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동선문화, 국가의 성립과 농업의 발달
- 강릉 경포대(보물), 관동팔경 중 한곳으로 경포호수의 빼어난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곳
-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홍강 유역 청동기 문화
-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청동 북, 동선문화의 상징
- 강릉 활래정, 궁궐 후원을 연상시키는 선교장 별당
- 강릉 해운정(보물), 경포호수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
- 강릉 심상진가옥, 경포호수에 자리잡은 고택
- 강릉 선교장, 영동지방을 대표하는 99칸 대저택
- [강릉시립박물관] 야외전시실, 석조유물
- [강릉시립박물관] 향토민속관
- 강릉 경포해수욕장, 동해안 대표 해수욕장
- 강릉 오죽헌, 율곡 이이와 어머니 신사임당 유적지
- 청동 은입사포류수금문 정병(국보)
-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보물)
-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엄장구(보물)
- 감은사지 동탑 사리엄장구(보물)
- 여주 출토 동종 (보물)
- 천안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국보)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청동거울과 금속제 그릇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입사기법으로 만든 금속공예품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불교공예, 부처의 사리를 모신 사리구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불교공예, 공양구와 밀교법구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불교공예, 범음구인 범종과 쇠북
- 금령총금관 (보물)과 허리띠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우리나라의 금속공예
- 강릉 허난설헌 생가터
- 강릉 오죽헌(烏竹軒, 보물)
- 청자 음각연꽃넝쿨무늬매병(국보)
- 청자 음각 ‘상약국’명 운룡문 합(보물)
- 청자 참외모양병(국보)
-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보물)
- 청자 귀룡모양 주자(보물), 2015년
- 청자 사자모양뚜껑 향로(국보), 2015년
- 청자 어룡모양주자(국보), 2015년
- 청자 투각칠보무늬향로(국보), 2015년
- 청자 철화버드나무무늬 통모양 병(국보), 2015년
- 청자 철채퇴화인삼잎무늬 매병(보물), 2015년
- 백자 상감모란버들 갈대무늬 매병(보물), 2015년
-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국보)
- 청자 상감국화넝쿨무늬 대접(국보)
- 청자 상감국화모란무늬 참외모양 병(국보)
- 청자 상감모란넝쿨무늬 표주박모양 주자(국보), 2015년
- 청자 상감모란무늬 항아리(국보), 2015년
- 청자 음각모란무늬매병(보물), 2015년
- 분청사기 물고기무늬 매병(보물), 2015년
- 분청사기 구름 용무늬 항아리(국보), 2015년
- 분청사기 물고기무늬 편병(국보)
- 분청사기 모란무늬 자라병(국보), 2015년
- 백자 매화 새 대나무무늬 항아리(국보), 2015년
- 백자 철화끈무늬 병(白磁鐵畵繩文甁, 보물), 2015년
- 백자병(보물), 2015년
-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 (국보), 2015년
- 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보물)
- 백자 달항아리(보물), 2015년
-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국보), 2015년
- 매화 대나무무늬 항아리(국보), 2015년
- [중앙박물관 도자공예-백자실] 청화백자와 철화백자
- [중앙박물관 도자공예-백자실] 조선초기 백자, 순백자의 아름다움
- [중앙박물관 도자공예-분청사기실] 분청사기의 장식 기법
- [중앙박물관 도자공예-분청사기실] 분청사기, 한국적인 미(美)를 잘 보여주는 도자기
- [중앙박물관 도자공예-청자실] 고려청자의 독창성, 상감청자
- [중앙박물관 도자공예-청자실] 고려청자의 변화
- [중앙박물관 도자공예-청자실] 고려청자 전성기 걸작, 상형청자
- [중앙박물관 도자공예-청자실] 고려의 자기문화
- [중앙박물관 사랑방] 선비들의 공간인 사랑방과 조선시대 목가구
- 고성 켄싱턴리조트 설악비치
- 속초 영랑호, 신라 화랑들이 수련했다는 동해안 대표적인 석호
- 속초 학사평 순두부촌, 미시령 아래 첫번째 마을
- 속초 외옹치항과 해수욕장
- 속초해수욕장과 조도(鳥島)
- 속초 관광수산시장(옛 중앙시장)
- 속초항, 강원도 동해안의 대표적인 항구
- 속초 조양동 유적(사적), 청동기시대 집터와 고인돌
- 안성 청룡사 영산회괘불탱(보물)
- 속초 청초호(靑草湖), 동해안 대표적인 석호
- 속초 아바이식당, 청호동 아바이마을 입구 선술집 같은 곳
- 속초 아바이마을, 청초호 입구에 자리잡은 실향민마을
- 고성 청간정(淸澗亭), 관동팔경 중 제3경
- 속초 영금정(靈琴亭), 동명항 입구 바위산
- 속초 함흥냉면옥, 대표적인 함흥냉면 맛집
- 태백 오투리조트(O₂RESORT), 함백산 중턱에 자리잡은 리조트
- 삼척항(정라항), 오십천 하구에 자리잡고 있는 동해안 큰 항구
- 동해 추암 촛대바위와 추암해수욕장
- 동해 북평 해암정(北坪海岩亭)
- 태백 산촌마을(귀네미마을), 고랭지배추밭이 장관을 이루는 마을
- 태백 검룡소(명승), 한강의 발원지
- 정선 태백산(함백산) 정암사,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신 5대 적멸보궁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국보), 고려시대 모전석탑
- 백두대간 삼수령(해발935m), 삼강(한강, 낙동강, 오십천)의 발원지
- 백두대간 두문동재(싸리재, 해발 1268m), 태백시 관문이었던 고갯길
- 백두대간 만항재(해발 1,330m), 자동차도로가 지나가는 가장 높은 고개
- 백두대간 함백산(해발 1,572.9m), 자동차로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산.
