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향원정 연못 뒷편으로는 고종이 서재로 지은 집옥재(集玉齋), 협길당(協吉堂), 팔우정(八隅亭)이 있다. 이 건물들은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 전통적인 궁궐 건물 배치에 따라서 지은 건물은 아니고, 20여년이 지난 1888년에 지은 건물이다. 구한말에 중국풍으로 창덕궁의 국왕 침전인 희정당을 지을 때 같이 지은 것으로 보인다. 원래 창덕궁에 있었던 건물을 건청궁을 지을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이 건물들은 서고가 있던 창덕궁 주합루와는 달리 서고의 기능보다는일상업무를 보거나 손님을 접견하는 편전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고종이 경복궁 건청궁에서 거처할 때 주로 사용하던 공간이다.
<경복궁 집옥재 일원>
집옥재는 고종의 서재 용도로 지은 벽돌건물로 가장 중국풍에 가까운 건물로 넓은 마루가 있는 건물로 외국사신을 접대하던 장소였다. 팔우정은 팔각형 지붕을 가진 정자로 전통적인 한국의 정자는 창호를 두지 않으며, 정자 마루에 앉아서 바깥 경치를 감상하면서 연회를 하는 것이 보통이나, 팔우정은 외벽에 유리창문을 두고 있으며, 내부는 서재와 같다는 느낌이다. 협길당은 집옥재와 팔우정과는 달리 전통적인 궁궐건물으로 지었으며, 추녀마루에 잡상을 올려 놓았다. 건물은 온돌방과 대청마루로 이루어졌다.
<집옥재>
가운데 위치한 건물인 집옥재이다. 이 건물은 앞면5칸의이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벽돌로 쌓은 구한말의 대표적인 중국풍의 건물이다. 국왕이 일상적으로 사용했던 건물로 격식있게 월대 위에 건물을 올려 놓고 있다.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지붕은 중국처럼 유리기와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기와를 올려 놓고 있으며, 용모양 치미로 장식하고 있다. 추녀마루에 잡상을 올려놓고 있지는 않다.
<삼도의 형식을 갖추고 있는 돌계단>
가운데 소맷돌을 두고 있으며, 난간에는 석수를 올려두고 있다. 집옥재는 국왕이 사신을 접견하는 등 공식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편전 성격의 건물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집옥재 현판>
중국풍 건물답게 세로쓰기를 하고 있다.
<분합문>
<창호와 기둥>
중국풍 건물이지만 한옥에서 사용하는 분합문을 사용하고 있다. 문을 위쪽에 걸어두고 있어 바람이 잘통하고 시원한 느낌을 준다. 단청도 한국적인 모습을 많이하고 있어, 중국과 한국의 건축양식이 혼합된 퓨전적인 건물이다.
<대청마루>
집옥재 내부에는 넓은 마루로 되어 있다. 보통 중국 건물에서는 바닥에 전(塼)을 깔아놓는 것이 일반적인데, 한옥의 양식이 반영되어 마루를 깔아 놓았다. 이 곳에서 외국 사신을 접견한 것으로 보인다.
<집옥재 마당>
행각이 있었던 건물터가 보인다.
<뒤에서 본 모습>
<팔우정>
집옥재 서쪽편에 있는 팔각형의 정자인 팔우정. 일반적으로 연회를 베푸는 용도의 정자가 아니라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서재할 할 수 있다. 집옥재와는 통로가 연결되어 있다. 건물 사방을 유리창으로 둘러싸고 있다. 내부는 아주 밝고 아늑한 느낌일 것 같다.
<집옥재와 팔우정을 연결하는 복도>
<협길당>
집옥재 동쪽편에는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협길당이 있다. 앞면 5칸의 건물로 대청마루와 온돌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통적인 조선의 궁궐 건물 형태를 하고 있다. 창문과 출입문의 문살에 장식적인 요소는 거의 배제한 것으로 보이면, 한지를 사용하고 있다. 온돌방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추운 겨울에 많이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집옥재와 달리 월대를 두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볼 때 공식인 공간으로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추녀마루 잡상>
<집옥재와 협길당을 연결하는 복도>
<뒤에서 본 모습>
집옥재(集玉齋) 일원
1876년 경복궁에 큰 불이 나자 고종은 창덕궁으로 옮겼다가 1888년에 다시 경복궁으로 돌아와 주로 건청궁에 기거했다. 이미 창덕궁에 지어졌던 집옥재, 협길당(協吉堂) 등을 1891년에 건청궁 서편으로 옮겨 와 자신의 서재와 외국 사신 접견소로 사용했다. 집옥재는 양 옆벽을 벽돌로 쌓고 내부를 중 2층으로 만들었으며, 팔우정은 팔각형의 2층 정자이다. 이 건물들은 중국풍의 요소들이 많이 섞여 궐내에서 이국적인 지역을 형성하며, 복도를 통해 하나의 내부로 연결된다. <출처:문화재청>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