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양군 입암면 연당리에 있는 서석지(瑞石池)이다. 조선중기 광해군 때 정영방이 지은 연못과 정자로 담양 소쇄원과 함께 우리나를 대표하는 민간에서 조성한 정원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연못은 직사각형 형태로 북쪽에 돌출한 사우단을 두고 있다. 연못에는 바닥에 있는 크고 작은 돌들이 섬처럼 솟아 있어 서석지(瑞石池)라 부른다. 북쪽 돌출한 단에는 소나무, 대나무, 매화, 국화를 심어 사우단(四友壇)이라 이름지었다.
연못 북쪽에는 앞면 3칸의 작은 서재인 주일재를, 서쪽에는 큰 정자 건물인 경정((敬亭)을 배치하였으며, 뒷편에는 방과 부엌 등이 있는 살림집을 두었다. 정자가 있는 공간과 살림집은 담장으로 분리하고 있다. 연못과 건물들의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방을 여럿 두고 있어 주택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형태로 볼 때 주인이 정자에 머물면서 학문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하면서, 손님이 묵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지식인 계층들이 선망했던 관동팔경 유람길에 위치하고 있어 손님이 많았던 시대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영양 서석지>
담양 소쇄원과 함께 민간에서 조성한 정원을 대표하는 곳이다.
<서석지 연못>
바닥에 있는 암석이 섬처럼 솟아 있는데, 수면 높이에 따라 다양한 풍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사우단>
연못 북쪽에는 돌출된 단을 쌓아 매.난.국.죽을 심어 사우단이라 부른다. 그 뒷편에 서재인 주일재가 있다. 서석지를 조성할 때 제일 먼저 자리를 잡았던 건물로 보인다.(?)
<경정>
서쪽편에 위치한 앞면 4칸 규모의 큰 정자인 경정이다. 가운데 대청마루를 두고 양쪽에 온돌방을 배치하였다. 툇마루 앞쪽에 난간을 설치하는 등 조선후기나 구한말 건축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경정 대청마루 내부>
<경정 뒷편 살림집>
림집 형태의 ‘-‘자형 건물이 3동 배치되어 있으며, 연못이 있는 공간과는 담장으로 분리되어 있다. 안채 성격의 공간으로도 보이지만 손님이 묵을 수 있도록 온돌방을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
<뒷편에 있는 방과 부엌이 있는 살림집>
<남쪽편에 있는 건물>
손님이 묵을 수 있도록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서석지 전경>
마당 한쪽에 수령이 수백년된 은행나무가 있어 공자가 후학을 양성하던 행단을 연상시킨다.
<서석지 바깥쪽 마당>
서석지 바깥쪽 마당에도 다양한 수목을 심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영양 서석지
이곳은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정영방 선생이 만든 조선시대 민가의 대표적인 연못이다. 선생은 동래정씨로 호는 석문이고 자는 경보이다. 선생은 정경세 선생에게 배웠고 성라학과 시에 능하였으며, 진사에 합격한 뒤에는 이곳에서 학문 연구로 일생을 마쳤다. 자양산 남쪽 기슭에 자리잡은 이곳에는 연못으 ㄹ중심으로 북쪽에 주일재, 서쪽에 경정, 뒤쪽에 수직사가 있다. 연못 북쪽에는 네모난 단을 만들어 매화, 국화, 소나무, 대나무를 심고 사우단이라 하였다. 연못 동북쪽에서 물이 들어오는 곳을 읍청거라 하고 서남쪽으로 물이 나가는 곳을 토예거라 하였다. 읍청거 쪽에 울툴불통 솟아난 60여개의 서석들은 떄로 물속에 잠기기도 하고 드러나기도 하여 오묘한 정취를 느끼게 해 준다. (안내문, 영양군청, 2014년)
<출처>
- 안내문, 영양군청, 2010년
-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7년
- 한국민족문화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7년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