- 태백 황지(黃池)연못, 낙동강 1300리 발원지
- 춘천명물닭갈비, 공지천 유원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맛집
- 춘천 어린이회관(현 KT&G 상상마당), 건축가 김수근이 어린이를 위해 설계한 문화공간
- 춘천 공지천유원지, 춘천MBC가 있는 언덕
- 춘천향교, 옛 춘천도호부 중등교육기관
- 춘천 소양강댐과 소양호, 우리나라 최대의 다목적댐
-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명승)
- 춘천 명동 닭갈비골목, 춘천을 대표하는 향토음식
- 춘천 오봉산 청평사, 경치좋은 계곡에 자리잡은 사찰
- 춘천 청평사 회전문(보물)
- 춘천 청평사 삼층석탑, 공주탑 설화가 남아 있는 고려 석탑
- 춘천 신매리유적(사적), 춘천지역의 대표적 선사유적지
- 서울 감리교 신학대학
- 성공회 서울성당,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주교좌성당
- 경운궁(덕수궁) 양이재, 구한말 황족 교육을 전담한 수학원 건물
- 서울 구대법원청사, 서울미술관 본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옛 대법원 청사
- 서울 배재학당 동관, 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옛 배재학당 건물
- 서울 정동극장, 원각사를 계승한 전통예술공연 무대
- 서울 정동교회(사적), 최초의 개신교회 건축
- 서울 구 신아일보별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민간기업 사옥
- 서울 정동 이화여고 심슨기념관(Simpson Memorial Hall)
- 서울 경향신문사옥(옛 MBC정동사옥)과 정동빌딩,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건축물
- 서울 구러시아공사관(사적), 정동길 언덕에 남아 있는 아관파천의 현장
- 서울 행촌동 딜쿠샤(Dilkusha), 서울성곽 바깥쪽 언덕에 위치한 서양식 주택
- 서울 홍파동 홍난파 가옥, 서울성곽 바깥쪽 언덕에 지어진 서양식 주택
- 안동 예안이씨 상리종택
- [산동성박물관 선사시대] 후기 신석기시대, 룽산문화(龙山文化)
- [산동성박물관 선사시대] 신석기시대, 다원커우문화(大汶口文化)
- [산동성박물관 선사시대] 초기 신석기, 허우리문화(后李文化)와 베이신문화(北辛文化)
- [산동성박물관, 선사시대] 구석기시대 산동지방
- 안동 예안이씨충효당(보물)
- [산동성박물관 도자기실] 명.청대 세련된 오채(五彩), 분채(粉彩),두채(斗彩) 자기
- [산동성박물관 도자기실] 청화(靑花), 명청대 중국 자기의 걸작
- 단양 온달관광지 드라마세트장
- [산동성박물관 도자기실] 자주요(磁周窑)에서 만든 자기베개(瓷枕)
- [산동성박물관 도자기실] 다양한 빛깔 유약으로 구워낸 자기들
- 단양 도담삼봉(명승), 단양팔경 중 첫번째
- 단양 온달산성(사적), 고구려 온달장군 전설이 남아 있는 산성
- [산동성박물관 도자기실] 산동지방의 도자기와 가마터
- [산동성박물관 도자기실] 경덕진요(景德鎭窯)를 비롯한 중국의 유명 가마들
- 단양 적성산성(사적), 한강유역을 장악하기 위해 신라가 쌓은 산성
- [산동성박물관 도자기실] 중국 자기(瓷器)의 역사
- 단양 신라적성비(국보), 진흥왕이 한강유역 장악을 기념하여 세운 비(碑)
- 강화 교동향교, 교동도호부 중등교육기관
- 안동 법흥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 안동 임청각(보물), 독립운동가 이상룡을 배출한 99칸 대저택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국보),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塼塔)
- 안동향교(安東鄕校), 안동도호부 중등교육기관
- 낙동감 임하댐, 반변천을 막아 조성한 다목적댐
-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명승)
- 안동 사빈서원(四濱書員), 청계 김진과 그의 다섯 아들을 모시는 천전마을 서원
- 안동 천전마을(川前理, 내앞마을), 영남 4대 길지로 손꼽히는 의성김씨 세거지
- 안동 치헌(恥軒), 지례마을에서 옮겨온 천전마을 고택
- 안동 제산종택(齊山宗宅), 조선후기에 지은 천전마을 고택
- 안동 백하구려(白下舊廬), 독립운동가 김대락의 천전마을 고택
