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산동성박물관 도자기실] 명.청대 세련된 오채(五彩), 분채(粉彩),두채(斗彩) 자기

오채(五彩)는 유약을 발라 구워낸 백자 표면에 적색, 녹색, 황색 등의 그림물감으로 문양을 그리고 다시 가마에 넣어 낮은 온도로 구워낸 것이다. 송나라때 처음 만들어졌으며, 원말~명초에 경덕진요에서 굽기 시작하였으며, 명나라 중기에 대량 생산하여 해외로 수출하였다. 청나라때에는 금채, 분채, 양채 등 다양한 수법이 개발되었다.


오채화훼문항아리(五彩花卉紋罐, 청 강희)

오채아이인형(五彩娃, 청 옹정)

홍채운룡고족개완(紅彩云龙高足盖碗, 청 건륭,왼쪽), 오채시녀영희문항아리(五彩侍女婴戏盖罐, 청 강희,오른쪽)

오채연지원앙반(五彩莲池鸳鸯盘, 명 홍치, 왼쪽 앞), 오채 “钟馗捉鬼(종규가 귀신을 잡다)”고사가 그려진 접시(五彩”钟馗捉鬼”图盘, 명 만력, 오른쪽), 청화홍채해수운룡문반(靑花紅彩海水云龙紋盘, 청, 왼쪽뒤)

청화오채운룡반(靑花五彩云龙紋盘, 청 옹정), 서유기 고사를 그린 오채대반(五彩西游记故事大盘, 청 강희)

분채(粉彩)는 도자기 장식기법 중 하나로 오채(五彩)와 마찬가지로 백자 위에 채색하여 다시 굽는 방식으로 법랑채라고도 한다. 칠보에 사용하는 산화석을 섞은 재료를 사용하며 색의 수가 많고 세밀한 그림이나 농담(濃淡)의 표현이 쉽기때문에 화조(火鳥)나 인물을 표현하기 쉽다. 청나라 강희제때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분채개광화조대병(粉彩开光花鸟大瓶, 청 광서)

분채박고육방병(粉彩博古六方瓶, 청 동치,왼쪽), 홍채단룡고(紅彩团龙觚, 청 광서,오른쪽)

분채매작반(粉彩梅雀盆, 청 동치, 왼쪽), 분채화훼반(粉彩花卉盘, 청 도광,오른쪽),

분채백록존(粉彩百鹿尊, 청 도광),

분채운복병(粉彩云蝠瓶, 청 광서,왼쪽), 황유녹자운용천구병(黃釉綠紫云龙天球瓶, 청 광서, 오른쪽)

분채개광화조병(粉彩开光花鸟瓶, 민국, 왼쪽), 분채화훼옥호춘병(粉彩花卉玉壶春瓶, 청 선통, 오른쪽)

동청유분채화도반(冬靑釉粉彩花鸟盘, 청 건륭, 왼쪽), 남유황운룡반(蓝釉黃云龙盘, 청 건륭, 오른쪽)

분채화훼분(粉彩花卉盆, 청 건륭,왼쪽), 분채개광시구다탁(粉彩开光诗句茶托, 청 가경, 오른쪽)

분채화훼소병(粉彩花卉小瓶, 청 옹정, 왼쪽), 분채인물병(粉彩人物瓶, 청 옹정, 오른쪽),

분채화훼반(粉彩花喙盘, 청 건륭, 왼쪽), 두채인물반(斗彩人物盘, 청 가경, 오른쪽)

1. 분채”만수무강”개완(粉彩”万寿无疆”盖碗, 청 광서), 2. 분채화조개완(粉彩花鸟盖碗, 청 광서), 3. 분채인물영롱개완(粉彩人物玲珑盖碗, 청 건륭),

4. 분채화훼완(粉彩花卉碗, 청 도광), 5. 분채전지화훼완(粉彩缠枝花卉碗, 청 도광), 6. 분채인물완(粉彩人物碗, 청 도광),

분채화훼반(粉彩花卉盘, 청 가경,왼쪽), 분채화훼반(粉彩花卉盘, 청 옹정, 가운데), 분채화훼완(粉彩花卉碗, 청 도광, 오른쪽)

청화오채용봉완(靑花五彩龙凤碗, 청 옹정, 왼쪽), 청화오채용봉완(靑花五彩龙凤碗, 청 광서, 오른쪽),

황유록용국판반(黃釉綠龙菊瓣, 청 건륭, 왼쪽), 황유록용국판반(黃釉綠龙菊瓣, 청 선통, 오른쪽),

분채화훼평반(粉彩花卉拼盘, 청 가경),

분채복성(粉彩福星, 민국), 분채녹성(粉彩錄星, 민국), 분채수성(粉彩寿星, 민국),

도교의 삼성(三星)을 표현하고 있다. 복성은 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을, 녹성은 관리의 복장을, 수성은 노인의 모습을 하고 있다.

분채팔보운룡대반(粉彩八宝云龙大盘, 청 광서),

분채룡봉대반(粉彩龙凤大盘, 청 광서),

청화분채화조편병(靑花粉彩花鸟扁瓶, , 청),

분채삼공호리병(粉彩三孔葫芦瓶, 청 건륭, 왼쪽), 분채운룡개두(粉彩云龙盖豆, 청 광서, 오른쪽)

분채개광인물병(粉彩开光人物瓶, 청 광서, 왼쪽), 분채인물누조병(粉彩人物镂雕瓶, 민국, 오른쪽)

두채(斗彩, or 豆彩)는 오채에서 유래된 기법으로 초록색 빛을 띠는 자기이다. 고온에서 구운 청화백자에 다시 색을 칠하고 저온을 구워낸다. 명대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청 강희제때 크게 융성하였다.

두채화조문장방형화분(豆彩花鸟紋长方形花盆, 청 강희)

두채원앙부연완(斗彩鸳鸯卧莲碗, 청 도광, 왼쪽), 두채송록문완(斗彩松鹿紋碗, 청 도광, 가운데), 두채단화조제완(斗彩团花鸟蹄碗, 청 도광, 오른쪽),

두채전지화훼문반(斗彩緾枝紋盘, 청 도광, 왼쪽), 두채운룡문완(斗彩云龙紋碗, 청 강희, 오른쪽)

두채운룡문항아리(斗彩云龙紋盖罐, 청 강희)


두채죽절이대병(斗彩彩节耳大瓶, 청 건륭)

<출처>
1. 중국 산동성박물관
2. 실크로드 사전, 정수일 편저, 창비
3. 미술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4.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