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국보),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시는 대표적인 공간.

경남 양산시 영축산 통도사 경내에 있는 금강계단(국보)이다.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이자 승려가 되는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수계의식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넓게 만든 2층 기단 위에 진신사리를 모신 석종형 탑을 올려놓은 금강계단의 대표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삼국시대 이래로 수차례 수리했기 때문의 원래의 것은 아니지만 그 형태는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단의 바깥에는 불법을 수호하는 천인상, 신장상 등 다양한 조각상이 새겨져 있다. 금강계단 앞에는 예배를 올리는 공간인 적멸보궁으로도 불리는 대웅전이 있는데, 다른 불전들과는 달리 불상을 모시지 않는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손꼽히는 큰 절로, 신라 선덕여왕 때 (646년)에 자장율사가 세웠다. 불보(佛寶) 사찰로도 불리는 통도사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시는 적멸보궁이 있는 대표적인 사찰이다. 또한 최초로 대장경을 봉안한 사찰로도 알려져 있다. 사찰내에는 석종형 탑인 금강계단과 대웅전(국보)를 비롯하여 많은 불전들을 두고 있다.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시는 대표적인 공간으로 넓게 만든 2층의 기단 위에 석종형태의 탑을 올려 놓았다.

<금강계단 앞쪽>

석문이 있고 그 앞에 석등이 세워져 있다.

<2층 기단 위에 올려진 석종형 탑>

<금강계단 동쪽>

<뒤에서 본 금강계단과 대웅전>

<서쪽에서 본 금강계단과 대웅전>

<금강계단 한쪽 모퉁이에 있는 신장상>

<적멸보궁>

금강계단 앞쪽에는 예불을 올리는 공간인 적멸보궁이 있다. 이곳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기때문에 내부에서 탑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통도사 대웅전>

‘丁’자형의 건물로 금강계단과 함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남쪽에는 ‘금강계단’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양산 통도사대웅전 및 금강계단, 국보,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현재 통도사에 남아 있는 여러 건물 가운데 가장 핵심이 되는 영역은 신라 선덕여왕 15년(646) 자장율사에 의하여 지어진 대웅전과 금강계단이다. 계단(戒壇)이란 계를 수여하는 의식이 행해지는 장소로, 통도사 창건의 근본 정신은 바로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금강계단에 있다. 현존하는 금강계단은 창건 이후 수차에 걸쳐 중수되었기 때문에 창건 당시의 정확한 구조를 알 수 없다. 다만 『삼국유사』의 기록에 ‘계단은 2층으로 위층 가운데에는 마치 가마솥을 엎어 놓은 것과 같다’라는 기록을 통해 그 형태가 현재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계단의 사방에는 불좌상(佛座像)을 비롯하여 천인상, 신장상 등 다양한 조각이 새겨져 있는데 이들은 고려와 조서시대의 중수과정에서 새롭게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웅전은 임진왜란으로 인해 소실된 것을 1645년(인조23) 우운대사가 중건한 건물이다. 건립 연대가 확실한 조선시대 중기의 대표적인 건축으로 지붕의 청동으로 만든 찰간(刹竿)을 비롯하여 백자연봉과 무쇠와 청동으로 만든 기와 등은 일반 건축에서 비슷한 예를 찾기 어렵다. 그리고 대웅전의 가장 큰 건축적 특징은 지붕 모양이 丁자형이라는 특이한 구조와 함께 정면과 측면의 구분 없이 동.서.남.북 모든 방향이 정면성을 보이는 독특한 방향성에 있다. 특히 내부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았는데 이는 대웅전 뒤에 있는 금강계단에 석가여래의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기 때문이다. (안내문, 양산 통도사, 2008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