- 안동 운곡서당(雲谷書堂),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천전마을 서당
- 안동 만송헌(萬松軒), 천전마을 고택
- 안동 귀봉종택(龜峯宗宅), 천전마을 두번째 종택
- 안동 천전마을 추파고택(楸坡古宅), 19세기 건축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는 한옥
- 안동 임하마을, 임하댐 아래 자리잡은 양반들의 세거지
- 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
- 안동 오류헌(安東 五柳軒), 임하댐 건설로 임동면 지례동에서 옮겨온 전통한옥
- 안동 학봉기념관, 학봉종택에서 소장한 김성일의 유품을 볼 수 있는 곳
- 안동 국탄댁(菊灘宅), 임하댐으로 수몰된 지례동 마을에 있던 조선후기 고택
- 안동 이우당 종택(二愚堂 宗宅), 임하댐 아래 임하마을 안동권씨 종택
- 안동 호계서원(虎溪書院), 퇴계 이황을 모시기 위해 처음 세워진 서원
- 안동 송제비(松堤碑), 임하댐 아래 반변천에 제방을 쌓은 내력이 적힌 비석
- 영주 순흥 벽화 고분(사적), 고구려 영향을 받은 삼국시대 고분.
- [산동성박물관 한대화상석(漢代画像石)] 충효를 강조한 고사(古事)를 그린 그림과 사당(祠堂)
- [산동성박물관 한대화상석(漢代画像石)] 동핑현(东平县) 고분 벽화, 고구려 벽화를 연상시키는 그림
- [산동성박물관 한대화상석(漢代画像石)] 화려한 건축, 화상석묘(畵像石墓)
- [산동성박물관 한대화상석(漢代画像石)] 전쟁을 비롯한 현실세계를 그린 그림
- 안동 모계정사(某溪精舍), 구한말에 지은 정자
- 안동 의성김씨 종택(보물), 영남 4대길지로 손꼽히는 천전마을 종택
- 안동 금계리마을, 학봉 김성일 후손들이 모여사는 의성김씨 집성촌
- [산동성박물관 한대화상석(漢代画像石)] 천상세계와 상스러운 동물을 그린 그림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 제비원 석불로도 불렸던 고려시대 거대 석불
- [산동성박물관 불교조각실] 석비(石碑)와 석당(石幢)
- 안동 겸와고택(謙窩古宅), 학봉고택과 이웃하고 있는 저택
- 안동 소계서당(邵溪書堂), 학봉 후손 김흥락이 후학을 양성하던 곳
- 안동 의성김씨 학봉종택(義城金氏 鶴峯宗宅), 조선중기 학자 김성일이 살았던 집
- 단양 구인사(救仁寺), 대한불교 천태종의 총본산
- [산동성박물관 불교조각실] 산동지방의 탑과 사리함
- [산동성박물관 불교조각실] 산동지방 불상의 변천(남북조시대~)
- [산동성박물관 불교조각실]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일광삼존불상
- 단양 수양개 선사유적(사적)
- [단양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 수양개 원삼국시대 유적
- [단양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 수양개 구석기유적 출토 유물
- [단양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 구석기시대 개관과 단양의 선사유적
- 단양 금굴, 구석기 유물이 발견된 선사 유적
-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보물)
- 단양향교(丹陽鄕校), 단양군
- 강릉향교(江陵鄕校), 강릉도호부
- [서울대 규장각(奎章閣)] 대한제국의 성립과 국권침탈
- [서울대 규장각(奎章閣)] 조선과 세계와의 만남
- [서울대 규장각(奎章閣)] 회화자료와 고지도
- [서울대 규장각(奎章閣)] 역대 국왕의 글과 글씨, 한글로 쓴 문서들
- 평창 오대산 월정사 적멸보궁과 사자암
- [서울대 규장각(奎章閣)] 조선왕조실록과 의궤(儀軌)
- [서울대 규장각(奎章閣)] 조선시대 규장각을 계승한 학술연구기관
- 평창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 평창 오대산 상원사, 가장 오래된 동종으로 잘 알려진 사찰
- 강화 정족산 사고(史庫)
- 전주사고(全州史庫), 임진왜란 중 유일하게 화(禍)를 면했던 실록을 보관했던 곳
- 강릉향교 대성전(보물)
- 평창 오대산 사고(史庫, 사적), 조선왕조 실록을 보관하던 곳
- [짜장면박물관 특별전] 청관(淸館), 그 기억을 거닐다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국보)
