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이천 설봉서원, 고려초 문신 서희를 모신 서원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 설봉공원에 있는 설봉서원(雪峯書院)이다. 이 곳은 고려초 거란의 1차침입때 거란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운 문신이었던 서희(徐熙)를 비롯하여 이관의, 김안국, 최숙정을 모시고 있다. 이천 지역이 배출한 업적이 빼어난 인물들을 모신 곳으로 김유신장군과 최치원을 모신 경주 서악서원과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비교적 이른 시기인 명종대(1564년)에 이천부사 정현이 지역유림의 건의에 따라 세웠다. 선조대(1592)에 설봉산 아래로 이전하며 설봉서원으로 이름 지였으며, 김안국을 추가로 배향하면서 삼현사(三賢祠)라 칭하였다. 건물은 사당, 강당, 동.서재로 구성된 전형적인 서원의 건물배치를 하고 있다. 건물의 배치로 볼 때 제향기능보다는 지역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기능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중앙정치에 영향력이 있는 학파를 형성했던 서원이 아니었기때문에 국왕으로부터 사액을 받지 못했으며, 구한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2007년 복원되었다.

<이천 설봉서원>

설봉서원은 우리나라 서원 중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인 명종대(1564년)에 세워졌다. 이천지역을 대표하는 인물인 고려초 문신 서희를 모시기 위해 지역유림의 건으로 이천부사 정현이 세웠다.  이후 이관의, 김안국을 모시면서 삼현사(三賢祠)라 불리기도 했다.

<서원 입구 홍살문>

<서원을 중건하면서 최근에 세운 사적비>

<외삼문>

솟을삼문을 하고 있다. 앙현문(仰賢門)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강학공간의 중심이 되는 강당인 명교당(明敎堂)>

최근에 중건하였지만 앞면 5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비교적 큰 건물이다. 지역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세운 교육기관으로서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강학공간>

강학공간은 마당을 비교적 넓게 쓰고 있으며,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를 좌우에 배치하고 있다.

<유생들이 기거하면서 공부하던 기숙사인 서재>

서희(徐熙)는 고려초 문신으로 993년(성종12) 거란의 1차 침입때 적장 소손녕과 담판을 벌려 화의를 이끌고 청천강 이북 여진족을 축출하여 국경을 압록강으로 확장하였다. 서희는 후대에 아주 높은 평가를 받는 인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외교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다. 서희는 본관이 이천으로 이 지역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김안국은 김굉필의 문인으로 조광조 등과 함께 사림파를 이끌었던 인물로 기묘사화때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파들이 죽임을 당할때 파직되어 이천에서 후학을 가르쳤다고 한다. 설봉서원에 모셔진 인물들이 유학자, 문신으로서 이천지역을 대표하고 있었기때문에 지역유림들이 서원을 설립하였으며, 훼철된 서원을 최근에 복원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서희를 비롯하여 4인의 위패를 모신 제향공간>

사당인 상현사(尙賢祠)를 비롯하여 전사청이 배치되어 있다.

<설봉서원이 있는 설봉산 아래 설봉공원>

이천의 대표적인 도심공원이다.

 이천 설봉서원(雪峯書院),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
유학의 진흥과 장학을 목적으로 창건된 설봉서원은, 소수서원.남계서원.서악서원에 이어 조선조 명종19년(1564) 이천부사였던 정현이 유림의 공의에 따라 지금의 이천시 안흥지 주변에 세운 서원이다. 선조때 임진왜란 전 설봉산 아래로 옮기면서 설봉서원으로 명명되었다. 이 서원에는 원래 복천 서희선생을 모시다가 이어 율정 이관의 선생, 모재 김안국 선생을 배향하여 삼현사로 불리우다가 철종8년(1857) 소요재 최숙정 선생을 함께 배향하여 사현이 봉안되었으며 유림들이 매년 춘추로 제향을 올리고 학문을 강론하면서 젊은 선비들을 가르치던 사학교육기관이었다. 고종8년(1871)에 300여년 동안 향사해온 서원이 안타깝게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그러나 1990년경부터 서원복원에 대한 논의가 진전되어 2004년 6월 사단법인 설봉서원의 등기를 설정하고 건축공정을 추진하였다. 2005년 12월 현 위치에 기공을 하고 2006년 12월에 완공되어 2007년 4월13일에 준공식을 가지므로서 철폐된 지 136년여 만에 이전 복원이 완료되었다. <출처:이천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