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주 한개마을 월곡댁, 20세기에 지어진 고택
- 성주 한개마을 응와종택, 마을 입향조가 살았던 종택터에 있는 고택
- 성주 한개마을, 교리댁
- 성주 회연서원, 조선중기 유학자 정구를 모신 서원
-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보물), 가야산 고갯길 입구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
- 합천 월광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 합천 황매산(1,108 m), 철쭉과 억새가 아름다운 곳
- 합천 대야성, 삼국시대 전략적 요충지에 있었던 성
- 합천 황매산 영암사지(사적), 석축을 쌓아 조성한 산지사찰을 대표하는 절터
- 합천 영암사지 귀부(보물), 비석을 올렸던 거북받침돌
-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석등(보물),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석등
-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보물)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20세기 새로운 매체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20세기초 근대 미술을 이끌었던 화가들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새로운 도자기법의 등장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19세기 대표 화가 장승업, 조희룡, 유숙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독일에서 온 우리 미술품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취향의 과시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풍류, 문인들의 모임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시정풍속, 풍속화로 본 한양사람들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
- 울진 구산항, 조선시대 울릉도 뱃길이 시작되었던 작은 포구
- 울진 후포항, 울진대게로 유명한 큰 항구
- 울진 죽변항, 많은 어선들이 정박해 있는 큰 어항
- 울진 평해황씨 시조단
- 울진 평해 월송정, 관동팔경 유람 중 8번째
- 영양 서석지, 조선시대 민간에서 조성한 대표적인 정원
- 안동 영호루, 공민왕 친필 현판이 걸려 있던 누각
- 영덕 강구항, 오십천 끝자락에 위치한 영덕대게로 유명한 곳
- 영덕 대진해수욕장, 고래볼해안 남쪽 끝에 위치한 작은 해수욕장
- 영덕 원구리마을, 영해읍치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전통마을
- 영덕 원구리마을 경수당종택, 16세기초에 처음 지어진 99칸 대저택
- 영덕 송천리 마을, 7번국도 교통요지에 위치한 안동권씨 집성촌
- 영덕 송천 세려고택
- 영덕 송천예배당, 7번국도변 마을에 있는 작은 시골교회
- 영덕 인량마을(1), 여러 성씨가 모여사는 전통마을(인량1리)
- 영덕 인량마을(2), 여러 성씨가 모여사는 전통마을 (인량2리)
- 영덕 인량마을 농산정
- 영덕 인량마을 만괴정
- 영덕 인량마을 용암종택, 선산김씨 김익중 종택
- 영덕 인량마을 처인당, 영양남씨 종택터에 남아 있는 건물
- 영덕 인량마을 삼벽당, 마을 영천이씨의 종택
- 영덕 인량마을 만괴헌, 신부자집으로 불렸던 부호의 큰저택
- 영덕 인량마을 지족당, 마을 뒷편 언덕에 자리잡은 고택
- 영덕 인량마을 오봉종택, 안동권씨 입향조가 살았던 종택
- 영덕 인량마을 강파헌 정침, 종택에서 분가한 살림집
- 영덕 인량마을 충효당종택, 조선중기에 지어진 재령이씨 종택
- 영덕 인량마을 우계종택, 조선중기에 지어진 오래된 고택
- 영덕 인량마을 갈암종택, 임하댐 건설로 청송에서 옮겨온 고택
- 영덕 인량마을, 정담 정려비
- 영덕 운산서원, 영해지방을 대표하는 서원
- 영덕 칠보산 유금사
- 영덕 칠보산 자연휴양림
- 영덕 괴시마을, 목은 이색 생가터가 있는 영양남씨 집성촌
- 영덕 괴시마을, 목은 이색 생가터
- 영덕 괴시마을 영은고택
- 영덕 괴시마을 대남댁
- 영덕 괴시마을 해촌고택
- 영덕 괴시마을 구계댁
- 영덕 괴시마을 괴정, 후학을 양성하던 작은 정자
- 영덕 괴시마을 영양남씨 괴시파종택
- 영덕 괴시마을 물소와 서당, 남택만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작은 서당
- 영덕 괴시마을 물소와 고택, 좌승지에 추증된 남택만의 후손들이 지은 고택
