며, 이때 건봉사는 완전히 폐허가 되었으나, 서기 1994년부터 대웅전, 팔상전, 염불만일원, 종각, 사지 등이 각각 복원 되었고, 지금도 사찰복원이 계속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전쟁 전 건봉사는 총 642칸과 보리암 등 124칸의 18개 부속암이 있었다. <출처:건봉사>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고궁박물관
5.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