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홍성 김좌진 장군 생가터

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에 있는 김좌진 장군 생가터이다. 생가터에는 그가 살았던 옛 고택이 복원되어 있으며 기념관과 함께 작은 기념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복원된 생가는 문간채, 본채, 광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입문 옆에 있는 문간채는 바깥쪽에 걸터 앉을 수 있는 작은 툇마무가 있는 형태로 손님을 맞는 사랭채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채는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안쪽에는 가족들의 생활공간으로, 누마루 형태의 바깥쪽은 집주인이 일상적인 생활을 했던 공간으로 보인다. 마당을 넓게 쓰고 개방적인 공간배치를 하고 있는 중부지방 가옥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생가터가 있는 마을은 서해안 천수만과 홍성군 소재를 연결하는 교통로 길목에 위치하고 있다. 인근 갈산면 소재지는 넓은 농지를 배경으로 지주계층이 살았던 경제력이 풍부했던 마을로 보인다. 지금도 고택들이 몇곳 남아 있는데, 만석군이 살았던 99칸 대저택인 ‘전용일가옥’과 ‘ㅁ’자형 양반가옥을 하고 있는 ‘김우열가옥’이 고택으로 남아 있다.

<충남 홍성군 김좌진 장군 생가터>

그가 살았던 옛 집을 복원해 놓고 있다.

<문간채>

바깥쪽에 걸터앉을 수 있는 작은 툇마루가 있는 앞면 3칸짜리 건물이다. 손님을 맞을 수 있는 사랑채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천수만으로 가는 길목에 있어 서해안을 여행하는 손님들이 많았던 것으로 보이며, 손님들을 위한 공간으로 준비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안쪽에서 본 문간채>

방에서 마당 안쪽을 볼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문간채 내부>

<본채>

본채는 앞면 5칸 규모의 ‘-‘자형 건물이다. 안채와 사랑채가 붙어 있는 일체형 한옥구조이다.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안쪽은 안채, 바깥쪽은 사랑채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남녀를 분리한다는 유교적 관념에서 안채와 사랑채가 분리되었던 일반적인 양반가 저택과는 다른 형태를 하고 있다.

<사랑방>

대청마루보다 약간 높게 만든 누마루 형태의 방. 앞과 옆쪽에 툇마루를 두어 정자같은 분위기를 만들고 있다.

<사랑방 내부>

<툇마루>

바깥쪽에는 통로 겸 휴식공간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툇마루를 두고 있다.

<대청마루>

대청마루는 앞면 1칸 규모로 크지 않은 편이다.

<안쪽 온돌방>

<온돌방 내부>

<부엌과 연결된 안쪽 온돌방>

두방 사이에는 벽을 두어 공간을 분리하고 있다.

<부엌>

<마당에 있는 3칸 규모의 비교적 큰 광>

<뒷마당>

<마당 바깥쪽에 있는 마굿간>

김좌진 장군 생가지, 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대한제국 말기의 독립운동가였던 백야 김좌진 장군이 태어나고 성장한 곳이다. 장군은 1889년 김형규의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용맹하고 총명하였다. 1907년 호명학교를 세워 신학문을 교육하였다. 1916년 광복단에 가담하여 항일 독립투쟁을 전개하였다. 만주로 건너가 북로군정서를 조직하고 총사령관이 되었다. 1920년 10월 청산리대첩에서 일본군을 대파하는 등 민족의 자주독립에 앞장섰다. 1925년 김혁과 함께 신민부를 조직하여 중앙집행위원장이 되었으며, 1929년 한족총연합회를 조직하고 주석에 올랐다. 1930년 1월 공산당 청년당원에게 암살 당하였다. 1962년 3월1일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을 받았다. 대대로 살아온 이곳에 1991년 부터 성역화 사업을 추진하여 본채와 문간채, 사랑채를 복원하고 전시관을 건립하였다. (안내문, 홍성군청, 2010년)

<출처>

  1. 홍성군청
  2.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