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달산 정상에 자리잡은 수원화성 지휘소인 서장대에서 서문에 해당하는 화서문 부근 서북각루(西北角樓)까지는 거리(약400m)가 짧으면서 경사가 있는 편이다. 다른 지역에 비해서 포루와 치의 간격이 약간 좁은 편이다. 서장대 아래 경사진 능선에 치성과 포루가 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성벽 바깥에는 수원역과 경기도청 등 주요 행정기관에 많이 몰려 있다.
경사진 능선을 따라서 내려오던 성벽길이 평지로 바뀌는 곳에는 화서문 일대 군사들을 지휘할 수 있는 장대(將臺) 기능을 갖는 서북각루가 설치되어 있다. 이곳은 맞은편 숙지산과 함께 서남쪽으로 연결되는 길을 감시하고 방어할 수 있는 곳이다. 서북각루를 보호하기 위해 부근에 치성이 설치되어 있다.
<수원화성 서북방향>
서장대가 있는 팔달산 정상부에서 내려다 본 수원화성 서북방향이다. 서해안 안산지역으로 길이 연결된다. 경사진 능선을 따라서 성벽을 쌓았다.
<화서문 방향으로 내려가는 성벽길>
<아래에서 본 모습>
<치성으로 연결되는 성벽>
능선 중간쯤 경사가 완만해지는 곳에 치성(雉城)을 설치해 방어상 취약점을 보완하고 있다.
<서이치(西二雉)>
<치성 내부>
서이치(西二雉)
‘치’란 일정한 거리마다 성곽에서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만든 시설이다. 성벽 가까이에 접근하는 적군을 쉽게 공격하고 성벽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화성에는 10개의 치가 있다. 치(雉)는 꿩을 의미하는데 꿩이 자기 몸은 잘 숨기고 밖을 엿보기를 잘하기 때문에 그 모양을 본떠서 ‘치성’이라고 이름 붙인 것이다. 서이치는 서포루와 서장대 사이에 있다. <출처:수원시청>
<포루(砲樓)>
서이치에서 조금 내려오면 화포를 설치할 수 있는 포루(砲樓)가 설치되어 있다. 이곳 포루는 팔달산 서북쪽에서 화성으로 들어가기 용이한 지점에 설치되어 있다. 지금도 포루 아래에는 팔달산을 오르는 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포루는 치성과는 달리 구운벽돌로 치성을 쌓고 그 위에 누각을 올려 놓고 있다. 치성 내부는 공심돈처럼 비어 있으며, 무장한 병사들이 주위를 엄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포루 누각>
<포루 내부>
마루를 깔아 놓았으며, 지금은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통로가 없다.
<아래에서 본 모습>
서포루(西砲樓)
서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砲樓) 중에서 서북각루와 서장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1796년(정조20) 5월30일 완공되었다. 포루는 적이 성벽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화포(火砲)를 쏠 수 있도록 만들었으며 성벽의 일부를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만든 치성의 발전된 형태이다. <출처:수원시청>
<성벽>
팔달산 능선을 따라 연결된 성벽은 서포루 부근에서 경사가 완만해지며, 화성내부로 들어가기 용이하다. 팔달산 정상으로 연결되는 도로가 이곳을 지나간다.
<서포루 아래 경사가 완만한 언덕으로 이어진 성벽>
모서리에 방어시설로 치성을 설치했다.
<치성과 서북각루(안쪽)>
<서일치(西一雉)>
성벽 가까이에 접근하는 적군을 공격하기 위해 성벽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만든 시설이다. 서북각루와 서포루 사이에 있다.
<서포루에서 서북각루로 이어지는 성벽(안쪽)>
<서북각루>
화서문 바깥쪽 넓은 들판을 감시하면서 화서문 일대 군사를 지휘하기 용이한 곳에 설치되어 있다. 성벽이 방향을 바꾸는 모서리에 누각을 세워 놓았다.
<누각>
누각은 앞면 2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이다. 이전 건물들과는 달리 벽돌을 사용하고 있다.
<아래에서 본 모습>
성벽이 방향을 바꾸는 모서리 지점을 치성처럼 바깥으로 돌출시켰다.
<화서문 쪽에서 본 모습>
각루는 성곽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세워져 주변을 감시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설이다. 비상시 각 방면의 군사지휘소 역할도 하였다. 서북각루는 화성의 4개 각루 중 하나로 숙지산이 마주 보이는 자리에서 화서문 일대의 군사를 지휘하기 위해 만들었다. <출처:수원시청>
<서북각루에서 화서문으로 이어지는 성벽>
<아래에서 본 모습(바깥쪽)>
<안쪽에서 본 모습>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