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청자 상감모란넝쿨무늬 표주박모양 주자(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12~13세기 고려시대 문화재인 “청자 상감모란넝쿨무늬 표주박모양 주자(국보)”이다. 표주박 모양을 하고 있은 주전자로 물을 따르는 부리와 손잡이를 갖추고 있다. 세련된 유선형에 완벽한 비례를 갖춘 뛰어난 조형미를 자랑하는 고려청자의 걸작이다. 목의 윗부분에는 흑백상감으로 구름과 학무늬를 그려 넣었으며, 몸통에는 모란으로 전체를 장식하고 있다. 모란장식은 꽃과 잎들을 제외한 바탕을 백토로 메우고, 원래의 태토가 문양을 만들고 있는 역상감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청자 상감모란넝쿨무늬 표주박모양 주자(국보)>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청자매병과 함께 고려청자를 대표하는 문화재이다. 표주박모양으로 손잡이와 물을 따르는 부리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데 전체적인 비례를 비롯하여 조형미가 뛰어나다.

<아가리 부분에 표현된 구름 사이로 날고 있는 학>

<몸통>

몸통에는 모란넝쿨무늬가 표현되어 있다.


<옆에서 본 모습>


<반대편에서 본 모습>

양면을 거의 비슷하게 장식하고 있다.

위쪽에는 상감기법으로 학이 구름사이를 날아가는 모습을, 아래쪽에는 모란꽃과 넝쿨을 그려넣고 있다. 아래쪽 몸통에는 배경에 백토를 채워넣은 역상감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손잡이 방향에서 본 모습.


물을 따르는 부리방향에서 본 모습.

청자 상감모란넝쿨무늬 표주박모양 주자, 국보,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중앙박물관)
고려청자 가운데는 표주박모양의 주자가 많다. 이 유형은 중국의 당.송 자기에서도 볼 수 있지만 중국과는 다른 고려만의 산뜻한 조형 세계를 보여준다. 몸체 아랫부분은 약간 도안화되었으나 사실에 가까운 모란 무늬를 소담하게 역상감(배경부분을 상감으로 메워 무늬가 청자색이 나도록 하는 기법)했다. <출처:중앙박물관>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중앙박물관
4.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