-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석조보살좌상(국보), 고려시대 대표 석탑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국보), 목조문수보살좌상(보물)
- 상원사 동종(국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종
- 인천 공화춘, 화교의 역사를 보여주는 짜장면박물관
- [고궁박물관 특별전, “헝가리왕실의 보물”] 전쟁의 영광, 17~19세기 헝가리 왕실과 귀족의 무기
- [고궁박물관 특별전, “헝가리왕실의 보물”] 영생의 소망, 헝가리 왕실과 귀족의 종교
- [수원화성] 화서문(華西門, 보물)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 보물)
- [고궁박물관 특별전, “헝가리 왕실의 보물”] 헝가리 귀족의 복식, 화려한 일상생활
- [고궁박물관 특별전, “헝가리왕실의 보물”] 종속과 투쟁, 합스부르크 왕가와 헝가리의 귀족사회
- [수원화성] 서이치~서북각루(西北角樓), 팔달산 북쪽 능선
- [중앙박물관 특별전] 금관총(金冠塚)과 이사지왕(尒斯智王)
- [수원화성] 서장대(西將臺, 華城將臺), 팔달산 정상 군사를 지휘하는 지휘소.
- [수원화성] 서삼치~서암문, 팔달산 정상부 능선을 따라 이어진 성벽
- [수원화성] 팔달문~서남각루, 팔달산 남쪽 능선으로 이어진 성벽
- [수원 화성 ]팔달문(八達門, 보물), 수원화성 남문
- 부여 관북리유적(사적), 백제 사비성 왕궁터
- [인천시립박물관 특별전] 오래된 이웃 화교
- 정림사지박물관, “부여의 옛 이야기”
- 구 부여박물관건축물, 건축가 김수근의 초기 작품 경향을 볼 수 있는 건축물
- 충청도 부여현(扶餘縣) 관아, 옛 부여박물관에 남아 있는 객사와 동헌
- 나가사키, 데지마네덜란드상관터(出島和蘭商館蹟, 국가지정사적)
- [중앙박물관테마전, 중국법첩] 법첩속의 중국 서예(당~청)
- [중앙박물관테마전, “중국법첩”] 법첩속의 중국 서예(~남북조시대)
- [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도교문화”] 함께 하는 도교 – 도교와 유교, 불교 그리고 동학
- [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도교문화”] 신선이 되는 법
- [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도교문화”] 장수와 복을 주는 팔선(八仙) 이야기
- [중앙박물관특별전, “한국의 도교문화”] 신선세계를 꿈꾸다.
-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충남지역 미륵신앙을 보여주는 고려시대 석불
- 부여 흥학당(興學堂), 풍양조씨 집안에서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지은 서당
-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보물), 정림사지오층석탑을 모방한 고려시대 석탑
- 부여 정림사지박물관, 백제 불교에 대해 잘 설명해 놓은 박물관
- 부여 정림사지(定林寺址, 사적), 백제 사비도성(泗沘都城)의 중심 사찰
- 부여 정림사지석조여래좌상(보물), 백제 절터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불상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후대 석탑의 전형이 된 백제 석탑
- [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도교문화”] 도교의 신들
- 부여 대조사 석탑,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하고 있는 석탑
- 부여 임천 대조사, 가림성(성흥산성) 아래 백제 사찰
- [중앙박물관 불교회화실] 불교회화, 불교 교리를 표현한 그림
- [중앙박물관 회화실] 궁중기록화와 장식화, 일반인들이 그렸던 민화
- [중앙박물관 회화실] 사군자화, 꽃그림, 화조동물화
- [중앙박물관 회화실]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 우리 산천을 그린 그림
- [중앙박물관 회화실] 산수화(山水畵), 자연을 그린 그림
- [중앙박물관 회화실] 초상화와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
- [중앙박물관 회화실] 풍속화, 일상생활 모습을 그린 그림.
