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고성 왕곡마을, 강원 북부지방 가옥 양식이 많이 남아 있는 마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에 있는 왕곡마을이다. 동해안 석호인 송지호 서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5개의 봉우리가 마을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작은 분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을 한 가운데 작은 개울이 흐른다. 주변에 농지가 많지는 않지만 수량이 풍부하여 농사짓기에 편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송지호 서쪽편 고성과 양양을 연결하는 옛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옛날 관동팔경 유람을 떠났던 많은 사람들이 경제력이 있는 이 마을을 지나가면서 하룻밤을 머물렀던 것으로 보인다.

왕곡마을은 강릉함씨, 강릉 최씨, 용궁 김씨 등이 모여사는 집성촌으로 임진왜란 이후 본격적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마을에는 18~19세기 강원도 북부지방의 특징을 보여주는 한옥들이 다수 남아 있다. 안방, 마루, 부엌 등을 한 건물 안에 나란히 배치고 있으며, 부엌 앞에 외양간을 배치하는 등 북부 산간지역 가옥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집앞에는 담장을 두지 않고 있는데 겨울철에 햇볕을 잘 받고 폭설에 고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고성 왕곡마을>

송지호 서쪽편 고성과 양양을 연결하는 옛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후기 강원도 북부 지방 한옥 양식을 보여주는 고택을 많이 남아 있다.

<마을 안길>

백두대간에서 이어져 온 봉우리들이 조금씩 낮아지면서 평지를 이루기 시작하는 곳에 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산에서 흘러내리는 개천을 중심으로 마을이 있고, 그 주변으로 농지들이 펼쳐져 있다.

<농경지>

마을 주변 농지는 아주 넓지는 않지만 수량이 풍부하여 농사짓기에 편한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조선시대 양반들이 모여살았던 집성촌의 입지조건을 잘 갖추고 있다.

<마을을 대표하는 고택인 함정균 가옥>

안채와 행랑채로 이루어진 전통가옥으로 강원도 북부 지방의 주택양식인 양통집이다.  안채는 앞면 4칸의 팔작을 하고 있는데, 가운데 2칸 마루를 두고 양쪽으로 사랑방과 광이 있다.

<행랑채>

행랑채는 앞면 3칸으로 방과 부엌으로 되어 있으며, 툇마루로 둘러져 있다. 사랑채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보이며 안채 가까이에 있다.

<마을 입구>

높은 곳에는 양반들이 살았던 기왓집들이 있고, 아랫쪽에는 초갓집들이 배치되어 있는 농촌마을을 공간배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마을입구 작은 초가집>

<초가집에 딸린 광채>

<안쪽에 있는 기와집>

안채. 사랑채 등이 한 건물에 있다. 본채 앞쪽에 외양간이 붙어 있는 마을 한옥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동해안 지역에서는 호랑이의 출몰이 잦아 가축 보호를 위해 외양간을 안채에 붙여 놓았다.

<안쪽에 있는 약간 큰 규모의 한옥>

<비슷한 구조의 한옥>

앞쪽에 담장과 출입문을 두지 않는 이 마을 주택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ㄱ’자 형태를 하고 있는 한옥>

외양간 대신 부엌을 달아내었다. 후대에 개량한 것으로 보인다. (?)

<마을 윗쪽에 있는 고택>

아래쪽에 비해 건물의 규모가 큰 편이다.

<마을 안쪽에 높은 곳에 있는 고택>

<마을 안쪽>

마을 안쪽 지대가 높은 곳에 부유한 계층들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마을 입구 효자비>

<참고문헌>

  1. 고성군청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