- 영덕 괴시마을 사곡댁
- 영덕 괴시마을 주곡댁
- 영덕 괴시마을 천전댁,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고택
- 영덕 관어대마을, 고래볼해안 남쪽 끝에 있는 전통마을
- 영덕 관어대마을 대은종택, 마을 뒷편 높은 곳에 위치한 종택
- 영덕 관어대마을 번호댁, 고래불 해안 남쪽 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선상생활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배에 실렸던 화물 – 향신료, 기타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배에 실렸던 화물 – 금속으로 만든 물품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배에 실렸던 화물 – 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배에 실렸던 화물 – 도자기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배에 실렸던 화물 – 용천요 청자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차.향.꽃 문화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고려의 공예문화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전시개요
- 부산 금정산 범어사, 화엄십찰 중 한곳으로 대표적인 호국사찰
- 부산 범어사 대웅전(보물)
- 부산 범어사 팔상 독성 나한전, 3개의 불전이 같이 있는 건물
- 부산 범어사 조계문(보물)
- 밀양 재약산 표충사, 표충서원이 있었던 사찰
- 밀양 표충서원, 임진왜란 때 큰 역할을 했던 서산.사명.기허당을 모시는 서원
- 양산 영축산 통도사(4), 금강계단이 있는 상로전 영역
- 양산 영축산 통도사(3), 중로전 영역
- 양산 영축산 통도사(2), 하로전 영역
- 양산 영축산 통도사(1), 일주문 바깥 영역
- 양산 통도사 대웅전(국보), 상로전 영역 주불전
- 양산 통도사 명부전
- 양산 통도사 응진전
- 양산 통도사 석등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보물), 중로전 영역 중심 불전
- 양산 통도사 용화전
- 양산 통도사 관음전
- 양산 통도사 불이문, 중로전 영역 출입문
- 양산 통도사 만세루, 법회 등이 열렸던 큰 규모의 건물
- 양산 통도사 약사전
- 양산 통도사 극락보전
- 양산 통도사 영산전 벽화(보물)
- 양산 통도사 영산전(보물), 하로전 영역 주불전
- 양산 통도사 천왕문, 하로전 영역 출입문
- 울주 언양불고기 거리
- 울주 언양읍성(사적), 평지에 쌓은 네모꼴 석성
- 울산 대곡박물관
- 울주 천전리 각석(국보),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선사시대 바위그림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국보), 선사시대 생활모습을 표현한 그림
- 울산 대왕암 공원, 울산의 끝에 자리잡은 동해안 절경
- 경상도 울산도호부 관아, 동헌 및 내아
- 울산 효자 송도선생 정려비
- 울산 경상좌도 병영성(사적), 병마절도사가 머물던 병영성
- 일본 구마모토성, 가토 기요마사가 쌓은 일본 3대 성곽
- 울산 울산왜성, 임진왜란 때 가토 기요마사가 쌓은 왜성
- 포항 영일 냉수리고분,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굴식돌방무덤.
- 의성 금성산 고분군, 초기 삼국시대 조문국 유적지
- 고성 백도항,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지가 있는 작은 어항
- 양양 물치항과 해수욕장, 설악산과 가까운 곳에 있는 작은 어항
- 속초 설악산 외설악 지구, 소공원~신흥사~흔들바위~울산바위
- 설악산 울산바위(명승)와 흔들바위
- 속초 설악산 계조암 석굴, 흔들바위와 함께 있는 석굴 사원
- 속초 설악산 신흥사, 외설악을 대표하는 큰 사찰
- 속초 신흥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보물), 17세기 활동한 승려 무염의 작품
- 속초 신흥사 명부전, 지장보살을 모신 불전 중 비교적 오래된 불전
- 속초 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 조선후기 승려 무염의 작품
-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보물),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불전
- 속초 신흥사 보제루, 신도들이 잠시 쉴 수 있는 강당 건물
- 양양 하조대 해수욕장.
