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에 있는 옛 결성현 관아이다. 결성면 소재지가 있는 옛 읍치 뒷편 언덕에 위치하고 있는데, 결성 현감이 근무하던 동헌과 그 옆에 책이나 문서 등을 보관했던 책실, 하급관리들이 근무했던 형방청, 솟을대문 형태의 아문이 남아 있다. 객사가 있던 곳은 초등학교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동헌은 앞면 5칸으로 크지 않은 다른 고을 동헌에 비해 크지 않은 건물이다. 1665년에 현재의 자리에 지어진 후 여러번 수리했다고 하는데 잘 지어진 건물은 아니다. 형방청은 하급관리들이 근무하던 ‘ㄱ’자형 건물로 일반 가정집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결성현(結城縣)은 충남 홍성군 결성면과 주변 지역을 포함하는 작은 고을이었다. 조선 태종때부터 읍치를 결성산성이 있는 현재의 위치로 옮기고 읍성을 쌓으면서 결성현으로 바뀌었다. 관아가 위치한 곳은 천수만에서 충남 서해안 내포지방으로 들어가는 넓은 평야지대가 내려다 보이는 곳이다. 읍치에는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읍성으로 둘러져 있으며, 관아 뒷편에 읍성 일부가 남아 있다. 농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전래 농요인 결성농요가 유명하며, 결성면 내에는 만해 한용운 선생의 생가가 있다.
<충남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 옛 결성읍치에 남아 있는 관아>
고을 수령이 근무하던 동헌과 책 등을 보관하던 책실이 남아 있다. 서해안을 통해 들어오는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읍치는 읍성으로 둘러싸혀 있었다.
<옛 읍치지도>
읍성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헌 뒷편에 객사가 있고, 앞쪽에 내아와 부속관청들이 자리잡고 있다.
<관아 출입문인 결성아문>
솟을삼문 형식을 하고 있는 작은 출입문이다.
<동헌>
동헌은 앞면 5칸의 크지 않은 건물이다. 고을 수령이 원인을 접견하던 대청마루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지붕을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데 잘 지어진 건물은 아니다.
<대청마루>
고을 수령이 공식적인 업무를 수행한는 공간이다. 앞쪽에 분합문을 달았다.
<대청마루 내부>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으며, 앞쪽에 통로로 사용하는 툇마루가 있다.
<천장>
천장은 서까래가 드러나 보이는 연등천장을 하고 있다.
<책실>
동헌 옆쪽에 있는 앞면 2칸 규모의 작은 건물인 책실이다. 관청의 주요 문서를 보관하고, 고을 수령의 자제들이 공부하던 공간이다.
<동헌 앞 마당>
<결성현 관아>
<동헌 출입문 앞에 세워져 있는 공덕비>
<동헌 아래쪽에 위치한 형방청>
구한말 행정구역 개편 이후에는 살림집으로 사용되면서 오늘날까지 그 모습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형방청 출입문>
<형방청 건물>
건물은 ‘ㄱ’자형으로 생겼으며 각각 앞면 4칸으로 되어 있는 형태이다. 출입문쪽은 온돌방과 3칸짜리 대청마루가 있으며, 안쪽으로는 온돌방 3칸과 부엌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살림집으로 사용하기에 유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온돌방과 작은 툇마루>
넓은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출입문에 온돌방과 작은 툇마루가 있다. 관리들의 회의를 하기 위해 대청마루를 넓게 만들었다.
<대청마루>
<안쪽 온돌방 2칸과 부엌>
<형방청 뒷편에 남아 있는 고목>
<객사가 있던 자리>
동헌 뒷편 객사가 있던 자리에는 초등학교가 들어서 있다.
<동헌 출입문에서 내려다 보이는 결성현 읍치>
<결성향교에서 본 결성현 읍치>
동헌 뒷편에는 왜구들의 침입에 대비한 결성읍성이 남아 있다.
<결성향교>
읍치에서 북쪽으로 500 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결성향교.
결성동헌, 충남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
동헌이란 조선시대 관아 건물로 지방수령이 국가 공공의 사무를 다루던 곳이다. 부속 건물로는 순교가 지방치안을 담당했던 형방청, 책과 문서를 보관하면서 현감의 자제가 머물렀던 책실이 있다. 결성 동헌은 초창기 고려말에 결성면 금곡리 분우터에 있었는데, 1400년에 옮겼고, 1665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한 후 여러차례 고쳐지었다. 정면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집인데 왼쪽과 오른쪽 모양이 조화되지 않은 형상이다. 형방청은 ‘ㄱ’자평면으로 일제때 경찰지서 건물로 사용되었다. 책실은 정면 2칸 측면 1칸반의 우진각 지붕이다. (안내문, 홍성군청, 2010년)
<출처>
- 홍성군청
- 문화재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 고지도를 통해 본 충청지명연구, 이기붕, 국립중앙도서관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