- [중앙박물관 서예실] 성덕대왕 신종에 새겨진 글씨와 집자비석
- 서울 단군성전(檀君聖殿), 단군 영정을 모신 대표적인 사당
- [중앙박물관 서예실] 서예(書藝), 문자로 표현하는 예술
- 부안 개암사 괘불(보물)
- 연천 숭의전(崇義殿, 사적), 태조 왕건을 비롯한 고려 왕과 공신들을 모신 곳 – 2010년
- 서울 국사당, 남산 목멱대왕을 모시는 민속신앙 사당
- 서울 와룡묘, 삼국지 영웅 제갈량과 관우를 모신 민속사당
- 서울 동관왕묘(보물), 삼국지 영웅 관공(關公, 관우)을 모신 사당
- 서울 선잠단지(사적), 왕비가 잠신에 제사를 올리던 곳
- 서울 선농단(사적), 신농씨와 후직씨에 제사를 올리고 왕이 직접 농사를 짓던 곳
- 서울 사직단(社稷壇, 사적), 토지의 신(社)과 곡식의 신(稷)에 제사를 올리는 제단
- 서울 경교장(사적), 해방직후 임시정부청사이자 백범 김구의 마지막 거처
- 서울 환구단(사적), 대한제국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곳
- 이천 설봉서원, 고려초 문신 서희를 모신 서원
- [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국의 도교문화”] 행복으로 가는 길
- 강화 충렬사, 병자호란 때 순절한 인물들을 모신 곳
- 경기도 통진도호부, 통진이청과 비석군
- [종묘] 영녕전(보물), 정전에서 옮겨온 신주를 모신 별묘
- [고궁박물관특별전,”종묘(宗廟)”] 종묘제례악, 신을 위한 음악.노래.춤
- [고궁박물관특별전,”종묘”] 제기고, 제기의 보관처
- [고궁박물관특별전,”종묘”] 신실, 역대국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공간
- [종묘] 정전(국보),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곳
- [고궁박물관특별전,”종묘”] 제향을 위한 준비 공간
- [종묘(宗廟)] 전사청(典祀廳)과 수복방(守僕房), 제향을 위한 준비 공간
- [종묘] 재궁, 국왕과 세자가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
- [종묘] 공민당 신당, 공민왕과 노국공주 영정이 모셔진 사당
- [종묘] 선대 국왕을 돌아보던 망묘루와 관리들이 머물던 향대청
- [고궁박물관특별전,”종묘”] 제향공간과 건축
- 안성 덕봉서원, 오두인을 모신 서원
- 용인 충현서원, 정몽주 등을 모신 한국민속촌 서원
- 광명 충현서원지(忠賢書院址), 오리 이원익을 모셨던 서원 옛터
- 용인 심곡서원(사적), 정암 조광조를 모신 서원
- 광주 현절사, 병자호란때 순절한 삼학사를 모신 사당
- 용인 충렬서원, 고려말 충신 정몽주를 모신 서원
- 김포 우저서원, 의병장이자 유학자인 조헌을 모신 서원
- 양평 벽계강당, 구한말 유학자 이항로가 후학을 양성하던 곳
- 고양 행주서원지, 권율을 모신 기공사가 있었던 옛터
- 파주 자운서원, 율곡 이이와 제자들을 모신 서원
- 파주 용주서원, 조선중기 문신 백인걸을 모신 서원
- 파주 파산서원, 성수침과 성수종 형제를 모신 서원
- 포천 용연서원, 한음 이덕형을 모신 서원
- 포천 화산서원, 백사 이항복을 모신 서원
- 의정부 노강서원, 숙종대 문신 박태보를 모신 서원
- 서울 도봉서원, 정암 조광조와 우암 송시열을 모신 서원
- 안성 양성향교, 양성현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 안성향교, 안성군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 안성 죽산향교, 죽산도호부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 하남 광주향교, 광주부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 고양향교, 고양군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 파주 교하향교, 교하군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 파주향교, 파주목에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 파주 적성향교, 적성현에서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 양주향교, 양주목에서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 포천향교, 포천현에서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 인천 인천향교, 인천도호부에 설치되었던 중등교육기관
