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분청사기 물고기무늬 매병(보물)”이다. 조선전기인 15세기에 만들어진 분청시기 매병을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청자 매병을 계승하고 있다. 아가리가 도톰하여 전성기 청자와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으며, 상감기법을 사용하고 있어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옮겨가는 과도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구슬무늬, 변형된 구름, 연꽃무늬 등 분청사기에서 볼 수 있는 문양들이 표현되어 있는데, 청자에 비해서 복잡하고 전체적인 조화는 부족한 편이다. 고려시대 유행했던 매병(梅甁)은 분청사기에서는 볼 수 있으나 백자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고 한다.
<분청사기 물고기무늬 매병(보물)>
고려시대 유행했던 청자 매병의 형태를 계승하는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몸통을 장식하고 있은 두마리 물고기를 표현한 쌍어문(雙魚文).
앞에서 본 모습
많은 문양으로 장식하고 있기는 하지만 전제적으로 조화를 잘 이루고 있는 편은 아니다.
오른쪽편 모습
왼쪽편
분청사기 물고기무늬 매병, 보물,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중앙박물관)
고려 말 조선 초에 만들어진 매병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기형은 고려 말 상감 청자에 보다 가깝지만 무늬를 표현하는데 인화 기법의 비중이 높아졌고 탁했던 유약이 향상되어 비교적 밝은 회청색으로 바뀐 점이 두드러진다. <출처:중앙박물관>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중앙박물관
4. 문화재청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