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상원사 동종(국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종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상원사에 있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종인 동종(銅鐘, 국보)이다. 통일신라 성덕왕 24년(725)에 만들어진 것으로 성덕대왕신종과 함께 한국종의 완성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높이 167cm 규모이며, 용뉴, 음통, 유곽 등 한국종의 전형적인 특징을 잘 갖추고 있다. 이 종은 원래 어떤 사찰에 있었던 것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조선 예종대에 안동도호부 문루에 걸려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당시에도 예술적인 완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았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세조의 원찰인 상원사로 옮긴것으로 보인다.

<상원사 경내 종각에 걸려 있는 상원사 동종>

얼마전까지 작은 종각에 보관되어 있었으나, 최근에 종각을 크게 지었다.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문화재보호를 위해 유리를 막아두고 있으며, 그 옆에 복제품을 두어 자세히 볼 수 있게 하고 있다.

종의 맨 위에는 용의 형상을 하고 있는 용뉴가 종을 걸어두고 있으며 음통에는 연꽃과 덩쿨무늬로 장식하고 있다. 종의 아래위를 장식하고 있는 상.하대에는 덩쿨을 새긴다은 여러곳에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상(奏樂像)을 새겨 놓고 있다. 유곽에는 연꽃모양의 유두를 두고 있으며, 그 아래에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飛天像)을 새겼다. 비천상은 공후와 생황을 연주하고 있는데,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되었던 악기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자료가 되기도 한다. 범종에 새겨진 조각상들은 상당히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서역의 영향을 받은 통일신라시대 불교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상원사 동종(국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종인 상원사 동종은 용뉴, 음통, 유두 등으로 구성된 한국종의 특징을 잘 갖추고 있다.

<용뉴와 음통>

종을 매달고 있는 고리인 용뉴는 큰 머리와 힘이 넘치는 발이 특징인 용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음통은 연꽃과 덩쿨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용뉴에는 조성연대(신라 성덕왕24)가 음각되어 있다고 한다.

<복제품의 용뉴와 음통>

<유곽>

상대(上帶) 아래에는 연곳모양의 유두가 9개씩있는 유곽(乳廓)을 4곳 두고 있다. 넝쿨무늬와 함께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상을 볼 수 있다.

<비천상>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을 생동감있게 사실적으로 조각해 놓았다. 생황과 공후를 연주하고 있는데, 통일신라시대 악기의 형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슬과 연꽃무늬로 장식하고 있는 당좌(撞座)>

<종 아래를 장식하고 있는 넝쿨무늬를 하고 있는 띠>

곳곳에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새겨놓고 있다.


<2008년 상원사 동종>

상원사 동종(上院寺銅鐘), 국보,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현존하는 한국종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이 종은 신라 성덕왕 24년(725년)에 조성되어 조선 예종 원년(1469)에 상원사(上院寺)에 옮겨진 것으로 한국종의 독특한 특색을 모두 갖추고 있는 대표적인 범종(梵鐘)이다. 음통(音筒)이 있는 종뉴(鐘紐) 아래에 안으로 오므라든 종신(鐘身)이 연결된 형태인데, 이상적인 비례와 안정감 있는 구조, 풍부한 양감(量感)과 함께 세부적인 묘사수법도 매우 사실적이다. 종신이 있는 상대(上帶).하대(下帶), 4유곽(乳廓)의 문양은 모두 당초문(唐草紋)을 바탕으로 2~4인의 작은 비천상(飛天像)이 있는 반원권문(半圓圈紋)이 새겨졌고, 종복(鐘腹)에 비천상과 교대로 있는 당좌(撞座)는 8판 연화문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비천상은 경쾌하기 이를데 없는 모습으로 구름 위에서 천의(天衣) 자락을 흩날리며 공후(箜篌)와 생(笙)을 연주하고 있는데, 볼록한 두 뺨, 유연한 신체에 걸친 천의 등은 8세기 전반의 이상적 사실풍(寫實風)의 불교조각 양식을 잘 반영해 주고 있다. 이러한 상원사 종에 보이는 음통, 안으로 오므라든 종신형, 상대.하대, 4유곽 등의 구조적인 특징은 한국종의 전형(典型)이 되어, 양식적인 변천과정을 거치면서 이후의 모든 종에 계승된다. <출처: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