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양주목(揚州牧) 읍치가 있었던 양주시 유양동에 위치한 양주향교(楊州鄕校)이다. 양주향교는 앞쪽에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뒷편에 대성전을 두고 있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기는 하지만, 한국전쟁 당시 소실된 것을 복원한 것이다. 양주목 관아를 구성하던 건물 중 제일 먼저 복원되었는데, 고을 규모에 걸맞게 향교 또한 넓고 큰 규모이다. 이 향교의 특이한 점은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는 없고 대신에 대성전 앞에 우리나라 성현들을 모시는 동무.서무를 두고 있다. 조선후기 교육기관 기능을 상실하고 제사기능만 남았던 전형적인 향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양주향교>
<강학공간의 중심건물인 명륜당>
앞면 5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가운데 3칸은 넓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으며, 양쪽에 온돌방 1칸씩을 두고 있다. 경기지역에 남아 있는 향교 중에서는 건물규모가 큰 편이다. 원래 강학공간에는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를 두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곳에는 동.서재를 두고 있지 않다. 실제로 명륜당은 제사준비를 하는 재실역할을 하고 있다.
<제향공간 출입문>
제향공간 출입문으로 3개의 협문을 두고 있다. 내삼문을 두는 것이 일반적인데, 협문을 두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공자와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
앞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른 향교 대성전에 비해 큰 규모이다.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동무>
<맞은편 서무>
<향교의 내력을 말해주는 향교 앞 고목>
<외삼문 앞에 세워진 비석>
양주목은 조선시대 수도 한양의 동북쪽 관문으로 지금은 경기북부지역에 있는 작은 도농복합시이지만 현재의 양주시, 동두천시, 의정부시, 구리시, 남양주시, 서울 동북쪽 노원구, 강북구, 중랑구, 도봉구 일대를 포함하는 상당히 큰 고을이었으며, 정3품에 해당하는 목사가 고을의 수령이었던 곳이다. 양주목의 규모에 맞게 양주목 관아는 서쪽편 객사자리가 있었던 유양초양학교부터 시작하여 동쪽편 양주향교까지가 관아가 있었던 지역으로 그 넓이가 상당히 넓다.
<양주목 관아터>
양주시 유양동 불국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옛 양주관아터에 복원된 양주목 동헌을 보면, 비록 복원된 건물이지만 옛날 양주목이 얼마나 큰 고을이었는지를 잘 알 수 있게 해준다. 지방수령이 근무하던 건물로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규모의 건물에 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양주향교 (楊州鄕校), 경기 양주시 유양동
향교는 공자 등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국립교육기관이다. 양주향교는 태종원년 1401년에 처음 지었으며, 한국전쟁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958년 다시 지었다. 건물의 전체적인 배치를 보면 입구인 외삼문을 지나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그 뒤 내삼문 안쪽에 제사지내는 공간인 대성전과 동무·서무가 있는 전학후묘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안쪽에는 공자와 중국 4대 성현의 위패가 있으며, 대성전 좌우에 있는 동무와 서무에는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명륜당은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 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출처:문화재청>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