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 경내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통도사 사천왕문을 지나면 첫번째 공간인 극락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높이 3.9 m의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기둥모양을 생략하고 안상을 조각해 놓았으며, 위층 기단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3층으로 된 탑신은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긴 것 외 특별한 장식을 두고 있지 않다. 석탑의 양식적인 특징 등으로 볼 때 통일신라 말인 9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손꼽히는 큰 절로, 신라 선덕여왕 때 (646년)에 자장율사가 세웠다. 불보(佛寶) 사찰로도 불리는 통도사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시는 적멸보궁이 있는 대표적인 사찰이다. 또한 최초로 대장경을 봉안한 사찰로도 알려져 있다. 사찰내에는 석종형 탑인 금강계단과 대웅전(국보)를 비롯하여 많은 불전들을 두고 있다.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말에 조성된 높이 3.9 m의 삼층석탑이다. 전체적인 조형미나 조각수법 등은 약간 떨어지는 편이다.
<기단부>
아래층 기단에는 기둥모양을 생략하고 대신 안상을 새겨 넣었다.
<탑신부>
몸돌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겼으며, 지붕돌은 다른 석탑과는 달리 4단의 받침을 새겨놓고 있다.
<앞에서 본 모습>
<뒤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서쪽)>
<옆에서 본 모습(동쪽)>
<통도사 하로전 영역>
삼층석탑은 통도사에서도 첫번째 공간인 하로전 영역 마당에 위치하고 있다. 하로전에는 영산적.극락전.약사전, 만세루, 영각, 범종각 등이 탑을 둘러싸고 있다.
통도사 삼층석탑, 보물
이 석탑은 큰 받침돌 위에 2층의 기단을 세우고 그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통일신라 후기의 삼층석탑이다. 1987년 해체 수리 당시 원래의 위치에서 동북쪽으로 약 1.5 m 정도 옮겨져 극락전과 약사전의 중심축에 맞추어 복원하였다. 당시 상층기단에서는 조선시대 백자가 발견되었고, 하층기단의 다진 흙 속에서는 소형의 금동불상 2구와 청동숟가락 등이 발견되었는데 현재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탑 앞에 있던 배례석(1085년 조성)과 함께 통일신라 후기의 석조문화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안내문, 양산 통도사, 2017년)
<출처>
- 문화재청
- 두산백과
- 위키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