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금동정지원명 석가여래삼존입상(보물)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금동정지원명 석가여래삼존입상(보물)이다. 이 불상은 광배 뒷면 정지원이 죽은 아래를 위해 불상을 조성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본존불은 얼굴이 갸름하면서도 눈.코.입의 윤곽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광배의 양쪽에는 합장하고 있는 협시보살을 표현하고 있다. 각양식이나 표현 수법이 연가7년명 금동여래입상(국보)과 비슷하며 중국 북위시대에 유행한 불상양식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에서 만든 금동계미명삼존불(국보)과 같은 양식이지만 조각수법이 약간 떨어지고 간략하게 표현되었다. 사비기 백제에서는 정(鄭)씨 성을 사용하지 않아 중국에서 수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많다.

일광삼존불((Buddha Triad Statue with Mandorla)은 서역의 영향을 받아 반입체적인 형태를 보이는 불상으로 중국 북위(北魏, 386~534년)와 북제(北齊, 550∼577년)시기에 많이 만들어졌다. 삼존불상은 여래가 본존인 여래삼존상과 보살이 본존인 보살삼존상이 있는데 인도에서 불상이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존재하였다. 한반도에서는 산동지방과 교류가 많았던 백제의 서산 용현리마아여래삼존(국보)와 많은 금동불상에서 볼 수 있으며, 금동으로 된 일광삼존불도 많이 만들어졌다.

<금동정지원명 석가여래삼존입상, 보물 196호, 백제 혹은 중국 남조, 6세기, 부여 부소산성>

불상과 좌우의 보살상이 하나의 공배와 함께 주조된 이른바 일광삼존 형식의 불상으로, 대좌까지 모두 함께 주조되었습니다. 뒷면에는 ‘정지원이 죽은 아내 조사를 위해 금상을 공경되게 조성하오니, 빨리 삼도를 떠나게 하옵소서.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습니다. 불상의 조각수법이 매우 간략하고 광배의 불꽃무늬와 대좌의 연꽃무늬 등은 정교함이 떨어져 백제 불상 특유의 온화하고 세련된 조형감은 부족합니다. 사비기 백제에서 정씨나 조씨라는 성씨를 사용하지 않아 중국에서 수입되었을 가능성이 일찍부터 제기되었습니다. (”세계유산 백제”, 중앙박물관, 2016년)

<출처>

  1.  문화재청
  2.  위키백과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세계유산 백제”, 중앙박물관, 2016.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