- 양양 하조대(명승), 기암절벽과 소나무가 어우러진 동해안 절경
- 양양 기사문항, 동해안 38휴게소 옆 작은 어항
- 양양 오산리 선사유적지(사적), 가장 오래된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지
- 고성 어명기 고택, 강원도 동해안 북부지방을 대표하는 고택
- 고성 송지호, 울창한 송림을 자랑하는 석호
- 고성 오호항과 봉수대해수욕장
- 고성 천학정, 기암괴석이 있는 해안절벽에 세워진 작은 정자
- 고성 아야진항
- 인제 용대리 백담순두부, 황태정식
- 고성 문암리유적(사적),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시대 유적지
- 고성 왕곡마을, 강원 북부지방 가옥 양식이 많이 남아 있는 마을
- 고성 간성향교, 옛 간성군 중등교육기관
- 고성 거진항, 명태로 유명했던 항구
- 고성 화진포 이기붕 별장
- 고성 화진포 김일성 별장, 북한 김일성 가족이 별장으로 사용했던 곳
- 고성 화진포 이승만 전대통령 별장
- 고성 대진항, 강원도 동해안 최북단 항구
- 고성 천진항과 천진해수욕장
- 인제 합강정, 내린천과 인북천인 만나는 곳
- 인제 강원도 중앙단, 억울한 귀신을 위한 별여제를 지내는 제단
- 인제 내린천, 래프팅 명소로 잘 알려진 곳
- 양양 미천골자연휴양림
- 양양 선림원지, 통일신라말 크게 번창했던 선종계열 사찰
- 백두대간 구룡령(해발 1,013 m), 양양과 홍천을 잇는 높은 고갯길
- 백두대간 진부령(해발 520 m), 인제와 고성을 잇는 고갯길
- 설악산 대청봉(해발 1,707 m), 무너미고개~소청봉~중청봉~대청봉
- 설악산 비선대와 천불동계곡(명승)
- 설악산, 봉정암 ~ 가야동계곡 ~오세암
- 설악산 용아장성(명승), 용의 이빨처럼 생긴 기암괴석 봉우리들
- 설악산 구곡담계곡(명승), 수렴동대피소 ~ 봉정암
- 설악산 수렴동계곡(명승), 백담사~영시암~수렴동대피소
- 설악산 백담계곡, 인제 용대리 ~ 백담사
- 인제 설악산 오세암, 동자승 전설이 잘 알려진 암자
- 인제 설악산 봉정암,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5대 적멸보궁
- 인제 봉정암 오층석탑(보물),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곳
- 인제 설악산 영시암, 내설악 수렴동계곡 끝자락에 자리잡은 작은 암자
- 인제 설악산 백담사, 내설악을 대표하는 사찰
- 팔부중상,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신장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실] 인도 이슬람 미술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실] 히말라야 지역의 불교조각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실] 인도의 간다라 미술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실] 인간을 닮은 인도의 신들
- 충청도 직산현 관아, 동헌과 관아 아문
- 아산 둔포 신항리마을, 구한말 만석군 집안이 터를 잡고 살았던 마을
- 아산 신항리마을,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 아산 신항리마을, 종가댁으로 불리는 윤승구 가옥
- 아산 신항리 마을, 윤일선 가옥
- 아산 충무공 이순신 장군 무덤(사적)
- 아산 현충사, 이충무공 유허(사적)
- 아산 현충사, 이순신 장군 옛집
- 평택 농성, 지방 호족세력이 터를 잡았던 작은 토성
- 평택 평택향교, 옛 평택현 관할 중등교육기관
- 충청도 평택현 관아, 팽성읍 객사
- 아산 공세곶고지, 충청지역 세금으로 걷은 곡식을 보관하던 창고터
- 아산 공세리성당,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성당
- 아산 김옥균 유허, 그가 묻힌 무덤
- 충청도 아산현 관아, 출입문이었던 여민루
- 아산 온양향교, 옛 온양군 중등교육기관
- 충청도 온양군 관아, 동헌과 온주아문
-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보물)
- 홍성 남당항, 가을철 대하로 유명한 작은 포구
- 아산 현충사 은행나무길
- 예산 덕숭산 수덕사, 충남 서해안 중심 사찰
- 예산 수덕사 대웅전(국보), 고려시대에 지어진 목조건축물
- 예산 수덕여관, 이응로 화백이 살았던 옛 집.
