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녕전(보물)은 덕수궁의 침전으로 고종황제가 마지막으로 거처하고 사용하던 건물이다. 경복궁이 왕비의 영역인 내전을 별도로 두고 있는데 비해서 왕비의 침실을 같이 두고 있는 창덕궁 대조전과 비슷한 형태이다. 이는 덕수궁이 대한제국의 궁궐로 정해진 후 증축하는 과정에서 지어졌는데 당시는 중전인 명성황후가 시해된 이후로 왕비의 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함녕전은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덕수궁을 정궁으로 삼았던 1897년에 처음 세웠으며, 1904년 대화재로 소실된것을 복원하였다. 당시 화재는 이곳 함녕전에서 처음 발생하여 대한제국 정궁으로 세운 전각 대부분을 태워버렸다. 대한제국 선포 이후 고종은 긴급한 상황을 대비하여 영국과 러시아대사관을 비롯하여 외국대사관들이 밀집한 이곳 덕수궁에 머무르기를 선호했던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이 곳 함녕전에서 승하하였다고 한다.
<덕수궁 덕홍전과 함녕전>
덕수궁 정전인 중화전 동쪽편에는 덕홍전과 함녕전이 나란히 있다. 지금은 같은 마당을 쓰고 있지만 덕홍전은 국왕이 손님을 접견하는 편전이고 함녕전은 국왕이 거처하는 침전이다. 두 건물을 둘러싸고 있는 행각들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없어졌는데 최근에 건물 앞에 있던 행각들을 복원하여 옛 모습을 찾고 있다.
<덕수궁 침전>
<함녕전(보물)>
덕수궁에서 국왕의 침전으로 지어진 함녕전이다. 앞면 9칸으로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 양쪽에 3칸씩 온돌방을 두고 있다. 가운데 대청마루를 두고 양쪽에 온돌방을 배치하였는데 창덕궁 대조전을 참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좌.우행각과 복도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대청마루>
<대청마루 내부>
<상들리제 전등>
1900년대에 지어진 건물로 상들리제 전등을 설치해 놓고 있다. 뒤편에는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오얏꽃 문양으로 장식하고 있다.
<추녀마루 잡상>
<뒤에서 본 모습>
대청마루는 앞.뒤로 개방되어 있으며, 함녕전 뒷편으로는 상궁.나인들이 머물던 공간인 행각들과 마당이 있다. 왕비의 침실로 보이는 동쪽편 온돌방 뒷편으로는 작은 누마루를 두고 있으며, 대청마루 뒷편 툇마루와 누마루에서 상궁.나인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복도마루>
함녕전과 행각은 복도마루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창덕궁을 비롯하여 조선후기 궁궐건물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함녕전과 덕홍전 앞 마당>
함녕전은 침전이고 덕홍전은 편전으로 사용된 건물이다. 두 건물은 행각으로 분리된 독립된 영역이지만, 지금은 같은 마당처럼 보인다.
<함녕전을 둘러싸고 있는 행각>
국왕와 왕비를 보좌하는 상궁.나인들과 국왕을 경호하던 내시 등이 머물렀던 공간으로 크고 작은 방과 창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각건물들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훼손된 것을 최근에 복원하였다.
<함녕전 동쪽 행각>
<함녕전과 덕홍전 앞 행각과 출입문>
<중화전 월대에서 내려다 본 함녕전과 덕홍전>
덕수궁 함녕전(보물)
함녕전은 고종황제의 침전으로 사용되던 건물로 고종이 승하한 건물이기도 하다. 정면 9칸, 측면 4칸인데 서쪽 뒤편에 4칸이 더 붙어 ‘ㄱ’자형으로 되었다. 월대처럼 구성한 높은 계단이 독특하다.내부는 큰 마루를 사이에 두고 동쪽 방을 고종황제의 침실로 꾸미고, 서쪽 방을 황후의 침실로 꾸몄다. 그 둘레의 공간은 왕의 신변 보호 및 의식주를 담당했던 상궁들의 거처로 사용하였다. <출처:문화재청>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