- 강화향교, 강화부에 설치되었던 중등교육기관
- 김포 통진향교, 조선시대 통진도호부에 설치되었던 중등교육기관
- 김포향교, 옛 김포현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 서울 양천향교, 양천현 관아에서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 성균관 강학공간인 명륜당과 동.서재, 비천당
- 성균관 전사청과 수복청, 제사를 준비하는 공간
- [한국민속촌] 중부지방 양반가, 수원화성에 있었던 99칸 대저택
- 여주 명성황후 생가, 민유중 묘막으로 세워진 고택
- 안성 오정방 고택, 해주오씨 세거지 양성 덕봉리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 강화 철종 외가, 구한말 사대부 저택
- 남양주 여유당(與猶堂), 팔당호에 자리잡은 다산 정약용이 살았던 집
- 양평 이항로 생가, 벽계구곡 경치좋은 곳에 자리잡은 저택
- 광명 오리 이원익 종택, 충현서원터에 남아 있는 고택
- 의정부 서계 박세당 고택 사랑채
- 서울 부암동 석파정(石坡亭) 별당, 구한말 중국의 영향을 받아 벽돌로 지은 별당건물
- 서울 부암동 석파정(石坡亭), 흥선대원군이 인왕산 계곡에 세웠던 별장
- 서울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 서울 옥인동 윤씨가옥, 구한말 친일파 윤덕영 일가가 살았던 가옥
- 서울 삼각동 도편수이승업가옥, 궁궐건축에 참여했던 당대 최고의 목수가 지은 집
- 서울 관훈동 민씨가옥, 구한말 민영휘 일가의 대저택
- 서울 경운동 민병옥 가옥, 1930년대 건축가 박길용이 설계한 개량 한옥
- 서울 삼청동 오위장 김춘영가옥, 구한말 도시화된 환경에 잘 적응한 한옥
- 서울 계동 민재무관댁, 북촌여행의 출발이 되는 북촌문화센터
- 서울 안국동 감고당, 인현왕후의 친정으로 북촌을 대표하는 가옥
- 서울 성북동 심우장, 만해 한용운이 만년에 살았던 성밖마을 소박한 한옥
- 서울 성북동 이종석별장, 도성밖 언덕에 지었던 별장건물
- 서울 성북동 이태준가옥, 도성밖 계곡 별장같은 한옥
- 서울 성북동 최순우 옛집, 일제강점기 서울의 도시형 한옥
- 서울 장교동 한규설가옥, 구한말 상류층이 살았던 대저택
- 서울 비우당, 실학자 이수광이 살았던 집터
- [수원화성박물관] 장용영(壯勇營), 정조의 직할부대
- [수원화성박물관] 정조의 화성행차
- [수원화성박물관] 화성의 축성과 도시의 건설
- [수원화성박물관] 수원화성을 건설한 사람들
- 경기도 안성군 관아, 고려 주심포양식이 남아 있는 안성객사
- 수원 화령전(사적), 정조대왕 어진을 모신 영전
- 수원부 관아, 낙남헌과 득중정
- 수원부, 부속관청과 장용외영
- 수원부 관아, 내아인 유여택과 복내당
- 경기도 양천현 관아, 관아터와 겸재 정선의 그림속 양천현아
- 경기도 교동도호부 관아, 교동읍성과 삼도수군통어영
- 경기도 용인현 관아, 한국민속촌에 복원되어 있는 관아 건물
- 경기도 고양군 관아, 객사인 벽제관(사적) 옛터
- 경기도 인천도호부 관아, 동헌과 객사
- 경기도 부평도호부 관아, 초등학교에 남아 있는 내아
- 경기도 안산군 관아, 안산객사와 읍성
- 경기도 과천현 관아, 객사인 온온사와 건물터
- 광주부 관아, 남한산성내 설치된 행궁과 관청들
- 육조거리, 조선시대 의정부와 육조가 있었던 광화문대로
- 성균관 정록청, 관원들이 근무하던 공간
- 내의원, 국왕과 가족들의 건강을 보살피던 궁궐내 의료기관
- 홍문관과 예문관, 국왕의 정책을 자문하고 보필하는 기관
- 규장각, 정조대 문예부흥을 이끌었던 학술연구기관
-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보물), 왕실 종친을 관리하던 관청
- 삼군부 총무당과 청헌당, 조선시대 최고 군사기구였던 삼군부 청사
- 북한산성 행궁지(사적), 국왕의 임시 거처인 양주행궁 터
- 수원부 관아, 화성행궁(사적) 봉수당과 장락당
- 광주 남한산성 행궁(사적), 광주부 관아에 설치된 국왕의 임시 거처
- [중앙박물관 조선실5] 대한제국과 근대
- [중앙박물관 조선실4] 탕평과 문화의 진흥
- [중앙박물관 조선실3] 새로운 질서의 모색