- 홍성 성삼문 유허, 성삼문 태어난 외가 마을
- 홍성 엄찬 고택, 사육신 성삼문 후손이 살았던 집
- 홍성 홍주향교, 홍주목 중등교육기관
- 충청도 홍주목 관아, 동헌인 안회당과 홍주아문
- 홍성 홍주읍성(사적), 동문인 조양문
- 홍성 홍주읍성 (사적), 구한말 크게 보수한 읍성
- 홍성 전용일 가옥, 99칸 대저택
- 홍성 김우열 가옥,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지주계층 저택
- 홍성 김좌진 장군 생가터
- 홍성 만해 한용운 생가터
- 홍성 결성향교, 결성현 중등교육기관
- 충청도 결성현 관아, 동헌.형방청.책실
- 아산 외암마을, 중부지방을 대표하는 전통마을
- 아산 외암마을, 감찰댁
- 아산 외암마을, 교수댁
- 아산 외암마을, 건재고택
- 아산 외암마을, 외암 종손댁
- 아산 외암마을, 송화댁
- 아산 외암마을, 참봉댁
- 예산 추사고택, 궁궐 한옥 양식이 있는 고택
- 예산 임존성(사적), 백제 부흥운동의 중심지였던 곳
- 예산 대련사 삼층석탑
- 예산 봉수산 대련사, 대흥 임존성 아래에 있는 작은 사찰
- 예산 예당저수지, 최대 규모의 농업용 저수지
- 예산 이성만 형제 효제비, ‘의좋은 형제’ 일화의 배경이 된 비석
- 충청도 대흥군 관아, 동헌과 관아 아문
- 예산 동서리 유적, 고조선시대 서남지역 지배계층 무덤
- 아산 남성리 유적, 고조선시대 서남지역 지배계층 무덤
- 당진 소소리 유적, 고조선시대 유물이 출토된 곳
- 아산 맹씨 행단 (사적), 조선초 청백리 맹사성 일가가 살았던 곳
- 아산 맹씨 고택, 고려말 건축양식이 남아 있는 사실상 가장 오래된 한옥
- 포항 냉수리 신라비(국보), 신라 지방 호족의 재산분쟁과 관련된 비석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국보), 신라 석탑 발전과정을 보여주는 모전석탑
- 구미 죽장사지, 오층석탑이 남아 있는 절터
-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국보), 국내 최대 규모의 오층석탑
- 충주 정토사지,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절터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보물), 절터 부근에 남아 있는 탑비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국보), 공모양 몸돌이 있는 특이한 형태의 승탑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보물)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보물), 중앙박물관 로비에 전시되어 있는 탑비
- 공주 계룡산 갑사, 통일신라 화엄십찰이었던 사찰
- 부여 산직리 지석묘, 송국리 유적지 부근에 남아 있는 고인돌
- 부여 송국리 유적(사적), 송국리형 토기로 대표되는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지
- 부여 홍산현 관아(사적),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 온전히 남아 있는 곳
- 부여 만수산 무량사, 생육신 김시습 흔적이 남아 있는 사찰
- 부여 무량사 극락전(보물),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키는 2층 불전
- 보령 성주산 성주사지(사적), 통일신라 구산선문 중 성주산문 중심사찰
-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국보), 성주산문을 열었던 낭혜화상의 탑비
- [부여박물관] 석조유물
- [부여박물관] 고려시대 석조불상
- [부여박물관] 비석과 비석 부재들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보물), 간략화된 양식의 고려후기 비석
-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보물), 당나라 장수의 공적을 새긴 비석
- [부여박물관] 부여지역에 있던 석탑들
- 부여 사택지적비(보물),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비석
- [부여박물관] 사비기 백제 때 사용되었던 석조
- 부여 석조(보물), 백제 왕궁에서 연꽃을 심었던 곳
- 부여 백제문화단지, 사비기 백제의 궁궐과 사찰 등을 재현해 놓은 곳
- 부여 백제문화단지, 사비기 백제 귀족의 대저택
- 부여 백제문화단지, 군관주택
