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금정구 범어사(梵魚寺)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이 대웅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다. 탑은 이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삼층석탑이다. 기단에는 기둥모양은 생략하고 간략하게 안상만 새겨 놓고 있다. 탑신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었으며, 몸돌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겼다. 제작수법이 간단하면서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와 고려초기의 석탑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부산 금정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범어사는 통일신라 때 전국 화엄십찰 중 하나이며, 남해안 침략하는 왜(倭)를 물리치고자 하는 바램으로 세웠던 사찰이다. 호국사찰 성격을 갖고 있었던 화엄종 사찰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임진왜란 때 대부분의 전각이 불타버린 것을 광해군대에 중건하기 시작하여 숙종대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 삼층석탑은 범어사에 남아 있는 거의 유일한 통일신라시대의 흔적이라 할 수 있다.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보물)>
주불전인 대웅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삼층석탑이다. 2층 기단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크지 않은 규모를 하고 있다.
<기단부>
기단부에는 모서리에 옆면의 기둥모양은 생략되었으며, 아랫층에는 3개씩, 윗층에는 1개씩 안상이 새겨져 있다.
<탑신부>
3층으로 된 탑신.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평평하게 만들었으며, 그 끝을 살짝 들어올렸다.
<뒤에서 본 모습>
<앞에서 본 모습>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 보물, 부산시 금정구 범어사로
이 탑은 이중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3층석탑이다. 기단부는 다른 석탑과는 달리 상.하 기단의 탱주를 모두 생략하고 하층 기단 각면에 3구씩, 상층기단 각 면에 1구씩의 안상을 조식하고 있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일석으로 조성되었다. 탑신석에는 각각 양우주만 모각되었고, 옥개석의 하면에는 매층 각형4단의 받침이 조출되었다.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전각에 이르러 날렵한 반전을 보이고 있다. 이 시기 석탑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석 위에 보주만 놓여 있다. 이 석탑은 기단부에 새겨진 안상과 더불어 전체적인 조성방법 등을 볼 때 통일신라 하대인 9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 이 석탑을 보수하면서 주위에 석재 난간을 두르고, 본래 이층으로 조성된 기단의 아랫부분에 한 층을 첨가해 전체적으로 3층기단의 변형된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석탑의 원형을 되찾기 위한 정비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2009년 6월17일부터 2010년 5월14일에 걸쳐 일제강점기에 변형된 부분을 모두 제거하고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1년)
<출처>
- 문화재청
- 두산백과
- 위키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