- 강화 용흥궁, 철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았던 잠저
- [중앙박물관 조선실2] 사림의 성장과 대외관계
- 운현궁 양관(사적), 일제가 흥선대원군 일가에 지어준 서양식 저택
- [중앙박물관 조선실1] 조선의 건국과 제도 정비
- 운현궁 노락당과 이로당, 가족들의 생활공간인 안채
- [중앙박물관 고려실3] 원의 간섭과 새로운 모색
- [중앙박물관 고려실2] 고려의 정신문화
- 운현궁 노안당, 흥선대원군이 거처했던 구한말 정치의 중심지
- [중앙박물관 고려실2] 고려의 대외관계, 무신정권
- [중앙박물관 고려실1] 후삼국의 통일과 문벌귀족시대
- 경기도 양주목 관아, 동헌인 매학당과 관아터
- [중앙박물관 발해실] 발해인의 생활, 건축, 불교문화
- [중앙박물관 통일신라실] 통일신라의 대외교류
- [중앙박물관 통일신라실] 왕경인의 생활, 불교문화
- 경복궁 외조 – 광화문과 궁궐담장, 망루인 동십자각과 출입문들
- 경복궁 외조, 흥례문과 근정문(보물) 영역
- 경복궁 외조 – 궐내각사와 수정전(보물)
- 경복궁 치조, 정전인 근정전과 조정
- [중앙박물관 신라실] 신라의 불교, 각지로 퍼져가는 신라문물
- [중앙박물관 신라실] 문자로 보는 신라, 신라문화의 지방확산
- 경복궁 편전, 국왕의 집무공간인 사정전 일원
- [중앙박물관 신라실] 신라의 토기
- [중앙박물관 신라실] 신라와 실크로드, 무기와 말갖춤
- 경복궁 침전(寢殿) 강녕전과 교태전, 국왕과 왕비의 생활공간
- 경복궁 경회루(국보)와 연못, 국왕이 개최하는 연회가 열렸던 공간
- 경복궁, 흠경각과 함원전
- 경복궁 동궁 영역, 세자가 거처했던 자선당과 비현각
- 경복궁 아미산굴뚝(보물)과 자경전 십장생굴뚝(보물)
- 경복궁 자경전(보물), 대비의 침전
- 경복궁 함화당과 집경당, 후궁들이 거처하는 영역
- 경복궁 후원, 향원정과 열상진원 샘
- 경복궁 건청궁, 후원에 세운 이궁
- 경복궁 집옥재 일원, 고종이 서재로 지은 건물
- 경복궁 태원전 일원, 태조의 어진을 모신 전각
- 경희궁 태령전과 서암바위
- 경희궁 치조, 편전인 자정전
- [중앙박물관 신라실] 신라의 금관과 장신구
- [중앙박물관 가야실] 가야의 장신구, 대외교류
- [중앙박물관 가야실] 가야의 철생산과 철제무기
- [중앙박물관 가야실] 가야의 토기와 상형토기
- [중앙박물관 백제실] 백제의 문화와 지방세력
- 경희궁 치조, 정전인 숭정전과 조정
- [중앙박물관 백제실] 백제문화의 중흥기 웅진기와 사비기
- 경희궁 외조, 흥화문과 금천교
- [중앙박물관 백제실] 한성백제기와 대외교류
-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보물),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불상
- [중앙박물관 고구려실] 고구려인의 일상생활, 무기, 불교
- [중앙박물관 고구려실] 고구려의 무덤과 강서대묘 사신도
- [중앙박물관 부여.삼한실] 삼한의 대표적 유적지
- [중앙박물관 부여.삼한실] 삼한 사람들의 생활과 대외교류
- [중앙박물관 부여,삼한실] 낙랑의 대표 무덤인 석암리 9호
- [중앙박물관 부여.삼한실] 부여와 삼한의 철기문화
- [중앙박물관 청동기,고조선실] 철기시대 고조선과 진(辰)
- [중앙박물관 청동기,고조선실] 청동기시대 고조선과 성읍국가
- [중앙박물관 청동기.고조선실] 청동기시대 사람들의 생활
- [중앙박물관 신석기실] 빗살무늬토기로 대표되는 신석기시대 토기
- [중앙박물관 신석기실] 신석기인들의 생활
- [중앙박물관 구석기실] 한반도 구석기시대 유물
- 덕수궁 중명전, 을사늑약이 체결된 비운의 장소
- 덕수궁 정관헌, 고종이 다과를 즐기던 정자 기능을 하던 건물
- 덕수궁 석조전과 서양식 정원
- 덕수궁 침전, 국왕 거처 함녕전(보물)
- 덕수궁 편전(便殿), 국왕의 업무공간인 석어당, 즉조당과 준명당, 덕홍전
- 강화 부근리 지석묘(사적), 동아시아 고인돌을 대표하는 유적지
- 강화역사박물관, 강화의 민속
- 강화역사박물관, 개항기의 강화
- 강화역사박물관, 조선시대의 강화
- 강화역사박물관, 강화 바닷길과 고려시대 강화
- 강화역사박물관, 공예미술품
- 덕수궁 치조, 정전인 중화전(보물)과 조정
- 강화역사박물관, 강화도의 고인돌
- 강화역사박물관, 선사시대
- 덕수궁 외조, 대한문에서 중화문까지
- 서울 애니메이션센터 ‘만화의 집’
- 창경궁 후원, 춘당지와 관덕정
- 창경궁 영춘헌과 집복헌, 후궁들의 거처
