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충청, 전라지역에는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한 고려시대 석탑들이 남아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석탑이다. 전체적으로 탑신의 몸돌이 높고 지붕돌이 지나치게 넓어 안정감이 없어 보인다. 옛 백제의 향수를 자극하고자 지역 호족세력이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석탑으로 정림사지 석탑에 비해서 조형미나 조각수법이 많이 떨어진다. 기단은 넓은 판석을 3층으로 쌓아 만들었으며, 그 위에 삼층으로 탑신을 쌓아 올렸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여러개의 석재로 구성하였고, 몸돌에는 기둥을 새겨 놓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에서 상아불상, 목제탑, 다라니경 조각 등이 발견되었으며, 2층에서는 사리를 두는 공간이 발견되었다.
<장하리 삼층석탑(보물)>
<오른쪽에서 본 모습>
<여러 방향에서 본 모습>
넓은 판석을 3층으로 쌓아 기단으로 하고 그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았다. 석재를 이용하여 목탑처럼 쌓은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하였으나 그 조각수법이나 조형미가 떨어진다.
<기단부>
기단부는 넓고 얇은 자연석을 삼층으로 쌓았는데, 통일신라 삼층석탑에 비해 안정감이 떨어진다. 1층몸돌은 네 기둥을 세우고 안쪽에 판석을 끼워넣었는데, 이는 목탑형식을 그대로 적용한 정림사지오층석탑양식을 모방한 것이다.
<탑신부>
2,3층 탑신의 몸돌은 하나의 돌에 기둥모양을 새겨서 감실처럼 보이게 하고 있다. 통일신라 석탑과는 달리 여러장의 크기가 다른 얇은 판석을 쌓아 지붕처럼 보이게 하고 있다.
부여 동남쪽 백마강(금강)에서 멀지 않은 장하리에 있는 절터이다. 고려시대 한산사(寒山寺)라는 사찰이 있다고 한다. 금강을 건너는 나루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교통요지에 세워진 전형적인 고려시대 평지사찰이다. 이곳에는 고려시대 지역 호족이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삼층석탑이 남아 있다.
<절터>
<절터 주변>
한산사 절터에는 석탑외에 유물들은 거의 남아 있지 않고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다.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보물,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이 석탑은 백제의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의 양식을 본 딴 높이 4.85m, 지대석 너비 3.2m의 고려 초기 작품이다. 기단은 3단의 장판석재로 지대석을 깔았고, 초층탑신은 엔타시스형 방주(方柱)를 4개의 별석으로 세우고 그 사이에 장판석(長板石)을 세웠다. 옥개석(屋蓋石)은 탑신에 비하여 광할하다. 3층 탑신은 1,2층과 달리 통석으로 이루어졌으며, 탑신 북쪽면에 불상을 모시는 방을 의미하는 깊이 4.5cm의 장장형 감형(龕形)을 새겼다. 상륜부에는 방형의 노반(露盤)이 하나 놓여 있다. 1931년과 1962년 초층 및 3층 탑신에서 사리구(舍利具), 상아불상, 목제소탑 등 고려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5년)
<출처>
- 문화재청
- 두산백과
- 위키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