- 부여 백제문화단지, 능산리사지 사찰을 재현한 능사
- 부여 백제문화단지, 백제 왕궁
- 부여 외리 문양전(보물), 산경치.용.봉황 등 도교적인 그림이 새겨진 무늬벽돌
-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보물), 목탑터 심초석에서 출토된 불상
- 백제 금동대향로(국보), 능산리사지에 출토된 도교 신선사상이 표현된 향로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국보), 백제 창왕 때 조성된 내력이 적혀있는 사리장치
-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국보), 백제를 대표하는 금동불상
- 금동정지원명 석가여래삼존입상(보물)
- 부여 가림성(사적), 백제 동성왕이 금강 하류 요충지에 쌓은 산성
- 부여 능안골 고분군(사적), 사비기 백제 귀족들의 무덤
- 부여 능산리 고분군(사적), 사비기 백제의 왕릉
- 부여 능산리사지(사적), 백제 성왕을 위해 세운 사찰
- 부여 군수리사지(사적), 백제 칠지도가 출토되었던 절터.
- 부여 왕흥사지(사적), 백제 왕실이 부소산성 맞은편에 세운 사찰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지방통치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중국, 일본과의 교류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능묘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사찰과 불교문화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인의 일상생활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무기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건축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도성과 행정
- 부여 왕흥사지 사리장엄구(국보), 가장 오래된 사리장엄구
- 익산 왕궁리오층석탑 사리장엄구(국보)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국보)
- 익산 미륵사지 박물관
- 익산 미륵사지 금동향로(보물), 통일신라 수각형 금동향로를 대표하는 작품
-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보물)
- 익산 미륵사지(사적), 백제 무왕이 세운 백제 최대 규모의 사찰
- [익산 왕궁리유적 전시관] 사찰로의 변화.
- [익산 왕궁리유적 전시관] 고급물품을 제작하던 공방터
- [익산 왕궁리유적 전시관] 백제 무왕이 조성한 궁성
- 익산 왕궁리 유적(사적), 백제 무왕의 천도설이 확인되는 궁궐터
-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보물), 들판 가운데 마주보고 서 있는 불상
- 익산 제석사지(사적), 왕궁리 궁성을 수호하기 위해 세운 사찰 절터
- 익산 토성(사적), 백제 무왕이 왕궁리 궁성과 함께 세웠던 산성
- 익산 쌍릉(사적),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능으로 추정되는 곳
- 전라도 여산도호부 관아, 여산 동헌
- 익산 여산향교
- 공주 장선리 유적(사적), 삼한시대 마한의 주거유적이 확인된 곳
- 순천 조계산 선암사(사적), 불교 태고종을 대표하는 사찰
- 곡성 동리산 태안사, 통일신라 선종 동리산파 중심 사찰
- 곡성 태안사 일주문
- 화순 계당산 쌍봉사, 목탑 형식의 불전이 남아 있는 사찰
- 장흥 가지산 보림사, 통일신라 선종 가지산파를 이끌었던 사찰
- 화순 운주사(사적), 천불천탑을 세워 조성한 사찰
- 순천 선암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다포계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불전
- 순천 선암사 일주문(보물), 조선후기에 세워진 출입문
- 순천 선암사 승선교(보물), 계곡에 놓여 있는 아름다운 돌다리
- 화순 학포당, 조선중기 문신 양팽손이 머물렀던 서재
- 화순 사평리 상사마을, 임대정 원림이 있는 시골마을
- 화순 임대정 원림(명승), 자연환경과 인공적인 정원이 조화를 이루는 곳
- 전라도 능주목 관아
- 화순 죽수서원, 조광조와 양팽손을 모신 서원
- 화순 영벽정, 능주목 관아에서 세운 정자
- 화순 죽수절제아문, 옛 능주목 관아 동헌 출입문.
