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북촌(北村)에 해당하는 삼청동에 있었던 오위장 김춘영가옥이다. 이 집은 사랑채, 안채, 문간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규모는 크지 않으면서도 생활하기에 편리하도록 잘 꾸며진 한양의 양반 가옥이다. 이 집은 안채로 들어가는 문간채와, 사랑채로 들어가는 작은 협문을 두고 있다. 지방의 한옥과는 달리 도시에 자리잡고 있어서 2개의 대문이 나란히 있는 것이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 ‘ㄱ’자형으로 꺽인 모습을 하고 있다. 사랑채는 중간에 대청마루를 두고, 양쪽에 한칸씩 작은 방을 두고 있으며, 대청마루 앞에는 작은 마당을 두어 안채와는 분리된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가족들의 생활공간인 안채는 ‘ㄱ’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문간채와 함께 하나의 공간을 이루고 있다. 조선후기 인구가 집중되면서 도시화된 환경에 잘 적응한 서울한옥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삼청동에 오랜 기간 동안 자리를 지키고 있었던 전통 가옥으로 남산골 한옥마을이 조성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왔다고 한다.
<삼청동 오위장 김춘영 가옥>
남산동 한옥마을로 옮겨진 삼청동 오위장 김춘영가옥. 구한말에 지어진 한옥으로 전통 한옥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하면서 도시화가 진전된 구한말 한양의 주택가 환경이 반영된 주택이다. 전통한옥의 경우 대문채를 두지 않는 경우 사랑채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비해, 사람의 통행이 많은 도시의 생활여건을 반영하여 사랑채 앞에 담장을 쌓고 작은 협문을 두고 있다. 안채를 들어가는 대문이 있는 문간채가 사랑채와 연결되어 있다.
<골목길 담장>
안채도 골목길 풍경과 어울리도록 돌과 벽돌로 바깥 담장을 쌓고 창문을 높게 달아 놓고 있다. 서울의 도시 한옥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사랑채 앞 작은 마당>
협문을 들어서면 사랑채 앞 작은 마당이 있는데 통로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사랑채>
사랑채는 건물규모가 크지 않으며, 문간채와 연결되어 있다. 대문 옆 문간방이 사랑방 역할을 겸하고 있다. 전통 한옥에서는 보기 힘든 구조로 주택이 밀집한 도시환경에 적응한 구조이다.
<사랑채 내부>
중간에 대청마루를,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바깥쪽 온돌방은 손님을 접견하는 방으로, 안쪽 온돌방은 바깥주인이 일상적으로 거주하는 공간이다.
<사랑채 대청마루>
<사랑방>
바깥 주인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공간인 사랑방. 아담한 크기의 온돌방으로 이곳에 책을 보면서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기 좋은 공간이다.
<대문 옆 작은 문간방>
<안마당>
이 집은 전체적으로 ‘ㄱ’자형 안채와 문간채를 연결하여 ‘ㄷ’자형으로 건물배치를 하고 있다. 안채 앞면 2칸규모의 넓은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안방과 건넌방이 있다. 문간채와 붙은 날개채에는 부엌과 광을 두고 있다.
<가족들의 생활공간인 안채>
앞면 4칸 규모로 가운데 넓은 대청마루를,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대청마루>
대청마루는 앞면 2칸으로 면적이 상당히 넓은 편에 속한다. 대청마루 주위에 안방과 건넌방을 포함해서 가족들이 머물던 방들이 모여 있다. 대청마루는 집안행사를 하거나 집안일을 하는 공간으로 뒤주 외에는 가구를 배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주인이 거처하는 안방>
가구들이 실제 살았던 모습을 반영하여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
<안채 건너방>
<날개채>
안채과 문간채 사이의 건물은 부엌과 광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엌 내부>
<찬마루>
기존 한옥의 부엌과는 달리 부엌에 필요한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찬마루를 두고 있다. 구한말 이후 도시형 한옥에서 볼 수 있는 구조이다.
<마당 한쪽편 장독대>
삼청동 오위장 김춘영가옥
이 집은 1890년대에 지은 것으로 조선시대 말 오위장을 지낸 김춘영이 살았던 곳이다. 이 집은 원래 종로구 삼청동 125-1번지에 있었으며, 김춘영의 손자인 김흥기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었다. 그러나 1998년 남산골한옥마을이 조성되면서 이곳으로 옮겨졌다. 집의 전체 공간은 안채 영역과 사랑채 영역으로 나뉘며, 각 영역은 독립된 문을 가지고 있다. 안채 영역은 ㄱ자모양의 안채와 그에 직각으로 붙어 있는 -자형의 문간채가 안마당을 둘러싸고 있다. 남쪽의 사랑채는 -자 모양의 건물로 문간채에 연결되어 있고 작지만 독립된 사랑마당을 가지고 있다. 안채의 서쪽 외벽은 골목과 직접 만나기 때문에 벽의 상부에만 높은 창을 내고, 아래쪽은 돌과 벽돌로 담벼락을 만들었다. 이와 같은 담벼락은 서울 한옥에서 즐겨 사용하던 수법이다. 안채의 서쪽 벽이 골목에 직접 면하는 점, 대문간이 바로 트이지 않고 꺾어 들어가게 한 점, 대지의 모양에 맞추어 ㄱ자와 -자모양을 교묘하게 조합한 점 등은 점점 밀도가 높아지는 도시적 상황에 잘 적응한 서울 한옥의 모습을 보여준다. <출처:서울시청>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