- 창경궁 환경전, 경춘전, 통명전(보물)과 양화당
- 창경궁 치조, 편전인 문정전과 숭문당, 함인정
- 창경궁 치조, 정전인 명정전(국보)와 조정
- 고궁박물관, 조선왕실의 과학문화
- 고궁박물관, 조선왕실의 천문학
- 고궁박물관, 대한제국 황실 가족
- 고궁박물관, 조선을 이어 대한제국으로
- 고궁박물관, 왕실의 의례 중 가례, 빈례와 군례
- 창경궁 외조, 홍화문(보물)과 명정문(보물)
- 고궁박물관, 왕실의 의례 중 길례, 흉례
- 창덕궁 후원 연경당(보물), 효명세자가 아버지 순조를 위해 사대부 저택처럼 지은 공간
- 고궁박물관, 궁중 여성들의 생활
- 창덕궁 후원, 옥류천일원
- 고궁박물관, 궁중 복식과 장신구
- 창덕궁 후원, 존덕정과 폄우사
- 고궁박물관, 왕실 가구와 궁중음식(수라상)
- 창덕궁 후원, 애련지와 의두합
- [고궁박물관] 궁궐의 장식
- 창덕궁 후원, 부용지와 주합루 그리고 영화당
- [고궁박물관] 조선의 궁궐
- 창덕궁 선원전(보물) 일원, 역대국왕의 어진을 모신 전각
- [고궁박물관] 왕실문방구
- 창덕궁 낙선재(보물) 일원, 조선왕실 가족들이 마지막으로 거처했던 궁궐 전각
- [고궁박물관] 국왕의 교육과 국왕이 짓고 쓴 글
- 창덕궁 동궁, 세자 서연이 열렸던 성정각과 관물헌
- [고궁박물관] 조선왕실의 기록문화
- 창덕궁 침전, 국왕의 생활공간 대조전(보물) 일원
- [고궁박물관] 조선의 국왕 상징물
- 창덕궁 편전, 국왕의 업무공간 선정전과 희정당
- 창덕궁 정전, 인정전(국보)과 조정
- 창덕궁 궐내각사, 국왕을 보필하던 직속 관청들
- 반가사유상, 명상에 잠긴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을 표현한 불상
- 비오-클레멘스박물관(Museo Pio-Clentinio) 中 ‘팔각형의 안뜰’, ‘뮤즈의 방’, ‘원형의 방’
- [일본 도쿄] 아사쿠사 센소지, 에도시대 풍경이 남아 있는 곳
- [중국 베이징] 천안문과 외금수교
- [이집트 기자(Giza)] 대스핑크스(Great Sphinx)
- [독일 프랑크푸르트] 뢰머광장, 도시의 중심
- [프랑스 아를] 랑글루아 다리, 고흐 작품 배경이 되었던 개폐식 다리
- [이탈리아 제노바(Genova)] 지중해 해상무역을 장악했던 대형 갤리선
- [스페인 톨레도] 타호강을 건너는 알칸타라 다리
- 서울 장충동 평양면옥, 서울을 대표하는 평양식 냉면
- 서울 여의도공원, 도심공원으로 탈바꿈한 광장
- 서울 광화문 광장, 수도 서울 중심축인 도심 광장
- 서울 선유도공원, 옛 정수장에서 생태공원으로 탈바꿈한 도심공원
- 고성 화진포 호수와 해수욕장, 남한 최대의 석호
- 안동 하회마을, 유네스코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풍산류씨 세거지
- 경주 성덕대왕신종(국보), 에밀레종이라 불렸던 최고의 범종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국보), 백제의 미소라 불리는 불상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국보), 조선초를 대표하는 승탑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가장 오래된 신라 석탑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
- 경주 황룡사지(사적), 9층목탑이 우뚝 솟아 있던 신라 최대 사찰
- 경주 토함산 불국사(사적),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사찰
- 경주 오릉 (사적),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와 초기 박씨 왕들의 능
- 서울 아차산성(사적), 한강유역 패권을 다투던 삼국시대 산성
- 성균관 탕평비, 영조가 붕당정치의 폐해를 해소하고자 세웠던 비석
- 충주고구려비(국보), 국내에 남아 있는 유일한 고구려비
- 강화 삼거리고인돌군, 유네스코문화유산
- 강화 온수리 성공회 성당, 한옥양식이 절충된 교회건축
- 경주 첨성대(국보), 삼국시대 별을 관측하던 천문대
- 안동 양진당(보물), 겸암 류운룡이 살았던 하회마을 종택
- 성균관 문묘(보물), 대성전을 중심으로 한 제향공간
- 강화부 관아, 동헌과 강화행궁
- 창덕궁 외조, 돈화문에서 인정문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