- 화순 달아실 마을, 조선중기 문신 양팽손 후손들이 모여사는 집성촌
- 화순 학포선생부조묘, 조선중기 문신 양팽손을 모신 사당
-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국보), 한반도 청동기문화를 대표하는 유물
- 화순 대곡리 유적지, 청동팔령구을 비롯하여 청동기 시대 유물(국보)이 출토된 곳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대산리마을 부근 감태바위 고인돌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핑매바위 고인돌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달바위 고인돌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관청바위 고인돌군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모산마을 부근 괴바위고인돌군
- 부산 범어사 석등
- 보령 성주사지 석등
- 경주읍성터 출토된 거대한 석등
- 김제 금산사 석등(보물)
- 김제 금산사 석련대(보물), 하나의 돌로 만든 거대한 석조대좌
- 김제 금산사 노주(보물), 용도를 알 수 없는 석조유물
- 부여 무량사 석등(보물)
- 논산 관촉사 석등(보물),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거대한 석등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걸작
- 공주 갑사 동종(보물), 조선중기를 대표하는 범종
- 공주 갑사 철당간(보물), 현존하는 유일한 통일신라 철당간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사탑(보물), 쌍탑 형식으로 만들어진 승탑
- 부여 무량사 김시습 승탑
-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 감로탑
- 양양 선림원지 승탑(보물)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보물)
- 양양 선림원지 석등(보물), 세부적인 조형미가 뛰어난 통일신라 석등
- 공주 갑사 승탑(보물), 생동감있는 조각상이 표현된 승탑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보물)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보물), 태안사를 크게 중창한 승려 윤다의 승탑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보물), 통일신라 말 선종 동리산파를 열었던 승려 혜철의 승탑
- 순천 선암사 동승탑(보물)
- 순천 선암사 북승탑(보물)
-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보물), 가장 오래된 목조사천왕상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보물)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보물), 백제 석탑 양식이 일부 반영된 승탑
- 경주 불국사 사리탑(보물), 불상이 새겨진 독특한 형태의 사리탑
-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석등(보물), 2마리의 사자가 생동감있게 표현된 석등
- 장흥 보림사 서승탑(보물), 고려중기에 만들어진 정형화된 모습의 승탑
- 장흥 보림사 동승탑(보물),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모습을 모여주는 승탑
- 충주 청룡사 위전비, 사찰 경영 내력이 적혀 있는 조선후기 비석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보물), 승탑 앞에 세워진 장명등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보물)
- 개성 현화사지 석등
- 나주 서성문 안 석등(보물), 정형화된 석등의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는 유물.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보물)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보물)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보물), 고려초 법안종을 이끈 승려 지종의 승탑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보물), 당태종의 글씨를 모아서 새긴 집자비석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보물)
- 동제 염거화상탑지(보물), 염거화상탑의 조성내력을 기록한 탑지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보물), 선종 봉림산문을 연 승려 심희의 승탑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국보), 당대 승탑의 모범이 되었던 승탑
- 여주 고달사지 석조대좌(보물), 거대 불상을 올렸던 석조대좌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보물), 웅장한 표현이 돋보이는 거북받침돌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보물), 고려초 활동했던 승려 찬유의 승탑
- 여주 고달사지 승탑(국보), 고려초를 대표하는 승탑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보물)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보물), 통일신라 말 승려 체징의 승탑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보물)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보물), 고려말 공민왕 왕사였던 보우의 승탑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보물)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국보), 통일신라 승탑을 대표하는 걸작
