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에 있는 옛 아산현 관아터이다. 관아터에 영인초등학교가 들어서 있으며 관아 출입문인 여민루(慮民樓)만이 남아 있다. 객사, 동헌, 내아 등 관아건물들은 모두 초등학교 건물로 바뀌었다가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관아 아문인 여민루는 앞면3칸, 옆면2칸의 2층 문루건물이다. 조선 태종대 처음 세워졌으며, 현재의 건물은 구한말에 새로 지은 것으로 당시의 건축양식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아산현(牙山縣)은 아산시 영인면, 인주면, 염치읍 등을 관할했던 조선시대 행정구역으로 종5품 현령이 고을수령이었다. 백제때 아술현이 있었으며, 조선 태종 때 아산현이 설치되면서 아산(牙山)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읍치는 아산만이 내려다 보이는 영인산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옛 아산현의 흔적으로는 관아 아문인 여민루와 아산향교가 남아 있다. 아산현에는 충무공 유적지인 현충사와 구한말 개화운동에 앞장 선 풍운아 김옥군의 묘소 등이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세곡으로 거두었던 곡식을 보관하는 창고인 공세관창이 인주면 공세리에 있었다.
<옛 아산현 관아>
지금은 관아 아문인 여민루만 남아 있고 건물터는 초등학교로 바뀌었다.
<아산현 아문인 여민루>
앞면 3칸 옆면 2칸의 2층 문루이다. 1층에는 문을 달았으며, 옆쪽에도 판벽을 막아두고 있다. 백성의 뜻을 취한다는 뜻의 ‘여민루(慮民樓)’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안쪽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
<관아터>
동헌을 비롯하여 관아 건물들이 있던 곳에는 초등학교가 들어서 있다.
<인근 김옥균 유허에서 내려다 보이는 아산현 읍치>
여민루, 조선시대, 충남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조선시대 아산현 관아 입구에 세워졌던 문위에 누각을 만든 문루 건물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4각형의 주춧돌로 배열하고 그 위에 원형 기둥을 세워 누마루를 만들었다. 아래층 3칸에는 각각 문을 달아 통로로 사용하였으며, 왼쪽과 오른쪽 협간을 문위에 가로 댄 나무 위에는 홍살을 설치하였고 측면의 2칸은 판벽으로 막았다. 1415년(조선 태종 15년) 대제학을 역임한 정이오의 누기 가운데 아산 현감 최안정이 부임한지 3년만에 건립하였다 하며, 여민루라는 이름은 당시 영의정이던 호정공 하륜이 “취위민지의(백성을 취하는 뜻을 취한다.)”라는 구절을 인용한 것이며 여민루 현판에 갑오류하지현서라 기록되어 있다. 1834년에 다시 복원한 건물이다. (안내문, 아산시청, 2010년)
<출처>
- 아산시청
- 문화재청
- 고지도를 통해 본 충청지명연구 2, 이기봉, 2012년, 국립중앙도서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