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 오층석탑 앞에 세워져 있는 석등(보물)이다. 이 석등을 8각형 평면으로 3단의 기단위에 화사석과 지붕돌, 머리장식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아래 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이 조각되어 있으며, 가운데받침돌은 8각형 기둥모양을 하고 있다. 화사석은 4면에 불을 밝히는 창이 뚫려 있으며 지붕돌은 모통이를 살짝 들어올렸다. 전체적으로 지붕돌을 크게 만들기는 했지만 가볍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석등이다. 오층석탑(보물)과 함께 고려초기에 같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불을 밝히는 등(燈)은 인류의 문명생활과 함께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졌다.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하는 것으로 불을 밝혀 조명을 하는 등기(燈器)와 부처에 불빛을 올리는 공양구의 성격을 같이 가지고 있다. 목조건물을 모방해서 만든 승탑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는데 석탑이나 승탑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 이후 많은 사찰에서 석등을 세웠는데 경주보다는 지방의 화엄십찰이나 선종계통 사찰에서 크고 웅장한 석등이 많이 남아 있다.
<부여 무량사 석등(보물)>
전통적인 통일신라 석등 양식을 보여주고 있는 석등이다.
<왼쪽에서 본 모습>
높이 2.5 m의 석등으로 3단의 기단 위에 화사석이 올려져 있다. 지붕돌이 약간 크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가 간결하면서도 우수하다.
<아래받침돌>
안상이 새겨진 4각형 바닥돌 위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아래받침돌이 올려져 있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
화사석은 4면에 창이 뚫려 있다. 창이 뚫린 면은 넓고 그 사이는 좁게 만들었다. 화사석에 비해 지붕돌을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었다.
<오층석탑(보물)과 석등(보물)>
석가모니를 상징하는 석탑 앞에 세워진 석등의 의미를 잘 보여주고 있다.
부여 무량사는 조선 세조때 생육신인 매월당 김시습이 만년을 보낸 사찰로 경내에 김시습 초상화를 모시는 영정각과 그의 부도탑이 있다. 부여 서쪽 만수산에 있는 무량사는 삼국시대 떄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인조 때 중창하였다. 사찰 경내에는통일신라 때 금당(장륙전)의 모습이 남아 극락전(보물), 오층석탑(보물)와 석등(보물)가 있다.
<부여 무량사>
석등, 오층석탑, 극락전이 일렬로 나라히 세워져 있다. 1탑 1금당식 공간배치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부여 무량사 석등, 보물, 충남 부여군 외산면
석등은 절의 탑이나 건물 앞에 세워 부처나 보살의 지혜가 밝다는 것을 나타내는 등이다. 탑 앞에 등불을 밝히면 33천에 다시 태어나 허물이나 번뇌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한다. 무량사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네모난 바닥돌 위로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아래받침돌은 연꽃 8잎이 조각되어 있고, 가운데받침은 8각 기둥으로 길게 세워져 있으며 그 위로 연꽃이 새겨진 윗받침돌이 놓여 있다. 화사석은 8면 중 4면은 넓고, 4면은 좁은 형태로, 넓은 면에 창이 뚫려 있다. 전체적으로 지붕돌이 약간 큰 감이 있으나 경쾌한 곡선으로 인해 무거움이 느껴지지는 않는다. 석등은 연꽃잎 장식으로 보아 통일신라말에서 고려 초 사이인 10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0년)
<출처>
- 문화재청
- 두산백과
- 위키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