- 화순 운주사 와형석조여래불
- 화순 운주사 마애여래좌상
- 화순 운주사 광배석불좌상, 광배가 표현되어 있는 불상
- 화순 운주사 칠성바위 앞 칠층석탑
-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교차문 칠층석탑
- 화순 운주사 발형다층석탑
- 화순 운주사 대웅전 앞 다층석탑
-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 백제가 석탑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 석탑
- 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석탑, 독특한 문양이 새겨진 고려 석탑
- 화순 운주사 칠층석탑, 신라 석탑양식을 계승한 고려 석탑
-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보물), 특이한 형태의 고려 석탑
-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보물), 고려시대 지방의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유물
-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보물), 지방적인 색채가 반영된 고려석탑
- 순천 선암사 동.서층석탑(보물),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는 통일신라 석탑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철로 만든 대표적인 불상
- 장흥 보림사 석등(국보), 정형화된 통일신라 석등
- 장흥 보림사 남.북삼층석탑(국보), 정형화된 통일신라 석탑이 완성된 모습
- 화순 쌍봉사 대웅전 목조삼존불상
- 화순 쌍봉사 대웅전, 목탑 형식이 남아 있는 3층 건물
- 부여 능사 오층목탑, 백제문화단지에 복원해 놓은 백제 목탑
- 진천 보탑사 삼층목탑, 옛 목탑을 재현한 불전
- 고창 선운사 육층석탑
- 예산 수덕사 삼층석탑, 고려초기 석탑
- 서울 창경궁 팔각칠층석탑(보물), 만주에서 가져온 중국 석탑
-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보물), 원나라 라마교의 영향을 받은 고려 석탑
-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국보),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시는 대표적인 공간.
- 양산 통도사 봉발탑(보물), 발우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석탑
- 서산 개심사 오층석탑
-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보물)
-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보물), 경북지역 향리들이 세운 고려 석탑
- 천안 천흥사지 오층석탑(보물), 고려초에 조성된 웅장한 석탑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보물), 정림사지 석탑을 계승한 석탑
- 서울 홍제동 오층석탑(보물), 고려 석탑 양식이 잘 반영된 석탑.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는 고려 석탑
-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보물), 부처의 사리를 모신 석종형 사리탑
- 김제 금산사 육각다층석탑(보물), 검은색 점판암으로 만든 다층석탑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보물), 금강계단 앞에 세워진 석탑
-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보물), 고려 후기에 조성된 석탑.
-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보물), 백제 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 석탑
-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기단을 불상대좌처럼 만든 석탑
-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고려 석탑
-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보물), 고려초기 양식을 볼 수 있는 오층석탑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보물), 화강석과 벽돌을 섞어서 만든 전탑
-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보물), 도심 기차역에 남아 있는 벽돌로 쌓은 탑
-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보물), 팔부중상이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 영양 현리 삼층석탑(보물), 12지신상 등이 새겨진 삼층석탑.
-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보물), 화려한 조각상이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 창녕 퇴천 삼층석탑
-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인근 절터에서 옮겨온 2개의 탑.
