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국보), 공모양 몸돌이 있는 특이한 형태의 승탑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홍법국사탑(국보)이다. 홍법국사탑비(보물)과 함께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정토사 절터에 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경복궁으로 옮겼다가 지금은 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되고 있다. 네모난 바닥돌 위에 8각형의 받침돌을 올리고 그 위에 몸돌과 지붕돌을 올렸다. 받침돌은 8각형의 아래받침돌 위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괴임돌, 용무늬가 조각된 가운데 받침돌, 연꽃무늬가 새겨진 윗받침돌로 구성되어 있다. 몸돌은 기존의 승탑과는 달리 둥근 공모양을 하고 있으며 가로.세로로 묶은 모습의 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지붕돌은 기존의 승탑처럼 목조건물 지붕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그 아래에는 비천상이 조각되어 있다. 통일신라 이후 정형화된 8각형 목조건물 형태의 승탑 양식을 타르면서도 공모양의 몸돌을 두고 있는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탑비가 세워진 1017년 이전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홍법(弘法, ?~?)국사는 고려초에 활동한 승려로 당나라에 유학했으며 말년에 충주 정토사에 머물렀다고 전해진다. 탑비에 적힌 글자의 마모가 심해 알아보기 힘들어 그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는 편이다. 고려 목종으로부터 홍법이라는 시호와 실상(實相)이라는 탑호를 받았다. 그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보물)도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그가 머물렀던 정토사는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었으며, 절터에 있던 법경대사탑비(보물)는 인근 마을에 옮겨져 있다.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국보)>

고려초 활동했던 홍법국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8각형을 기본으로 한 기존 승탑의 형태를 계승하면서도  둥근 공모양의 몸돌을 두고있는 독창적인 형태의 승탑이다.

<받침돌>

받침돌은 장식이 없는 아래받침돌 위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괴임돌을 두고 그 위에 가운데 받침돌과 윗받침돌을 올렸다. 통일신라 승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는 부분이다.

<가운데 받침돌>

가운데 받침돌에는 구름과 용을 입체감있게 새겨놓고 있다.

<몸돌과 지붕돌>

몸돌은 둥근 공모양을 끈으로 묶어놓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그 위에 기존 승탑과 비슷한 지붕돌을 얹어놓았다.

<지붕돌>

지붕돌 아래에는 비천상을 새겨 놓고 있다. 지붕돌 모서리에는 꽃모양을 조각해 놓았으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뒤에서 본 모습>

<탑과 탑비>

홍법국사탑비(보물)과 함께 최근에 보수작업이 완료되어 박물관 야외에 전시되고 있다.

<충주 정토사지>

흥법국사탑과 탑비가 있던 충주 정토사지는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어 현재는 찾아가 볼 수 없다.

<절터 부근 마을>

절터에 있던 법경대사탑비(보물)와 절터에서 출토된 건축부재들은 인근 마을에 옮겨져 전시되어 있다.

<전시된 복제품>

충주 정토사 홍법국사탑, 충북 충주시 정토사터, 고려 1017년 이전, 국보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약한 홍법국사의 사리를 모셨던 탑으로 국사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와 쌍을 이룬다. 홍법국사는 당나라에서 수행하였고, 고려 성종 때 대선사를 거쳐 목종 때 국사의 칭호를 받았다. 신라의 탑 형식을 이어 팔각형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공을 십자로 묶은 듯한 몸돌을 둔 것은 고려 초의 새로운 시도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7년) 

<출처>

  1. 중앙박물관
  2. 문화재청
  3. 두산백과
  4. 위키백과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