- 합천 해인사 삼층석탑, 정중탑 또는 비로탑으로 불린 통일신라 삼층석탑
-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보물)
- 합천 해인사 길상탑(보물), 통일신라말 전란으로 희생된 이를 위해 세운 탑
-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보물)
- 창녕 술정리 서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삼층석탑
-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보물), 단층 기단 위에 세워진 삼층석탑
-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보물), 무량수전 동쪽 언덕에 세워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 원주 천수사 삼층석탑, 고려초기 쌍탑식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삼층석탑
- 원주 천수사 오층석탑, 고려초기 쌍탑식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오층석탑
-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보물), 고려초기 삼층석탑
- 이천 안흥사지 오층석탑, 경기 지역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 경주 원원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십이지신상이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보물), 향성사 절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 석탑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실] 크메르 미술과 문화
-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보물), 구도심 주택가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동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서삼층석탑(보물)
-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보물)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보물)
- 경주 천군동 동.서삼층석탑(보물), 보문단지 인근 마을에 남아 있는 석탑
-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보물), 진흥왕릉 부근에 있는 통일신라 모전석탑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국보), 대표적인 백제계 석탑
- 경주 장항리사지 서 오층석탑(국보), 토함산 동쪽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
- 보협인석탑(국보), 특이한 형태의 고려시대 석탑
- 영양 산해리 모전오층석탑(국보), 모전석탑을 대표하는 탑
-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국보), 고려 특유의 양식이 잘 반영된 석탑
- 김천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국보), 통일신라 전성기 석탑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국보), 대리석조각이 화려한 고려를 대표하는 석탑
-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국보), 13층으로 된 독특한 형태의 석탑
-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국보), 백탑이라 불린 통일신라 오층석탑
- 창녕 술정리 동삼층석탑(국보),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통일신라 전기 삼층석탑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실] 베트남의 문화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국보), 석가탑이라 불리는 통일신라 걸작인 석탑
- [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 석굴사원과 벽화, 중앙아시아 사막의 불교문화
- [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 중앙아시아의 불교조각
- 경주 불국사 다보탑(국보), 통일신라 석탑의 걸작
-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목탑을 모방해서 만든 백제 석탑
- [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 주거지 유적과 무덤 출토 유물
- [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 아프로시압 벽화, 조우관을 쓴 한반도인이 등장하는 벽화
- [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 투루판 아스타나 고분(Astana Tomb)
- 충추 탑평리칠층석탑(국보), 중앙탑이라 불린 통일신라 석탑
-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국보), 백탑이라 불렸던 대리석으로 만든 조선시대 석탑
- [중앙박물관 중국실] 사후세계, 명기(明器)와 도용(陶俑)
- [중앙박물관 중국실] 신선사상과 도교
- [중앙박물관 중국실] 중국의 불비상과 불상
- [중앙박물관 중국실] 예기(禮器), 권력의 상징
- [중앙박물관 중국실] 중국 도자기
- [중앙박물관 중국실] 중국회화
- [중앙박물관 신안실] 장시성 길주요, 칠리진요, 허베이성 자주요, 정요
- [중앙박물관 신안실] 경덕진요, 청자와 백자의 맛이 어우러진 청백자의 본고장
- [중앙박물관 신안실] 차(茶), 꽃(花), 향(享)과 관련된 기물들
- [중앙박물관 신안실] 신안선의 발굴
- [중앙박물관특별전, 벼락도끼와 돌도끼] 돌도끼, 선사시대의 생활필수품
- [중앙박물관특별전, 벼락도끼와 돌도끼] 돌도끼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중앙박물관특별전, 벼락도끼와 돌도끼] 벼락도끼, 왕의 진상품
- [중앙박물관특별전, 활자의 나라] 활자장, 활자를 보관한 장
- [중앙박물관특별전, 활자의 나라] 목활자, 가장 널리 사용된 활자
- [중앙박물관특별전, 활자의 나라] 한글활자, 민간에서 사용한 금속활자
- [중앙박물관특별전, 활자의 나라] 실록자와 정리자
- [중앙박물관특별전, 활자의 나라] 갑인자, 조선의 대표활자
-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보물)
- 석조지장보살좌상(보물), 2016년
- 경주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보물)
- 금동약사여래입상(보물), 2016년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국보), 아미타여래를 표현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국보), 황복사지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불상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보물), 2016년
-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보물), 2016년
-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국보), 2016년
- 금동보살입상(보물), 2016년
-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국보), 2016년
-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국보), 2016년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 삼국시대 신라를 대표하는 문화재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